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나무로 만든 찬합이다. 찬합의 전형적인 형태로 미닫이 문판을 열면 네 개의 서랍을 갖고 있다. 앞면은 찬통을 빼거나 들고 다닐 때 찬통이 빠지지 않도록 위로 잡아 빼어 여닫도록 되어있고 전면을 포함한 세 면에 기하문을 투각해 내부의 음식물에 통풍이 되게 하였다. 뒷면에는 각 찬통의 위치에 손가락을 넣어 찬통을 밀 수 있도록 둥근 구멍을 뚫었다. 그러나 이동에 편리한 들쇠손잡이는 없다.
직사각형의 윤곽선을 돌리고 그 안에 다양한 기하문이 투각되어 있다. 중앙의 사각형문을 중심으로 기하문은 서로 대칭을 이룬다. ‘凸’자형태와 사각형문이 2개가 붙은 형태가 투각되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