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국립진주박물관

작품명
국립진주박물관
건축가
김수근
장르구분
1971년~1988년
내용
단일건물로 설계되어 중심부에 중심공간을 설정하여 전시물이 전시되는 각 실들이 이 중심공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했다. 처음 진입하여 램프를 타고 2층으로 올라가서 유물을 보고 다시 다른 램프를 통해 1층으로 내려와 그 곳의 유물을 보도록 동선을 처리했다. 사무실은 건물 후면에 배치하고 식당 겸 휴게소는 본관 좌측에 별동으로 처리하였다. 건물 외부에는 대지의 상황에 따라 여러 개의 단으로 구성하고, 진입부 전면에는 오픈 스페이스를 조성하여 폐쇄적인 내부 기능을 보조하도록 하였다. 주요 외벽재로서는 진주산 청회색돌을 사용하여 진주성내의 다른 건물들과 조화가 되도록 하였다.
건축가
김수근* 개인정보1951년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중퇴 후 동경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1년 김수근 건축연구소 설립, 1966년 공간을 창간. 1975년 세계건축가연맹 이사, 1976년 한국건축가협회 회장, 1979년 국민대학교 조형대 학장으로 활동하였다.주요 작품으로는 자유센터, 오양빌딩, 청주박물관, 공간 사옥, 마산 양덕성당, 88 올림픽 메인 스타디움, 체조경기장, 수영경기장, 사이클경기장 등이 있다.* 작품정보워커힐 힐탑바 (1961년), 부여박물관 (1967년),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 (1970년), 건축사무소 공간 사옥 (1971년), 잠실올림픽 주경기장 (1977년)
리뷰
<국립진주박물관>은 진주성이 낮은 구릉과 전통건축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대적 기능의 박물관으로서의 전체적인 기능을 살리면서 진주성의 공간개념을 해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했습니다. 그래서 소위 박스(box)를 기본으로 필요한 기능에 소요되는 공간이 그대로 외부에 드러나는 형태에 진주석으로 마감을 하고, 중앙에 메이저 스페이스를 두었습니다. 건물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기 위해서 지붕으로 매스를 묶고 이것이 거대한 메가 스트럭처(mega-structure)로서 주변환경을 해체 지붕을 다시 분할하는, 조형작업이 지극히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과정을 거친 작품입니다. (승효상, ‘내가 본 김수근 건축’)국립진주박물관은 건물이 위치한 진주성과 잘 어울리는 배치와 형태로 설계된 점이 평가된다. 외관은 다양한 형태의 기와 지붕이 겹쳐져서 한국 전통 마을의 이미지를 재현하고 있다. 건물 내부는 아래위층이 개방된 형식의 중심 공간을 설정하여 이 사이를 경사로로 오르내리도록 하여 전체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였다. (신영훈 외, <우리 건축 100년>)
연계정보
* 관련도서김수근 건축론, 정인하, 시공문화사, 2000당신이 유명한 건축가 김수근입니까, 김수근문화재단 편, 공간사, 2002좋은 길은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 김수근, 공간사, 1989년김수근 건축드로잉집, 공간사, 1990년* 관련자료김수근, 인간과 자연의 회복, 공간, 1970년 1월호정인하, 김수근 건축에 대한 일본의 영향과 한국 건축의 새로운 이념형의 탐구,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6김경태 · 안경환, 김수근의 건축적 패러다임의 변화와 그 배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97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공간 건축
관련사이트
국립진주박물관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