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소프라노, 플룻, 클라리넷,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가시리’-박재열

작품/자료명
소프라노, 플룻, 클라리넷,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가시리’-박재열
작곡가
박재열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가시리’는 제6차 아시아 작곡가연맹회의 위촉으로 작곡되어, 1979년 10월 일본 A가 앙상블과 남창 이동규에 의해 국립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원래는 남창으로 연주되게 되어 있으나, 소프라노 혹은 대금 등으로 바꾸어 연주할 수 있는 곡으로 그 편성에 따라서 음악의 분위기가 바뀌는 특성을 갖고 있다. 우리 국악 중 가사, 가곡의 음악적 특성을 현대적 어법으로 표현해보려고 한 이 곡은 판소리와는 상반되는 서정적이며 내면적인 음악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예술가
박재열 (朴在烈 1930~ ) 작곡가. 강원도 태백 출생. 1959년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1961년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1962년부터 연세대학교 음대 전임강사가 되었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1970년 클리블랜드 음대 대학원을 마쳤다. 연세대 음악연구소 소장, 20세기작곡연구회 회장, 한국음악협회 이사로 활동했다. 대한민국 작곡상, 문화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를 정년 퇴임했다.
작품목록
기악곡 l. 클라리넷 소나타 1번 (1956년) 2. 바이올린 소나타 1번 (1959년) 3. 5개의 악기를 위한 희유곡 (1960년) 4. 클라리넷과 오케스트라 조곡 (1961년) 5. 금관과 타악기를 위한 음악 (1962년) 6. 목관4중주 (1963년) 7. 현악4중주 1번 (1964년) 8. 목관3중주 1번 (1965년) 9. 현악을 위한 3곡 (1966년) 10.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곡 (1967년) 11. 금관, 타악기, 실로폰을 위한 시 (1968년) 12. 소프라노와 오케스트라의 모노드라마 (1969년) 13. 플루트와 현. 타악기의 <시나위> (1969년) 14. 5개의 악기를 위한 <산조> (1969년) 15. 2악장의 심포니아 (1969년) 16. 플루트와 전자음향의 <달무리> (1970년) 17. 6개의 금관, 피아노, 하프, 타악기를 위한 <에밀레> (1970년) 18. 오케스트라와 전자음향의 <고별> (1970년) 19. 첼로 협주곡 1번 (1970년) 20. 관현악과 타악기를 위한 <경> 21. 앨토 리코더와 하프를 위한 <비가> 전통악기를 위한 곡 1. 실내악곡 <공간의 환상> 2번 (1976년) 2. 합주곡 <공간의 환상> 3번 (1976년) 3. 남창과 실내악을 위한 <가시리> (1977년) 4. 대금과 합주를 위한 <시나위> (1984년) 성악곡 1. 산 (1958년) 2. 정선아리랑 (합창곡) 3. 시조에 의한 새 개의 합창 4. 여성 3부를 위한 합창 1) 금잔디 2) 자장가 3) 산수갑산 오페라 1. <초분> (전2막) 2. <심청가> (단막) 3. <공간의 환상> (단막) 4. <약장수> (실내 오페라) 교성곡 1. 바라 2. 나의 강산아 작곡집 1 . <관현악과 타악기를 위한 ‘성’> (연세대 출판부, 1975년)
연계정보
음반정보 <한국의 작곡가> (21세기를 위한 KBS-FM 한국의 작곡가 시리즈 4) 수록곡 (소프라노 : 이병렬, 플룻 : 김대원, 클라리넷 : 김현곤, 피아노 : 김민숙, 타악기 : 이영완ㆍ윤경화)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