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디지털 영상
한국문화정보원과 문화PD가 전달하는 문화 디지털 현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제가 하는 일이 이 전통 악기를 알리는 일인데 이 우리나라 전통 악기는 참 악기가 아주 옛날 악기가 돼서 이걸 그대로 이렇게 알리기는 상당히 어려워요.
만 가지 근심이 사라지는 악기, 만파식적
어떤 악기인지 알고 계시나요?
오래된 역사를 가진 이 악기를 더 널리, 오랫동안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경기 1팀은 경기도의 문화재를 3D 스캔으로 보존하는 사례를 찾아 취재하였습니다
임경배 인천 무형문화재 제6호 대금장 기능보유자
저는 인천 무형문화재 제6호 대금장 기능보유자 임경배입니다.
대금은 어떤 악기인가요?
대금은 아주 옛날부터 만들어져 내려온 전통 악기입니다.
신라 시대 때부터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그 소리가 얼마나 오묘하고 청아한지 적군이 쳐들어올 때 이 악기를 불면 적군이 스스로 물러났다고 해서 만파식적이라고 불렸던 악기입니다.
'대금'이 잊혀지지 않도록
대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제 부는 것을 잘 불어야 잘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처음에는 사람들한테 그 연주 방법을 가르치고 소리가 조금 익숙해지면 만드는 체험 활동을 하는데 구멍도 뚫어 보고 또 취구도 만들어 보고 지공도 만들어 봐서 금방 한 곡씩 또 연주하는 교육도 하고 그렇게 체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전통 악기와 음악 계승의 중요성
요즘 음악도 무척 발달을 하고 진화를 해서 음악이 상당히 요즘 음악이 좋고 하지만 그래도 요즘 음악이 좋으려면 옛날 음악에 뿌리를 둬야 되는 거거든요.
온고히 지신히라는 말처럼 옛날 음악도 알고 요즘 새로운 음악을 창작을 하고 더 발달시키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는 3D 스캐닝과 소리 강조 영상을 통해 전통을 알리는 노력을 기록으로 남겨두고자 합니다.
3D 스캐닝 앱을 활용하여 전통 악기 '대금'을 스캐닝하는 과정을 거치고 대금연 주를 소리 강조 영상으로 담아보았습니다.
대금 연주곡에 대한 소개
대금 정악, 좀 고요하고 청아한 아까 말씀드렸던 만파식적에 어울리는 그런 소리가 좋습니다. 그래서 그 그중에 한 곡 ‘상영산’, ‘영산회상’ 중에 ‘상영산’이라는 곡을 독주하기 쉬운 곡으로 풀어놓은 곡이 있는데 그걸 한 번 해보겠습니다.
<영산회상> - '상영산' 대금 독주 소리 강조 영상
영산회상 현악기 위주의, 관악기를 곁들인 우아하고 섬세한 곡
상영산, 중영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 도드리, 하현 도드리, 염불 도드리, 타령, 군악의 아홉 대목으로 이루어진다
대금 3D 스캐닝
'대금' 3D 스캐닝 결과물 출처 - Polycam
3D 스캐닝 결과물에서는 전통 악기 '대금'의 전체적인 모습과
취구와 지공 등 악기를 구성하는 부속품들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학이 발달하고 해서 이런 핸드폰이나 뭐 이런 컴퓨터 이런 걸로도 화면을 봐서 그냥 직접 만들지 않고 이제 그런 신기술로 우리 악기를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면서 그렇게 만들 수 있는 그런 방법도 상당히 좋을 것 같아요.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이 우리나라 전통의 보존과 함께 나아가길 응원합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3D로 남기는 대금장의 소리와 유산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