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호족반(6377) 크게보기 호족반(6377) 크게보기
호족반(6377)
문양설명
식기를 받치는 작은 규모의 상으로, 평평한 반면(盤面)의 통판 널과 여기에 연결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반(盤) 아래에는 여러 가지 조각이나 문양으로 장식한 난간이 있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리를 견고하게 하여 주는 중대(中帶)와 족대(足臺)가 있다. 이 소반은 다리가 호랑이의 다리 형태를 하고 있는 소반이다. 호랑이의 다리모양을 하여 굽은 선이 많고 조각장식 등으로 위용을 보여주어, 대궐용 수라상이나 궁내 제례용 소반, 또는 상류가정의 의례용 소반 등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구조는 반(盤) 바로 밑에 운각(雲脚 : 길죽한 삼각형의 널조각)이 있고 호족형 다리는 이 운각을 물고 반을 받치게 되어 있어 전라도 나주반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호족형 다리는 대체로 족견(足肩)에 두툼한 만곡(彎曲)을 가지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늘어지며, 밖으로 약간 벌어지면서 반의 중심을 잡고 있다. 그리고 다리 끝부분에서 버선코와 같이 위로 살짝 치켜 올리면서 두개의 족대 위에 안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호족은 조각 없이 미끈한 나뭇결로만 그 형태를 살려 민속적인 소박미를 나타낸 것도 있고, 죽절(竹節)과 당초문(唐草文) 조각의 풍혈(風穴)을 곁들여 위엄과 화사함을 동시에 나타내도록 한 것도 있다. 주재료는 은행나무·느티나무 등이며, 궁궐용은 주칠(朱漆)을 하였고 궁중의례용으로는 흑칠(黑漆), 민간용으로는 생칠(生漆), 소형의 주안상으로는 나전흑칠(螺鈿黑漆) 등의 유물이 보인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