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풍선심장

작품/자료명
풍선심장
초연장소
창무춤터
안무가
남정호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출연 줌 무용단 스태프 안무/남정호 대본·시/이형기
예술가
남정호
이대 무용과 대학원 졸업, 프랑스 소르본 대학·렌 대학 유학, 장고당 무용단 등에서 활동했다. 1980년 귀국 공간극장에서 <안녕하세요?> 등 유희가 접목된 춤 발표, 부산 경성대 교수(줌무용단 창단), 무용원 교수, 남정호 무용단 예술감독. 남정호는 1952년 12월 31일 한국 김천에서 태어났다. 10살부터 발레와 한국무용을 배우기 시작하였고 이화여대에서 현대무용으로 전공을 바꾸면서 독자적인 개성을 바탕으로 한 자신만의 춤에 눈을 떴다. 이후 프랑스에 유학하여 하리 소르본느 대학과 렌느 2대학에서 이론을 공부하는 한편, 프랑스 ‘장 고당 무용단’에서 프로페셔널 무용수로 활약하며 프랑스에서 가장 뛰어나기로 정평이 난 현대무용마스터, 피터 고스에게 현대무용 테크닉을 사사했다. 그녀는 당시 프랑스권에서 태동하던 누벨 당스를 익히고 1982년 한국에 돌아와, 자신의 춤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에 착수해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행보를 쉬지 않고 있다. 그의 작품은 지난 시절에 대한 향수, 유머와 위트, 그리고 풍자와 유희를 자유자재로 넘나드는 가운데, 근저에 한국적 뿌리가 단단한 춤이란 어떤 것인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전형을 만들어가고 있다. 대표작품 <안녕하세요?>(1982), <대각선>(1982), <세 개의 선>(1984), <풍선심장>(1984), <얘들아 나오너라 달 따러 가자>(1987), <자화상>(1988), <가시리>(1989), <우물가의 여인들>(1990), <나그네들>(1994), <신부>(1996), <나는 꿈 속에서 춤을 추었네>(1997), 줌 무용단 현대무용단 ‘주-ㅁ’은 보다 진취적이고 실험적인 무용공연을 통해 종래의 도식적이고 정착되지 못한 무용 프로페셔널리즘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또 다른 무대예술형태를 가꾸고자 하는 취지로 1988년에 부산에서 창단된 무용동인단체이다.
리뷰
프랑스 정취, 살롱 드라마적 전개, 세련된 도시적 감수성, 요정과도 같은 귀여운 악마성이 남정호의 춤세계이다. (채희완 – 무용평론가) 남정호는 창무춤터 무대 <풍선심장>에서 다섯 개의 꽃(인체)들을 토해놓는다. 남정호 외 얼굴을 망사로 가린 무명지도 있다. 이 춤은 색채과시, 하이브로함이 특징이다. 꽃을 토해놓았을 때 강약의 바란스 풍선들이 떠다니는 세상은 막연하지 않고, 재미있고, 고소하다. 금방 터져버릴지도 모르는 다섯 개의 심장을 안무자가 만지고 커다랗게 부풀린다. (김영태 – 무용평론가)
이미지
제공 : 줌 무용단
영상자료
관련멀티미디어(전체10건)
이미지 1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