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제3회 대한민국 미술대전('84)-부부 작품 전시회('84)-아르누보 유리 명품전('84)-신재효 선생 100주기 기념 완판 창극('84)-호국 예술제('84)-제2회 체육부장관배 쟁탈 전국 카누대회('84)-제15회 주한 외국인 태권도 개인 선수권대회('8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수감사절('63)충남 금산군의 인삼('63)문화제 개막('63)제44회 전국 체육대회('63)한일 여자 농구('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강종합개발('82)-제1회 대한민국 미술대전('82)-국보순례('82)-제1회 윈드서핑 선수권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해군 낙도 위문('71)-제17회 전국 과학전람회('71)-제8회 방송의 날('71)-제1회 전국 자수 공모전('71)-한국 동화인협회 창립('71)-제3회 국제 청소년 미술실기대회('71)-한가위 전야제('71)-뮌헨 올림픽 축구 아시아 동부지역 예선경기('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을의 향연('65)-제11회 백제문화제('65)-제9회 밀양문화제('65)-제46회 전국체육대회('65)(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재민들을 위한 주택 마련('61)-서울시내 전신전화 지하 관로공사 실시('61)-교육 공로자 표창('61)-한글타자 경연대회('61)-세계 일주 사진전('61)-미국 양키즈와 레드렉스의 경기('61)-자동차 경주('6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5회 전국 여성대회('67)-경기도 가평 6.25참전 기념비 제막식('67)-키와니스 마을('67)-장정왕 선발대회('67)-레크레이션 축제의 밤('67)-제4회 아시아 남자농구 선수권대회('67)-연고 축구전('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청년회의소 전국 회원대회(‘70) -중앙대학 개교 52주년 기념·박사학위 수여식(‘70)-한국조폐공사 인쇄물, 태국 정부에 수출(‘70) -여성복지회에서 겨울철 복장 전시회(‘70) -제51회 전국 체육대회(‘70)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지회 후원 자선바자회('67)-제14회 방송의 날('67)-장지연 선생 묘비 제막식('67)-비둘기부대 대민 사업('67)-대한소년단 한강 백사장 통일배 진수식('67)-서울대 단과대학 대항 교내 체육대회('67)-김기수 선수 타이틀 방어전('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다는 철통같다(70‘)-결실의 계절(70‘)-제7회 방송의 날 기념식(70‘)-제12회 충북예술제(70‘)-극동종합체육관 개관(70‘)-일선 장병 위문(70‘)(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희망찾기 가족찾기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한국정책방송원
선객 대합실 마련, 인천항(`62)
기부문화
차고 넘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나누는 것, 바로 `기부`를 설명하는 말입니다. 취약한 우리 기부문화의 활성화를 위해서, 각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최고다 기자> 차가운 바람이 코끝을 스칠 때면 의례 자선냄비라는 모습으로 떠오르는 우리의 기부문화. 아직은 선진국에 비해 빈약한 모습입니다. 연간 국가별 기부모금의 총량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기부문화의 선진국인 미국 그 뒤를 잇는 캐나다와 일본, 그리고 중국에 비해서도 뒤집니다. 특히 기부총액 가운데 개인 기부금이 20%로 세계평균인 69.9%와는 차이가 큽니다. 기부 자체가 개인보다는 단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기부문화는 선진국에 비해 아직 취약한 실정입니다. 취약한 기부문화에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부문화를 바꾸기 위해선 무엇보다 인식이 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기부는 남고 넘쳐서 하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나누는 것이라는 겁니다. 인식의 변화에 발맞춰 시스템의 투명성도 담보 돼야 할 덕목입니다. 내가 기부한 돈이 과연 어떻게 적절하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통로가 확보 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봉사활동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의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부문화. 기부문화의 빠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행정자치부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기부문화 혁신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기부를 생활화하고 있는 기부문화 유공자들에 대한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기부문화. 이제 어떻게 모으느냐는 논의보다 어떻게 나누느냐에 대해 고민해 봐야할 때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법제처,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법제처는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을 통해서 지금까지 모두 200여건의 법률을 정비했다고 밝혔습니다.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은 누구나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한자어나 전문 용어를 쉬운 말로 바꾸고 문장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고쳐나가는 사업입니다. 법제처는 앞으로 매년 250여건에 해당하는 법률을 정비해서 2010년까지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감빛으로 물드는 곶감마을
소방출동로는 생명로
알기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
그동안 법률 용어와 문장은 어렵고 복잡해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는데요, 정부는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위해 알기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오세중 기자> 지난해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시작한 법제처의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누구나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한자어나 전문 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고 법 문장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고쳐나가는 사업입니다. 법제처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지법,근로기준법, 교육법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218건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또 올해 남은 기간에도 91건을 추가로 정비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시행 2년째를 맞은 올해 법령 정비 사례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먼저 어려운 한자어로 된 용어의 사례를 보면 요부조자를 도움이 필요한 자로 지득하다를 알게 되다 등의 쉬운 우리말로 풀었습니다. 또한, 일본식 표현인 감안하다는 고려하다로 해하다는 해치다로, 부의하다는 회의에 부치다로 고쳤습니다. 약간인은 몇 명, 생활곤궁자는 생활이 어려운 자로 어려운 용어를 쉽게 표현했고, 임검은 현장검사, 겸무하다는 업무를 겸하다 등의 지나치게 줄여서 이해가 어려운 표현도 풀어쓰도록 했습니다. 법제처는 알기 쉽게 만들 목적으로 만든 법률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하위법령에까지 큰 영향을 미쳐 법령을 알기 쉽게 만드는 노력의 전환점이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법제처는 내년부터 남은 3년 동안도 매년 250여건에 달하는 법률을 정비해 2010년까지 정비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눈에 쏙쏙`- 법령 알기 쉽게 만드는 사업
그동안 법률 용어와 문장은 어렵고 복잡해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는데요, 정부는 국민들이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위해 알기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이 사업의 내용과 성과를 알아봤습니다. 오세중 기자> 지난해부터 5개년 계획으로 시작한 법제처의 ‘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사업’ 누구나가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한자어나 전문 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고 법 문장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고쳐나가는 사업입니다. 법제처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지법,근로기준법, 교육법 등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218건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또 올해 남은 기간에도 91건을 추가로 정비해 국회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시행 2년째를 맞은 올해 법령 정비 사례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먼저 어려운 한자어로 된 용어의 사례를 보면 요부조자를 도움이 필요한 자로 지득하다를 알게 되다 등의 쉬운 우리말로 풀었습니다. 또한, 일본식 표현인 감안하다는 고려하다로 해하다는 해치다로, 부의하다는 회의에 부치다로 고쳤습니다. 약간인은 몇 명, 생활곤궁자는 생활이 어려운 자로 어려운 용어를 쉽게 표현했고, 임검은 현장검사, 겸무하다는 업무를 겸하다 등의 지나치게 줄여서 이해가 어려운 표현도 풀어쓰도록 했습니다. 법제처는 알기 쉽게 만들 목적으로 만든 법률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하위법령에까지 큰 영향을 미쳐 법령을 알기 쉽게 만드는 노력의 전환점이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법제처는 내년부터 남은 3년 동안도 매년 250여건에 달하는 법률을 정비해 2010년까지 정비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기부문화, 나눔의 기쁨
기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나눔의 기쁨은 알고 있지만 실행을 미루고 계시는 분들도 더러는 계실텐데, 30일은 행정자치부 주최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부문화 혁신 포럼이 열렸습니다. 최고다 기자> 차가운 바람이 코끝을 스칠 때면 의례 자선냄비라는 모습으로 떠오르는 우리의 기부문화. 아직은 선진국에 비해 빈약한 모습입니다. 연간 국가별 기부모금의 총량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기부문화의 선진국인 미국 그 뒤를 잇는 캐나다와 일본, 그리고 중국에 비해서도 뒤집니다. 특히 기부총액 가운데 개인 기부금이 20%로 세계평균인 69.9%와는 차이가 큽니다. 기부 자체가 개인보다는 단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기부문화는 선진국에 비해 아직 취약한 실정입니다. 취약한 기부문화에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부문화를 바꾸기 위해선 무엇보다 인식이 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기부는 남고 넘쳐서 하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나누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인식의 변화에 발맞춰 시스템의 투명성도 담보 돼야 할 덕목입니다. 내가 기부한 돈이 과연 어떻게 적절하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통로가 확보 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봉사활동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의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부문화. 기부문화의 빠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행정자치부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기부문화 혁신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기부를 생활화하고 있는 기부문화 유공자들에 대한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기부문화. 이제 어떻게 모으느냐는 논의보다 어떻게 나누느냐에 대해 고민해 봐야할 때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
나눠라 세상을 다 가진것처럼
여러분들은 기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십니까. 나눔의 기쁨은 알고 있지만 실행에는 아직 주저하는 분들 계신텐데요, 30일 행정자치부 주최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기부문화 혁신 포럼이 열렸습니다. 최고다 기자> 차가운 바람이 코끝을 스칠 때면 의례 자선냄비라는 모습으로 떠오르는 우리의 기부문화. 아직은 선진국에 비해 빈약한 모습입니다. 연간 국가별 기부모금의 총량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기부문화의 선진국인 미국 그 뒤를 잇는 캐나다와 일본, 그리고 중국에 비해서도 뒤집니다. 특히 기부총액 가운데 개인 기부금이 20%로 세계평균인 69.9%와는 차이가 큽니다. 기부 자체가 개인보다는 단체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기부문화는 선진국에 비해 아직 취약한 실정입니다. 취약한 기부문화에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부문화를 바꾸기 위해선 무엇보다 인식이 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기부는 남고 넘쳐서 하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나누는 것이라는 겁니다. 인식의 변화에 발맞춰 시스템의 투명성도 담보 돼야 할 덕목입니다. 내가 기부한 돈이 과연 어떻게 적절하게 쓰이고 있는지에대한 명확한 통로가 확보 되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봉사활동과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의 발전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기부문화. 기부문화의 빠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 행정자치부는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기부문화 혁신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기부를 생활화하고 있는 기부문화 유공자들에 대한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기부문화. 이제 어떻게 모으느냐는 논의보다 어떻게 나누느냐에 대해 고민해 봐야할 때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내 나이 일흔 하나! 아직은 靑春
고령화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라고들 하죠.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인생은 60부터다, 아니 70부터다.. 라는 말씀들도 하시는데,나는 어떤 노년을 보내야겠다.. 혹시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젊었을 때 돈 많이 벌어서 풍요로운 노년도 물론 좋지만요, 거기에 보태서 이런 삶은 어떨까요? 행복한 노년의 모습은 이런 것이다.. 하고 보여 주시는 분입니다. 오늘의 희망주인공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사과향 가득한 화엄세상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