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대한민국의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 소나무, 한반도 산림의
가장 넓은 분포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나무가 한국인의 정서와 기질을 대변해주는 상징물임을 나타내는 내용
내레이션
흔히 말하길, 한국인은 소나무의 기질을 닮아 있다고 한다.
우리의 일생이 소나무의 일생과 많은 부분이 닮아 있음은 물론
그 정신이 소나무의 모습과 비슷함을 느끼는 것은 무리가 아닐 것이다.
이는 수많은 외세의 침략과 역경 속에서 민족의 주체성을 지킨 우리와
절벽의 틈새에서도 성장을 하는 소나무의 모습이 닮았기 때문이다.
- 탄생
예전부터 우리들은 갓 태어난 아기에게 솔가지를 매단 금줄을 쳐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 걸 막았고
또한 축복의 의미로도 쓰였다.
이렇듯 우리는 태어나면서부터 소나무와 인연을 맺는다.
- 성장
소나무를 자연 상태로 방치해 두면 성장과정에서 여러 가지 장해가 생겨 모양이 틀려지고
그 기능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가지치기를 해주고 모양을 유지시키면서 성장을 조절하는 과정은
어머니가 자식을 위해 애쓰는 모습과 다르지 않다.
- 백년가약
소나무 꽃이 피는 5월쯤에 노란 송화 가루가 날리기 시작할 때 암꽃이 개화하는데,
이 때 송화가 암꽃과 만나 솔방울이 되지만
소나무의 수분은 바람에 의해 많은 부분을 우연에 의지해야 하기 때문에
시기와 풍향, 풍속, 습도 등이 모두 적당하지 않으면 수꽃의 꽃가루는 암꽃과 만날 수 없다.
우리의 인생 또한 자신의 인연을 만나기까지는 엄청난 확률의 우연히 필요하듯이
소나무 역시 이런 우연의 인연을 바라며, 바람에 의지한다.
- 후손
소나무가 솔방울이라는 값진 열매를 얻는다 하여도 수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특히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우리 주변에서 점차 소나무가 사라지고 있고,
이것은 후손들이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 죽음
죽어가는 소나무의 껍질을 보고 있으면
노인의 손등을 보는 듯 갈라진 껍질 사이로 인고의 세월을 느낄 수 있다.
한 사람이 태어나 소나무와 인연을 맺고
소나무가 주자재로 사용했던 한옥에 살다
생을 마친 뒤에도 소나무로 짠 관에 묻혀 흙으로 돌아감으로써
마지막 순간 까지도 소나무에게 신세를 지게 된다.
이처럼 소나무는 인생의 출발과 마지막을 함께하는 나무라고 볼 수 있다.
소나무는 예나 지금이나 남녀노소와 빈부를 가리지 않고 누구나 좋아하는 나무이다.
지난 수천 년 동안 소나무는 이 땅의 풍토와 절묘하게 결합하여
한반도의 1,000여 종류의 나무 중 유일하게
우리의 정신과 정서를 살찌우는 상징으로 대변되고 있다.
농경사회와 현재 지식정보사회에 이르기 까지
지난 2,000년간의 한국인의 기상을 나타내는 소나무.
소나무는 빈부격차, 남녀노소를 떠나
우리 민족을 통합하는 대표적인 문화 아이콘으로
늘 사랑 받아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