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자명고-김달성

작품/자료명
자명고-김달성
작곡가
김달성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등장인물 최리(낙랑국왕, 바리톤), 낙랑공주(최리의 딸, 소프라노), 호동왕자(고구려 대무신왕의 아들, 테너), 샛별(낙랑공주의 시녀, 소프라노), 장초(한나라의 젊은 장군,바리톤), 예관(낙랑 문관, 바리톤), 위(낙랑의 젊은 무관, 바리톤), 격(낙랑의 제관, 바리톤), 그 밖의 고구려 군사들과 궁녀들, 동민, 석공 등
배경
원래 이 자명고는 1960년 여름에 착수하여 다음해 봄에 완성한 것으로, 작곡가가 비엔나음악대학 졸업 작품으로 제출한 것이기도 하다. 그리하여 제1회 서울음악제가 개최될 때 부분적인 수정을 하여 초연한 것이다. 특히 이 오페라의 흐름은 어디까지나 우리들 체취에 공감되는 바가 큰 것이기도 했으며 한국오페라 사상 몇 가지 새로운 시도를 해본 작품이기도 하다.
내용
서막 (판토마임) 낙랑과 고구려의 접경 단대령에서 호동이 장초에게 붙잡힌다. 제1막 낙랑에서는 며칠동안 잔치가 벌어졌다. 장초에게 감사하는데 장초는 낙랑공주의 환심을 사기에 여념이 없다. 마침 탈옥했다가 다시 붙잡힌 호동을 보고 공주가 호감을 가지게 된다. 제2막 감옥에 갖힌 호동을 찾아온 공주가 모두 평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말을 한다. 호동은 격분하여 자명고를 찢지 못하고 죽는 것이 한이라고 한다. 이때 장초가 들어와 내일 호동을 처형한다고 한다. 제3막 공주의 처소 앞 광장에 참수대가 마련되어 있고 공주는 호동을 살리기 위해 안절부절한다. 이때 호동이 탈출하고 자명고를 찢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화를 낸다. 공주는 호동을 구하겠다는 충정으로 자명고를 찢는다. 번개와 천둥이 치는데 호동은 그녀 앞에 꿇어 앉아 감격의 눈물을 흘린다. 제4막 왕은 흥분하여 공주를 죽인다 하니 예관이 말린다. 이때 장초가 모든 사실을 알아채고 다시 붙잡힌 호동의 목을 치려 한다. 이때 공주가 나와 모든 사실을 말하고 자기를 죽이라 한다. 장초는 왕에게 칼을 주며 공주의 목을 치라고 강요한다. 왕은 딸의 목을 친다. 이때 호동의 일행이 나타나고 호동의 품에서 공주는 숨을 거두며 막이 내린다.
예술가
김달성 (金達聲 1921~ ) 작곡가. 함경남도 함흥 출생. 1951년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1961년에 오스트리아 비인 국립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했다. 1958년에 첫번째 개인발표회를 가졌다. 역서와 저서로 <화성법>, <12음기법 연구>, <작곡기법>, <20세기 음악의 이해>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단국대학교 교수와 한국음악협회 이사, 한국음악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1986년에 정년퇴임 기념 교수음악회를 가졌다.
작품목록
실내악 1. 피아노3중주곡 (1958년) 2. 관과 현을 위한 5중주곡 (1961년) 3. 관ㆍ현ㆍ타악기를 위한 9중주곡 (1962년) 가곡 1. 연가곡 <먼 후일> 전 24곡 작곡 (김소월 시, 1962년) 2. 연가곡 <사랑이 가기 전에> 전 12곡 작곡 (1958년) 3. 2개의 플룻과 2인의 소프라노를 위한 <2가곡> (1966년) 오페라 1. 오페라 <자명고(自鳴鼓)> (유치진 원작, 1961년) 2. 오페라 <자명고> (박만규 극본, 1985년) 피아노 1. 피아노를 위한 4개의 환상곡 (1961년) 2. 피아노 소나타 (1961년) 3.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음희곡(音戲曲)> (1968년) 현악곡 1. 현악 4중주곡 (1961년) 무용곡 1. 민속무용을 위한 관현악곡 <초라니> (이두현 원작, 1965년) 전통악기를 위한 곡 1. 국악기를 위한 <동(童)> (1972년) 2. 국악기를 위한 <만보산견(漫步散見)> (1979년) 3. 국악합주곡 <추야상(秋野想)> (1986년) 4. 오케스트라를 위한 한국민요연곡 (1) (1993년) 교성곡 1. 남해찬가(南海讚歌) (1981년) 관악곡 1. 관악기를 위한 <태비(態飛)> (1984년) 음악극 1. 옥포찬가(玉浦讚歌) (1994년) 작곡집 1. <김달성 가곡집> (예술교육출판사, 1958년) 2. 가곡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69년) 3. 가곡집 <사랑이 가기 전에> (1975년) 4. 가곡집 <국화 옆에서> (1975년) 5. 가곡집 <모란이 피기까지는> (1977년) 6. 가곡집 <방황하는 이의 노래> (1981년)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