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형태별문양

형태별문양

물고기문,용문(13137) 크게보기
물고기문,용문(13137)
문양구분
(2D)
문양분류
동물문/기타
국적/시대
한국-조선
원천유물명
벼루
문양설명
물고기문에는 다복다산(多福多産)의 염원이 담겨 있다. 물고기는 알을 많이 낳는다 하여 다산과 풍요, 부부의 금슬을 상징한다. 잉어는 남자를 상징하고 메기는 여자를 상징하며 수많은 작은 물고기 떼는 자손의 번창을 의미한다. 도자기 등 공예품에 나타난 어문은 쌍을 이루는 것이 특히 많다. 쌍어문양은 조화 또는 부부의 화합을 상징한다. 고대 전설에서 비목어(比目魚)라는 물고기는 두 마리가 서로 쌍을 이루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 연유로 사람들은 부부가 서로 의지하고 반려가 됨을 상징하는 쌍어문양을 좋아하였다. 또 한 쌍의 물고기를 그린 그림은 경사 또는 여유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 물속에서 노는 모습이 여유롭게 보이기도 하거니와 물고기의 어(魚) 발음이 여유롭다는 뜻의 여(餘) 발음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용문은 봉건사회에서 용은 황제의 덕과 하늘의 권위를 표시하였다. 용의 형상은 아홉 가지 조건을 갖추는데 낙타머리, 사슴뿔, 귀신의 눈, 소의 귀, 뱀의 목과 배, 잉어 비늘, 매의 발톱, 호랑이의 꼬리로 몸에는 81개의 비늘이 있으며, 입 주위에는 수염이 나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었다. 용은 깊은 못이나 바다에서, 때로는 자유로이 공중을 날아 구름과 비를 몰아 천운조화를 일으킨다고 한다. 황제는 발톱이 다섯 개인 용으로, 왕이나 제후들은 발톱이 네 개인 망룡으로 신분에 따른 차이를 표시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