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진도만가(珍島輓歌)

작품/자료명
진도만가(珍島輓歌)
전승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인지리
지정여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
구분
민속악
개요
<진도만가(珍島輓歌)>는 전라남도 진도에서 전해지는 ‘상여소리’이다. ‘만가(輓歌)’는 상두꾼들이 상여를 매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즉 상여소리를 말하는 것으로 진도의 만가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부자나 유지댁 등 지역에서 양반가나 명망가로 알려진 집에서 초상이 있을 때 신청(神廳)의 예인들을 불러 그들로 하여금 만가를 부르게 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마을의 상여 설소리꾼에게 상여소리를 메기게 하는 경우다. 신청의 예인들은 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출상 시 북, 장구, 쇠, 피리 등을 연주하면서 만가를 부르기 때문에 노래의 사설과 가락이 다양하며 무가를 차용하거나 응용하여 부르는 경우도 많다. 일반 만가에서 마을 상여소리꾼이 만가를 부르는 경우에는 조금 단순하여 <에-소리>나 <가난보살>만을 부르며 가는 경우가 많다.
내용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도만가(珍島輓歌)>는 지산면에서 불려지는 신청 예인들의 전문화된 상여소리다. 때문에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진염불>, <에소리>, <재화소리>, <하적소리>, <다리천근>, <다구질소리>가 있고 북, 장구, 쇠, 피리의 반주에 맞춰 소리를 한다. <진도만가>의 특색 중 하나는 마을 여성들이 상여 앞에 두 줄로 늘어서서 흰 무명의 긴 베를 잡고 가면서 상두꾼들과 함께 소리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여성들을 ‘호상꾼’이라고 하는데, 이 호상행렬은 당골이 상여소리를 하는 양반가의 상여 행렬에서 볼 수 있는 것이었지만 지금은 일반화되었다. 인지리를 중심으로 진도 전역에 여성들이 중심이 된 호상계가 조직되어 호상계원들의 부모나 남편, 본인이 사망하면 호상을 하여 진도 만가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있다.①진염불 (긴염불, 진양조 : 상여를 들어올리면서)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재해보살 재해보살이로고나 남우여 다냐타 남우 남우여 아미타불 뒷소리 : 재해보살 재해보살이로고나 남우여 다냐타 남우 남우여 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늙어 늙어 일년 주야 다시 젊기 어려워라 하날이 높다 해도 초경에 이슬 오고 북경이 멀다 해도 사시행차가 왕래하네 뒷소리 : 재해보살 재해보살이로고나 남우여 다냐타 남우 남우여 아미타불 ②중염불 (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뒷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산에 나무를 심어 유전 유전이 길러내야 고물고물 단청일세 뒷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동에로 뻗은 가지 북토보살 열리시고 남에로 뻗은 가지 화보살 열었네 뒷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서에로 뻗은 가지 금호보살 열리시고 북에로 뻗은 가지 수호보살 열었네 뒷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깽깽 앞소리 : 일탄남 이거문 삼녹주 사영장 오목궁 육패관으로 하감통촉 하소사 뒷소리 : 남우야 남우여 남우아미타불 ③에소리 (에소리, 운상소리, 긴소리, 중모리 : 상여를 메고 가면서)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옛 늙은이 말 들으면 북망산천이 멀다든디 오날 보니 앞동산이 북망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여보소 상두꾼들 너도 죽으면 이 길이요 나도 죽으면 이 길이로다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가시길레 못 가겄네 차마 설워 친구 두고는 못 가겄네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이를 갈꺼나 어이를 갈꺼나 심산험로를 어이 갈꺼나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날짐승도 쉬어 넘고 구름도 쉬어 넘는 심산험로를 어이를 갈꼬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삼천갑자 동방삭은 삼천갑자 살았는디 요내 나는 무삼 죄로 백년을 못 사는고 뒷소리 :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 애애 애애야 애애애야 ④재화소리 (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재화 좋네 좋을시구 명년 소상 날에나 다시 만나 보자세라 뒷소리 : 재화 좋네 좋을시구 명년 소상 날에나 다시 만나 보자세라 ⑤하적소리 (하직노래, 늦은 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하직이야 하직이로고나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이로고나 뒷소리 : 하직이야 하직이로고나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이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동네방네 하직하고 살던 집도 다 버리고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뒷소리 : 하직이야 하직이로고나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이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일가친척 다 버리고 처자식들 이별허고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을 허네 뒷소리 : 하직이야 하직이로고나 세왕산 가시자고 하직이로고나 ⑥다리천근 (중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뒷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깊은 물에 다리 놓아 만인공덕에 다리 천근 뒷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쉬어 넘자 쉬어 넘어 다리 천근에 쉬어 넘자 뒷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반야종선을 물 위에 띄고 다리 천근에 길을 닦세 뒷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동갑에 천근 갑장에 천근 한님에 다리 천근 뒷소리 : 아아 아애 애요 아아 앵 애애요 천근이야 천근이요 ⑦아미타불노래 (중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남우아미타불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간다 간다 나는 가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북망산천을 나는 가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허망하다 인생살이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아적 나절 성턴 몸이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저녁 나절 병이 들어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이 내 목숨 뺏어 가니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몹쓸열의 병이로다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떤 동갑은 백년도 산디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이놈 팔자 어이하여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단 팔십도 못 사는고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친구 벗네 많다 한들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느 친구 대신 가며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일가친척 많다 한들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느 친구 대신 갈까 뒷소리 : 남우아미타불 ⑧달구질소리 (중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뒷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일세 동방 닥굴절에 청룡 한 쌍이 들었으니 용해머리 걷힐손가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뒷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이세 남방 닥굴절에 거북 한 쌍 들었네 거북머리 걷힐손가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뒷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삼세 서방 닥굴절에 두꺼비 한 쌍 들었네 두꺼비머리 걷힐손가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뒷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사세 북방 닥굴절에 업에 머리 들었네 업에 머리 걷힐손가 아라감실로 닦아주소 뒷소리 : 어이기야해 가래로고나 ⑨달구질소리 (자진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앞에 앞주산 바라보니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문필봉이 비쳤구나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대대 문장도 날 명당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옆에 옆주산 바라보니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노적봉이 비쳤으니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대대 장자도 날 명당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뒷산을 바라보니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노인성이 비쳤구나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백발 당상도 날 명당 뒷소리 : 어이기 청청 가래요 ⑩잦은 달구질 노래 (잦은모리)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만첩 청산에 깊은 골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두꺼비 업도 닦아보세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앵면 쟁쟁 요란한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깐치 업도 닦아보세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반월 울리 주라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반달이 구름 속에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꽹과리 : 깨갱깽 깨갱깽 깨갱깨갱 깨갱깽 앞소리 : 묻어있는 성국이라 뒷소리 : 어이 청청 가래요 내륙지방은 대개 뒷소리의 변화가 3, 4종류에 불과하나 진도 지방은 10여 종이 넘는다. 여인들이 상두꾼으로 참여하고 가면을 쓰고 조랑말을 탄 2명의 방상시(方相氏)가 칼춤을 추면서 잡신을 쫓으며 반주 악기로 사물이 모두 동원되고 피리까지 등장한다. '⑧달구질소리'의 ‘닥굴절에’는 ‘닦을적에’로 짐작된다. 진도만가는 무속음악과 민요가 교접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음악적 측면에서, 그리고 호상이 따르는 장례풍속의 독특한 점을 볼 때 민속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전승자 정보
<진도만가>는 인지리 당골이었던 김소심(박병천의 모친)에 의해 전승되다 중년에 들어 일반화되었다. 김소심의 만가를 이어받은 사람은 설재복과 김항규 그리고 조공례였다. 그러나 설재복과 조공례는 사망하고 현재 김항규와 설재복의 뒤를 잇는 설재림이 <진도만가>를 전승하고 있다. 김항규는 지산면 인지리 출신이다. 인지리는 진도에서도 노래고을로 알려질만큼 노래가 발달한 곳으로 만가뿐만 아니라 진도 들노래도 전승되고 있는 지역이다. 김항규(1925.4.1)는 어려서부터 인지리의 민요를 익혔는데, 들노래를 부를 때에도 모북을 치며 소리를 했고 또 김소심으로부터 만가를 익혀 <진도만가>를 전승하고 있다. 설재림(1944.3.5)은 설재복이 사망한 후 그의 뒤를 이어 만가를 전승하고 있다. 설재림은 설재복과 김항규에게서 만가를 익혔으며 상여의 꾸밈도 숙지하고 있다.
이미지
음원
연계정보
· 관련도서 <한국만가집(韓國輓歌集)>, 기노을, 청림출판, 1990 <진도만가 조사보고서>, 전라남도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 전라남도, 1998 · 관련사이트· 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민요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15건)
이미지 1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