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문양설명
원형의 베갯모 한 쌍이다. 베갯모의 중앙에 원형의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 매화, 대나무, 괴석 등을 수놓았다. 매화는 이른 봄에 홀로 피어 봄의 소식을 전하고 맑은 향기와 우아한 운치가 있어서 순결과 절개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겨울이 되어 잎이 지고 나면 죽은 것 같으나 다음해 다시 꽃이 피는 속성을 지니고 있어 장수의 상징물로도 여겼다. 또한 매화의 매(梅)와 누이의 매(妹)는 음이 동일해서 미혼여자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미혼 여성과 관련해서 건강한 상징을 기원하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대나무는 속이 비어 있으면서도 강하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사계절을 통하여 색이 변치 않기 때문에 군자의 풍격(風格)과 절개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던 식물이며, 또한 축귀의 의미 가진다. 괴석은 십장생의 하나로 영원불멸의 상징이며 또한 비바람을 가리지 않고 말없이 의연한 자태는 실로 군자의 풍모를 풍기는 상징물이기도 하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