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독립기념관

작품명
독립기념관
건축가
김기웅
장르구분
1971년~1988년
내용
디자인의 주된 방향은 대략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로 극일(克日)이라는 국민들의 염원과 정서의 건축적 형상화와 그에 어울리는 내용을 담아내는 것이고, 둘째는 엄청난 규모의 광장 스케일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수덕사 대웅전의 맞배지붕에서 느끼는 단순함과 강한 힘이 그 원형 모티브라고 할 수 있다. 전면 광장과 후면의 전시 영역에 각각 다른 스케일의 지붕이 엇갈리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공간감을 위해 스페이스 프레임(Space Frame) 공법을 채택하였으나 당선 후 단순 맞배지붕과 철골 트러스 공법으로 계획하였다.
건축가
김기웅* 개인정보1965년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1984년 동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였다. 나상진 건축설계사무소, 한국외환은행 영선과에서 근무하고, ㈜정림건축 설계실장, 이사를 역임하였다. 1980년 건축설계연구소 삼정 대표를 거쳐 현재 ㈜종합건축사 사무소 삼정 디 앤드 지 대표이사이다.
리뷰
독립기념관은 일본이 역사 교과서를 왜곡 저술하여 민족 감정을 심하게 건드리자 일제의 만행을 되새기기 위해 국민적 호응을 받아 세운 기념 건축이다. 박물관과 전시실 등의 기능을 포함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 건물로서, 설계 경기를 통해 채택된 안으로 건설되었다. 한옥의 맛배 지붕을 차용한 겨레의 집은 독립기념관의 중심 건물로서 겉모습은 단층이나 외부 공간은 5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둥과 서까래 등이 과장된 스케일과 전통적인 디테일로 디자인되었다. (신영훈 외, <우리 건축 100년>)
연계정보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독립기념관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19건)
이미지 19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