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오보에를 위한 한국적 음률-김순애

작품/자료명
오보에를 위한 한국적 음률-김순애
작곡가
김순애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이 작품은 ‘수양버들과 옛 언덕’, ‘달을 쳐다보며’, ‘랩소디’ 세 곡으로 되어있다. 한국적인 기분을 살리기 위해 전통민요인 ‘밀양 아리랑’, ‘달아 달아 밝은 달아’ 등의 선율과 리듬을 주요 재료로 사용하였고 전통악기인 피리의 음색과 유사한 오보에를 선율악기로 하여 보다 한국적인 색체를 느끼게 한다.
예술가
김순애 (金順愛 1920~ ) 작곡가. 황해도 안악 출생. 1941년에 이화여자전문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대구와 서울에서 음악교사 생활을 하였다. 첫 창작곡으로는 1938년 이화여전 시절에 지은 자작시에 의한 <네 잎 클로버>로 알려져 있다. 1946년 8월 15일 서울신문사 후원으로 개인작곡발표회를 가졌으며, 다수의 가곡과 기악 소품들을 발표했다. 1953년부터 숙명여대에 재직하였으며, 1955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이스트만음대(Eastman School of Music) 대학원을 1957년에 졸업했고, 1960년부터 이화여대 교수를 지냈다. 5회에 걸쳐 작곡발표회를 가졌으며, <김순애 가곡집>을 출판했다. 저서로 <역사에 비친 음악가들>(박영출판사, 1976년)이 있다. 1974년에 제1회 한국작곡상(한국음악협회), 1977년에 한국아동음악상, 대한민국예술원상, 국민훈장 목단장, 3ㆍ1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한국작곡가협회 부회장을 지냈다.
작품목록
성악곡 1. 네 잎 클로버 (1938년) 2. 동경 (1946년) 3. 환상 (1946년) 4. 밤 (1946년) 5. 해당 (1951년) 6. 날라리 (1951년) 7. 눈 (1951년) 8. 또 하나 다른 태양 (1951년) 9. 물레 (1951년) 10. 파초 (1951년) 11. 가는 길 (1951년) 12. 모란이 피기까지는 (1951년) 13. 송별 (1951년) 14. 낙화 (조지훈 시, 1951년) 15. 출정사 (1951년) 16. 바람의 노래 (1951년) 17. 사랑의 영혼 (1951년) 18. 진달래꽃 (1951년) 20. 찢어진 피리 (1951년) 21. 4월의 노래 (박목월 시, 1953년) 22. 황혼이 짙어갈 때 (1956년) 23. 파랑새 (1957년) 24. 사랑 (피천득 시, 1959년) 25. 이슬 (피천득 시, 1959년) 26. 바람의 노래 (조지훈 시, 1964년) 27. 분꽃이 필 때면 (1964년) 28. 그대 있음에 (김남조 시, 1964년) 29. 달무리 지면 30. 진달래 31. 이슬 32. 산야(山夜) 33. 생각 34. 후회 35. 신록(新綠) 36. 단풍 37. 낙엽 38. 사랑 기악곡 1. 피아노곡 <황혼> (1946년) 2. 피아노곡 <환상> (1946년) 3. 피아노곡 <변주곡> (1946년) 4. 바이올린 소나타 (1946년) 5. 현악4중주 (1946년) 6.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은 소나타 (1961년) 7. 피아노곡 <한국적 음율> 8. 관현악을 위한 주명곡 (재순악보출판사, 1981년) 9. 교향곡 (재순악보출판사, 1981년) 오페라ㆍ교성곡 1. 오페라 <직녀, 직녀여!> 2. 교성곡 <당신은 새벽에 나의 목소리를> 작곡집 1. <김순애 가곡집 I> (국민음악연구회, 1953년) 2. <김순애 동요곡집> (민주교육사, 1957년) 3. <그대 있음에> (이화여대, 1968년) 4. <12월의 노래> (월간음악출판부, 1973년) 저서 1. <역사에 비친 음악가들> (박영출판사, 1976년)
연계정보
음반정보 <한국의 작곡가> (21세기를 위한 KBS-FM 한국의 작곡가 시리즈 2) 수록곡 (피아노 : 이영이, 오보에 : 이희선) 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김순애(金順愛)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