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별들의 고향

출연/스태프
*출연 신성일, 안인숙, 윤일봉, 백일섭 *스태프 제작/박종찬, 기획/이은봉,김재웅, 감독/이장호, 각본/이희우, 촬영/장석준, 조명/김진도, 음악/장근식,이장희, 녹음/김병수, 미술/이봉선, 소품/김호길, 편집/현동춘
내용
첫사랑한테서 버림받은 경아는 아픔을 이겨내고 중년인 이안준의 후처로 들어가지만, 임신했던 과거가 들통나면서 헤어지게 된다. 그 후 동섭과 가까워지면서 호스티스로 전락하여 생활하다가 인간적인 화가 문호를 만나 동거 생활에 돌입한다. 하지만 그 역시 경아를 받아들일 수 없다. 일 년이 지난 어느 겨울 밤, 도시 한 복판에서 젊은 여자가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한다. 착하고 순진했던 경아의 짧은 생애는 이처럼 허망하게 막을 내린다.
예술가
*이장호(1945~ ) 서울 출생. 신상옥 감독 연출부 출신으로, 1974년 최인호의 인기 신문연재소설을 영화화한 <별들의 고향>으로 데뷔한다. 박정희 대통령 정권 때, 대마초 사건에 연루되어 침체기를 갖던 중 빈부 격차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눈뜨게 된다. 1980년 <바람불어 좋은 날>로 재기에 성공한 후, 암울했던 1980년대 시대상황 속에서 사회성 짙은 작품들을 잇달아 발표해 좋은 평을 얻었다. 호헌철폐 서명과 UIP직배 저지 운동 및 영화법 개정 운동에 적극 동참하는 등 현실 참여적인 예술가이기도 하다.
작품정보
별들의 고향 (1974) 바람불어 좋은 날 (1980) 바보선언 (1983) 이장호의 외인구단 (1986)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1987)
리뷰
*작품해설 신문 지면에 연재된 최인호의 원작을 영화화한 작품. 자본주의의 휘황찬란함 뒤에 소외된 비주류 계층인 호스티스 여인을 조명하면서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개봉 당시 46만이라는 관객을 동원했으며, 작가 최인호와 감독 이장호라는 한국 영화 흥행 콤비를 탄생시킨다. 이 작품은 이후, 1978년 장미희 주연의 <속 별들의 고향>과 1981년 유지인 주연의 <별들의 고향 3>로 이어 제작된다. *평론 <영자의 전성시대>와 함께 유행했던 호스티스물에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적지않은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이 작품은 영화적 만듦새에 있어서도 소중한 유산이 되어 있다. 당시의 사회상을 잘 반영하고 있는 대중영화이면서도 만만치 않은 언어적 형상화가 통속성의 차원을 넘어 감동을 주면서 스타일 분석의 즐거움까지 제공한다. 그리고 이 같은 표현상의 특성은 이후로도 이장호 감독의 작가론을 관류하는 영화 언어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중앙대학교 교수, 이용관)
수상내역
제24회 베를린 국제영화제 출품
관련도서
<바보처럼, 나그네처럼>, 이장호, 산하, 1987 <이장호 감독론>, 강영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1993
관련사이트
이장호 인터뷰 (로드쇼)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