>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공연/전시

올해의 작가상 2024 | 2024-10-25 ~ 2025-03-23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층 1전시실, 지하 1층 2전시실
  • 전시
  • (공동 주최) 국립현대미술관, SBS문화재단 (협찬) 동국씨엠, 삼원특수지
  • 전체연령

올해의 작가상 2024

공연기간
2024-10-25~2025-03-23 (예정)
공연시간
월, 화, 목, 금, 일 10:00~18:00 / 수, 토 10:00~21:00 /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
공연가격
2,000원
장소
서울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관람시간
자유관람
문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02-3701-9500
전시장명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0
전화번호
02-3701-9500
 
 
상세주소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홈페이지
http://www.mmca.go.kr/
전시장의 다른전시로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
프로젝트 해시태그 2024 2024.11.15 ~ 2025.04.06 자세히 보기
이강소: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2024.11.01 ~ 2025.03.30 자세히 보기
올해의 작가상 2024 2024.10.25 ~ 2025.03.23 자세히 보기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 2024.09.03 ~ 2025.03.03 자세히 보기
순간이동 2024.10.18 ~ 2025.02.16 자세히 보기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4: 우주 엘리베이터 2024.05.25 ~ 2025.02.09 자세히 보기
2024 아시아 필름 앤 비디오 아트 포럼 2024.10.11 ~ 2024.11.27 자세히 보기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2024.04.05 ~ 2024.09.22 자세히 보기
사물은 어떤 꿈을 꾸는가 2024.05.17 ~ 2024.09.18 자세히 보기
아나 바즈: 2024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인디비주얼 2024.07.19 ~ 2024.08.24 자세히 보기
주변관광지
관광지 위치 연락처
인왕산 서울 종로구 무악동 산3-1
북악산 서울 종로구 삼청동 , 청운동, 성북구 성북2동
자생식물학습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백사실계곡 서울 종로구 부암동 산25번지 일대
창덕궁 향나무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창덕궁 다래나무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서울 운현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운니동)
경희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
경복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창경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02-762-4868~9

≪올해의 작가상≫은 201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이 SBS문화재단의 후원에 힘입어 운영해 온 전시이자 수상 제도이다. 매년 작가 4인을 선정, 신작 제작과 전시는 물론, 이후에도 각 작가들의 국제적 활동을 폭넓게 지원함으로써 한국 현대미술의 발전을 모색해 오고 있다. 신작에 초점을 맞추었던 이전 전시들과 달리, 2023년부터는 신작과 작가의 전작들을 함께 구성하여 작가의 작품세계를 폭넓게 조명한다.


≪올해의 작가상 2024≫ 참여 작가는 권하윤, 양정욱, 윤지영, 제인 진 카이젠이다. 윤지영은 조각의 문법을 활용하여 어떤 상황이나 사건을 마주한 개인의 심리와 태도를 다룬다. 저마다의 사연을 간직한 조각들은 돌이킬 수 없는 희생부터 간절한 소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마음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하는 권하윤은 현실의 제약을 뛰어넘어 아직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구현함으로써 공동의 기억을 생산한다. 이야기들은 관객의 실제 경험으로 확장되어 우리로 하여금 기록과 기억의 개념을 돌아보게 한다. 양정욱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상상하고 이를 움직이는 조각으로 만든다. 조각의 반복되는 움직임은 고난과 희망 사이에서 부단히 애쓰는 사람들의 삶을 그려 내며 우리의 일상을 다시 들여다보게 한다. 제인 진 카이젠은 제주의 자연, 문화, 역사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및 지역 공동체와의 오랜 협력을 바탕으로 약동하는 섬을 그려 낸다. 서로 다른 이들의 몸짓이 이어지며 만들어나가는 새로운 관계는 소외된 이들을 드러내는 다양한 서사의 토대를 마련한다.


전시는 다양한 작품으로 세계를 이해하고 그에 화답하는 우리의 능력을 확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주제와 방법은 달라도 우리 시대의 단면을 담은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 이야기를 세상에 전하기 위해 작가들은 차별화된 시각화 방식을 고안해왔다. 우리는 여기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얼마나 깊이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을까? 어떤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어디까지 시도할 수 있을까? 아름다운 삶을 꿈꾸기를 멈추지 않을 수 있을까? 세계와 나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그리하여, 이들의 시선을 빌려 마음을, 기억을, 이웃을, 세계를 다르게 바라볼 수 있을까? 이런 기대 속에서 전시는 대화를 시작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