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판소리(대구)

개요
‘판소리’는 한 사람의 창자(唱者)가 한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 긴 서사적인 이야기를 ‘소리(창, 노래)’와 ‘아니리(말)’로 엮어 ‘발림(몸짓)’을 곁들이며 구연하는 창악적 구비서사시(口碑敍事詩)이다. 판소리는 일반적으로 지역적인 특징에 따라 전라도 동북지역의 소리제를 <동편제>, 전라도 서남지역의 소리제를 <서편제>라고 하며 경기도 충청도의 소리제를 <중고제>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내용
대구 지역의 판소리는 독특한 제는 없으나 지리산을 경계로 한 경상도 지역의 동편제의 탄생지역으로 역대 대구권에서 여류 판소리 명창들이 많이 태어났다. 이들 명창들이 대구에서 인정을 받는 것이 중앙진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로 보아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징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승자 정보
대구 판소리 기예능보유자인 이명희(1946.12.23)는 경북 상주에서 태어나 14세 때 서울 정악원(正樂院)에서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기능보유자인 김소희에게 단가와 판소리, 춤을 배웠고 현재 김소희의 <춘향가> 이수자이기도 하다. 이명희의 성음은 매우 아름답고 성량 또한 풍부하다. 1985년 대구에 판소리연구소를 개원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1990년 전주대사습놀이 판소리 경연대회에서 영남인으로는 처음 대통령상을 수상하여 명창으로 인정받았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의 민속예술-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부, 1992 <우리의 소리, 세계의 판소리> · 관련사이트· 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판소리
관련사이트
대구이야기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