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천왕메기(天王메기)

작품/자료명
천왕메기(天王메기)
전승지역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
지정여부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구분
의식음악
개요
<천왕메기>란 지금의 대구광역시 비산동 일대의 주민들이 오랜 옛날부터 신앙으로 받들어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초에 해오던 ‘지신풀이’를 말한다. 각기 ‘천왕목’과 ‘사당’ 그리고 ‘조산(造山)’이 있었으며, 사당 안에는 천왕상의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천왕메기>는 6·25동란 이전까지 연행되었고, 사당과 조산(造山)은 1960년대 이후, 대구시의 도시개발 과정에 철거되어 자취를 감추었다.
내용
해마다 정초에 대내림으로 제관과 독축관을 정하고 정월 보름날에 천왕제를 지냈다. 이때 사당 앞까지 가면서 질굿을 치고 사당문 앞에서 문굿을 치며 사당에 들어가서는 유교식으로 술을 따르며 축을 읽고 제사를 지내고 나면 <천왕메기>로 들어가 지신풀이를 계속하였다. 보통의 지신밟기는 가가호호를 방문하면서 이루어지는데 비산동의 <천왕메기>는 사당의 앞마당에서 흥겨운 가무로서 판 굿을 벌이는 것으로 끝을 맺는 마을 굿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연행 과정은 대내림-제관선출-질굿-문굿-고사독축-천왕메기-판굿으로 이어진다. 이 가운데서 ‘마을 굿’은 농악만의 절차이며, ‘문굿’, ‘천왕메기’는 지신풀이이며, ‘고사’와 ‘독축’은 순수한 유교식 방식이다. 이 <천왕메기>의 이름은 불교적인 것으로 본다면 <천왕메기>는 무속, 불교, 유교의 관습이 하나가 된 ‘제의무악(際儀舞樂)’이라 할 수 있다. ①질굿 마을의 모든 패랭이 패가 당제를 모시는 천왕당 문 앞까지 이동하면서 치는 굿이다. 이동수단인 동시에 당제를 드린다는 것을 온 마을에 알리는 방법이기도 하다. ②문굿 천왕당 앞 문에 도착하면 짧게 흥을 돋운 후 문굿사설로 모든 부정한 액과 살을 물리치고 한 해의 만복을 기원하는 굿이다. ③대내림 천왕문 앞에서 이동하여 천왕당에 당도하면 대내림을 비는 ‘천왕굿’을 치며 신이 완전히 내려 제관과 독촉관을 선정할 때까지 계속한다. ④천왕제 대내림 마지막에 당제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꿇어 앉으면 제관이 의례를 행한다. 독축관이 축을 읽고 마지막 상향 소리에 맞추어 천왕메기굿을 시작한다 ⑤천왕메기굿 흥겨운 살풀이 장단에 맞춰 산과 물과 나무 등 만신에 예를 갖추고 천왕전에 동네의 안녕을 비는 ‘천왕메기굿’을 한다. ⑥천왕메기지신풀이 천왕당에 대한 지신풀이로 마을의 모든 병고와 액을 쫓는 다양한 사설을 읊으며 축원한다. ⑦천왕굿 ‘지신풀이’가 끝나면 천왕당 앞에서 또 흥겨운 굿판이 벌어지는 마당이다. 천왕당 앞에서 행하여지는 굿이라 하여 ‘천왕굿’이라 한다. ⑧천왕놀이 지신풀이와 천왕굿이 끝나면 천왕당을 돌아 기천왕과 말천왕 앞에서 한판 굿을 한다 ⑨마을굿 삼천왕에 대한 굿이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놀이인 마을굿으로 이어진다. 이때는 풍물쟁이들의 놀이순서에 따라 정적궁이-반직굿-엎어빼기-다드래기-강강술래-허허굿-오방진-모듬굿-살풀이-개인놀이-덧배기 등으로 굿이 이루어진다.
전승자 정보
김수기(1943.2.27)는 임문구로부터 비산동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쇠가락을 전수받아 계승하고 있다.
연계정보
·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대구이야기
관련사이트
서대구우체국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