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형태별문양

형태별문양

나비문,매화문(11804) 크게보기
나비문,매화문(11804)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복합문/기타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떡살떡손.병형
문양설명
나비는 기쁨, 장수, 부부금슬을 상징한다. 나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운 것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동양에서는 장자(莊子)의 ‘호접몽(胡蝶夢)’에서 연유하여 남녀 화합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장자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화궁(花宮)속으로 날아다니며 달콤한 꿀을 빨아먹으면서 즐거움을 만끽한 데서 나비는 즐거움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여자의 장신구에서 나비는 부부의 화합과 자손의 번성을 염원하는 상징이 된다. 매화꽃은 늙은 줄기에서 새 가지가 나오며 추운 겨울을 견딘 후 꽃이 피기 때문에 늙거나 쇠퇴하지 않는 것을 뜻하였다. 매화 꽃잎이 다섯 장이므로 민간에서는 오복[福, 祿, 壽, 喜, 財]을 표시하여 조선 시대에 많이 사용되었다. 이 떡살의 문양대에 새겨진 기하학적 문양은 찍혔을 때 문양이 반복되어 시각적인 멋이 돋보인다. 절편위에 눌러 찍었을 때 문양이 반대로 나타나 떡의 시각적인 멋과 구미를 당기게 한다. 이처럼 떡살에서도 조상들의 소박한 멋과 음식문화의 격조를 살필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