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오 꿈의 나라

작품명
오 꿈의 나라
감독
홍기선 (장윤현, 이은, 장동홍)
장르구분
1981년~1990년
출연/스태프
*스태프 제작,기획/장산곶매, 감독/장윤현,이은,장동홍, 각본/홍기선,공수창, 촬영/장산곶매, 편집/장산곶매
내용
전남 도청 사수대에서 도망쳐 나온 주인공은 고향 선배 태호가 있는 동두천 기지촌에 숨어든다. 태호는 미군부대 물품을 빼내 남대문에 가져다 파는 것을 주업으로 하면서 언젠가 돈을 모으면 미국으로 뜨겠다는 생각 뿐이다. 한편 태호에게 물품을 제공하던 미군 스티브는 양공주 지니와 살림을 차리지만, 배신한 뒤 미국으로 떠나버리고, 이에 지니는 욕실에서 자살한다. 이 사실에 태호는 울부짖고, 그런 그를 뒤로한 채 미국의 국가가 울린다.
예술가
*장윤현(1967~ ) 대구 출생. 한양대 기계공학과 재학 당시 영상연구회 ‘소나기’에서 영화운동을 시작한 후, 1989년 독립영화집단 ‘장산곶매’의 일원이 되어 <오, 꿈의 나라>, <파업전야>를 공동 연출한다. 1993년 헝가리 국립영화학교를 수료하고 돌아와 1997년 <접속>으로 감독 데뷔한다. <접속>의 성공으로 프로듀서 구본환과 쿠앤필름 영화사를 설립하고 두 번째 영화 <텔미썸딩>을 발표한 뒤, 씨앤필름으로 독립한다.
작품정보
오! 꿈의 나라 (1989) 파업전야 (1990) 접속 (1997) 텔미썸딩 (1999)
리뷰
*작품해설 1988년 결성된 ‘장산곶매’의 창립작품으로 홍기선, 공수창이 시나리오를 쓰고 장윤현, 이은, 장동홍의 공동연출로 완성된 작품이다. 미군 기지촌을 배경으로 광주 항쟁과 미국이라는 제국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고수한 사회극이며, 1987년 민주화 운동의 결과로 나온 영화다. *평론 16mm 장편 독립영화인 이 작품은 주제에 대한 과감한 접근을 보여준다. <오! 꿈의 나라>는 운동진영의 성과를 모아 집단적인 방식으로 제작되어, 광주항쟁에 개입했던 미국의 역할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며 민족문제뿐만 아니라 광주항쟁의 계급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변방에서 중심으로>, ‘오! 꿈의 나라’)
관련사이트
오 꿈의 나라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