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전통문양활용

제품디자인

기러기문활용도시락용기(2203) 크게보기
기러기문 활용 도시락용기
활용문양
기러기문
문양분류
동물문/기러기문
국적/시대
한국/시대미상
활용 문양 정보
음료나 과일, 간단한 스낵 등을 담는 도시락통의 겉면에 새문을 장식하였다. 원색에 전통적인 새문으로 도시락 표면을 장식하여 고전적인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이 느껴진다. 평안, 장수 등의 염원을 담은 새문을 통해 도시락에 담긴 음식을 먹으면서 건강하고 밝게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이다. 기러기는 가을에 우리나라에 왔다가 봄에 돌아가는 철새이다. 옛사람들에게 기러기는 가을을 알리는 새인 동시에 새로운 소식을 전해주는 새로 인식되었다. 암컷과 수컷의 의가 특별히 좋아 혼례식 때 나무로 깎은 목기러기를 쓰기도 하였다. 기러기는 갈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이 많은데 이는 노년에 들어서도 평안하다는 뜻을 갖는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