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백병동

작품/자료명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백병동
작곡가
백병동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가사 다눕강 살얼음이 지는 첫 겨울 가로수 잎이 하나 둘 떨어져 뒹구는 황혼무렵 느닷없이 날아온 수발의 총탄은 쥐새끼 보다도 초라한 모양으로 너를 쓰러뜨렸다. 네 죽음에서는 한 송이 꽃도 흰 깃의 한 마리 비둘기도 울지 않았다. 네 죽음을 보듬고 부다페스트의 밤은 목놓아 울 수도 없었다. 너를 겨눈 같은 총부리 앞에 네 아저씨와 네 오빠가 무릎을 꾼 지금 인류의 양심에서 흐를 것인가 부다페스트의 소녀여 내던진 네 죽음은 동포의 치욕에서 싹튼 것 싹은 자유를 찾는 네 뜨거운 피속에서 움튼다. 부다페스트의 소녀여
예술가
백병동 (白秉東 1936~ ) 작곡가. 만주 적봉 출생. 1942년 황해도로 왔고 6ㆍ25때 전북 진안으로 옮겼다. 1955년 서울대학교 작곡과에 입학, 김성태와 정희갑을 사사했으며, 재학 시절이던 1960년 제1회 작곡발표회를 가졌다. 1961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을 졸업한 후 1962년 <교향적 3장>으로 공보부 주최 ‘제1회 신인예술상’을 수상했다. 1969년 독일로 유학을 떠나기 전까지 경동고등학교와 서울여상에 교사로 근무하면서, 1963년과 1966년 두 차례의 개인 작곡발표회를 가졌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피아노를 위한 고전조곡>, <현악4중주 1번>, <첼로 협주곡> 등이 있다. 1969년 독일 하노버국립음대(Staatliche Hochschule fuer Musik Hannover)에서 수학했다. 하노버에서 윤이상을 사사했고, 1971년 귀국했다. 1972년부터 1978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에 재직했고 1979년부터 서울대 음대에 재직했다. 1970년 독일 유학 때 쓰기 시작한 1970년대 ‘운(調)’ 시리즈가 독주악기를 위한 작품들로 1970년대를 장식했고, 총체예술적 관심을 표출한 <실내>(1973), <변용>(1974), <진혼>(1974) 등의 대표작이 이 때 쓰여졌다. 1980년대에 들어 일본, 암스테르담, 러시아, 미국, 헝가리, 독일 등지에서 활발하게 연주되었으며. 관현악을 위한 <산수도>(1983), 피아노를 위한 <소나테 소노르>(1985), <별곡 ’87>(1987), 마림바와 두 타악기 주자를 위한 <콘트라>(1988)는 이 시기의 대표작이다. 1990년대에 들어 어느 때보다도 힘이 들어가지 않은 쉬운 음악을 지향하고 있다. 최근작으로는 일본음악집단이 위촉하여 1995년 11월 17일에 초연된 일본악기를 위한 <시나위>가 있다. 1975년 월간음악상을, 1977년 <제2현악사중주>로 대한민국 작곡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1982), 서울시 문화상(1983), 대한민국 작곡상(1990), 영창음악상(1993) 등을 수상했다.
작품목록
관현악과 현악앙상블 1. 교향곡 3장 (1962년) 2. <침체된 음향> (1962년) 3. 목관과 현올 위한 조곡 (1963년) 4. 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진여(眞如)> (1969년) 5. 관현악을 위한 <정취> (1971년) 6. 83주자를 위한 <변용> (1974년) 7. 3개의 오보에와 관현악을 위한 <진혼> (1974년) 8. 관현악을 위한 <아비스> (1978년) 9. 2개의 혼과 현악합주를 위한 <추흥사(秋興詞)> (1981년) 10. 현악합주를 위한 <여울목> (1982년) 11. 관현악을 위한 <산수도> (1983년) 12. 비올라와 캄머앙상블을 위한 <파사칼리아> (1983년) 13. 관현악을 위한 <포구> (1986년) 14. 관현악을 위한 <9월에> (1987년) 15. 관현악을 위한 <진혼> (1992년) 협주곡 1. 첼로협주곡 ’69 (1969년) 2. 비올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72년) 3.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74년) 실내악 1. 바이올린 소나타 (1960년) 2. 피아노 트리오 (1960년) 3. 첼로 소나타 (1962년) 4. 현악 4중주 1번 (1963년) 5. 콘트라스트 (1964년) 6. 첼로 소나타 2번 (1966년) 7. 3주자를 위한 <세엽(細葉)> (1971년) 8. 7주자를 위한 <에스하배> (1972년) 9. 실내(室內) (1973년) 10. 목관 5중주곡 (1975년) 11. 제2 현악4중주 (1977년) 12. 7악기를 위한 고전조곡 (1977년) 13.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에피그람> (1978년) 14. 인성(여성)과 더블베이스를 위한 <프롤로그와 에필로그> (1978년) 15. 5악기를 위한 <시나위> (1979년) 16. 타악기 앙상블을 위한 <파사칼리아> (1979년) 17. 플루트, 기타, 첼로를 위한 <소리> (1981년) 18. 피아노 트리오 (1985년) 19. 플루트, 클라리넷, 기타, 비올라,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명(莫)> (1987년) 20.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별곡(別曲) '87> (1987년) 21. 제2실내협주곡 (1988년) 기악곡 1. 어린이를 위한 조곡 (1957년) 2. 송해섭 주제에 의한 7변주곡 (1959년) 3. 피아노 소나타 (1960년) 4. 12음과 세 조각의 단상 (1961년) 5. 피아노를 위한 <세 개의 소묘> (1961년) 6. 서정 주제에 의한 패러프레이즈 (1963년) 7. 고전 조곡 (1963년) 8. 오보에를 위한 <운(題)-I> (1970년) 9. 피아노를 위한 <운(題)-II> (1972년) 10. 하프를 위한 <운(銀)-III> (1973년) 11. 두 대의 하프를 위한 <방황> (1973년) 12.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바가텔 (1973년) 13. 무반주 첼로를 위한 4개의 소품 (1975년) 14. 피아노를 위한 <선에 관한 각서> (1978년) 15. 피아노를 위한<연계> (1978년) 16. 바이올린을 위한 <운(題)-IV> (1978년) 17. 트롬본과 현을 위한 <운(銀)-V> (1979년) 18. <조그마한 밤의 노래> (1979년) 19.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운(諸)-VI (1981년) 20. 4손을 위한 <선에 관한 각서> (1982년) 21. 1인의 플루트 주자를 위한 <3부작> (1982년) 22. 2대의 기타를 위한 <기타리아나> (1984년) 23. <소나테 소노르> (1985년) 24. <콘트라> (1988년) 25. 쳄발로를 위한 3개의 바가텔 (1988년) 26. 첼로와 더블베이스를 위한 5개의 조곡 (1989년) 27. 기타를 위한 <담즙(淡汁)> (1990년) 28.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다섯 개의 소품 (1990년) 가곡 1. 늪 (조병화 시, 1957년) 2. 동백꽃 (이수복 시, 1957년) 3 창 (김신자 시, 1960년) 4. 푸른 묘비들이여 (주소천 시, 1960년) 5.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김춘수 시, 1960년) 6. 기분 전환 (김소월 시, 1960년) 7. 연정 (안정현 시, 1960년) 8. 소라 (조병화 시, 1961년) 9. 남으로 창을 내겠오 (김상용 시, 1961년) 10. 자장가 (임종복 시, 1961년) 11. 빠알간 석류 (나재인 시, 1962년) 12. 나그네 (박목월 시, 1964년) 13. 마을 (조지훈 시, 1964년) 14. 빈약한 올훼의 초상 (1966년) 15. 삼매 (유태환 시, 1966년) 16. 화장장에서 (장건모 시, 1968년) 17. 강강술래 (이동주 시, 1968년) 18. 어둠과 시간과 (이종학 시, 1968년) 19. 아리랑 (김기분 시, 1968년) 20. 진혼가 (천상병 시, 1973년) 21. 플루트와 소프라노를 위한 아침 (성미혜 시, 1973년) 22. 곡! 신동엽 (천상병 시, 1973년) 23. 3개의 플루트와 소프라노를 위 한 아침 (1975년) 24. 자주 구름 (김소월 시, 1976년) 25. 추억 (조병화 시, 1987년) 26. 삼매 (1987년) 27. 바다와 나비 (1988년) 28. 귀천 (1993년) 29. 물수제비 (1994년) 합창 1. 대사 더듬기 (1975년) 2. 밤의 강 (1976년) 전통악기를 위한 곡 1. 가야금위한 <실내음악> (1965년) 2. 가야금과 여섯 악기를 위한 <실내음악 2번> (1972년) 3. 가야금을 위한 <신별곡> (1972년) 4. <명(冥)> (1975년) 5. <운락(韻樂)> (1976년) 6. 국악합주를 위한 <대사(對斜)> (1977년) 7. 대금과 양금을 위한 <대사-Ⅱ> (1978년) 8. <사라진 영을 위하여> (1983년) 9. 합창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가요삼재> (1985) 10. <환명(還冥)> (1988년) 11. 가야금 3중주 <담즙(淡汁) '92> (1992년) 12. 대금 5중주 <사잇소리> (1994년) 13. 일본악기를 위한 <시나위> (1995년) (쯔다홀 프로 무지카 니폰(Pro Musica Nippon) 140회 기념 위촉 작품, 일본 음악집단 연주) 무용음악 1. <춘향전> (1972년) 2. <덫> (1978년) 3. <창살에 비친 3개의 그림> (1980년) 4. <징깽맨의 편지> (1981년) 극음악 1. <노비문서> (1973년) 2. <이화부부> (1977년) 3. <신화 1900> (1982년) 오페레타 1. <석가탑> (1967년) 어린이를 위한 음악극 1. <파란풍선> (1977년) 교성곡 1. <산하여! 아침이여!> (1984년) 2. <육이오> (1990년) 오페라 1. <이화부부> (1986년) 작품집 1. <운 2> (1977년) 2. <제2 현악 4중주곡> (1977년) 3. <조그마한 밤의 노래> (1981년) 4. <플루트, 기타, 그리고 첼로를 위한 ‘소리’> (1984년) 5. <소나타 소노르> (1986년) 6. <선에 대한 각서> (1986년) 7. <별곡 87> (1987년) 8. <두 대의 기타를 위한 ‘기타리아나’> (1988년) 9. <쳄발로를 위한 ‘세 개의 바가텔’> (1989년) 10. 피아노 음악 <고전 모음곡> 11. <송해섭 주제에 의한 7 변주곡> 12.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묘> 13. <연계> 저서 1. <음악이론> (현대악보사, 1985년) 2. <교양의 음악> (지학사, 1985년)
연계정보
음반정보 <백병동 작품집> CD (1996년, BMG뮤직)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