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 디지털 영상

한국문화정보원과 문화PD가 전달하는 문화 디지털 현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문화유산
  • 전북

[문화PD] 전주 천년 한지 만들어 보기!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3:07
등록일
2025-01-06

AI의 추천으로 전주 문화유산 중 ‘한지’ 제작 체험을 해봤습니다!
전주천년한지관에서 한지 장인분들과의 즐거운 시간!

#AI #전주문화유산 #전주한지 #전주천년한지관

 
------
 

챗 GPT에게 전주에 아카이빙이 필요한 문화유산을 추천해달라고 했습니다!

전주한옥마을, 경기전, 전주대사습놀이, 한지 제작 과정, 전통 문화 음식까지 다양한 문화유산을 추천해 줬습니다

 

그중에서 한지 제작 과정이 궁금해졌는데요!

말로만 들었던 전주 한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어졌습니다!

 

한지 제조 과정을 체험하러 가기 전에
’전주 한지를 아카이빙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 보존

챗 GPT는 전주는 수 세기 동안 고품질 한지 생산의 중심지였으며 한국의 역사적 정체성을 보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2. 역사적 문서

조선실록, 왕실 기록과 불경 등 한국의 고대 문헌과 유물이 한지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3. 톡특한 장인정신

한지의 생산은 전통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독특한 장인 정신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챗 GPT를 통해 명확한 이유를 가지고 한지 제조 과정을 보다 자세히 알기 위해서

전주천년한지관을 찾아가 봤습니다!

 

본격적인 체험에 앞서 한지 제작 과정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영상 시청을 했습니다

직접 한지도 만져 보면서 몇십 년간 한지를 제작해 오신 초지장 선생님들의 설명을 통해

한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시간이었습니다

 

영상 시청 후에 김성주 장인 선생님의 투어 시간이 있었습니다!

대략적인 한지 제조 과정과 마당에 심어져 있던 닥나무에 대한 설명, 직접 활용하는 다양한 장비들까지 시범을 보여주시고 살펴볼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밖에서의 체험을 마치고 초지방으로 들어갔습니다

닥나무 껍질을 벗기는 과정인 흑피 제거 과정을 직접 보여주셨습니다

아래에서부터 위로 껍질을 통째로 벗기는 것이 핵심이라고 하셨습니다

다음으로는 전통방식인 외발 뜨기로 한지발에 지료를 떠올리는 과정인 초지를 보여주셨습니다

분명 너무 쉬워 보였는데 직접 해 보니 몸이 말을 듣질 않았습니다

 

누군가 하는 일이 쉬어 보인다면

그것은 장인이다

 

초지방 안쪽에서는 전통방식인 온돌 건조를 볼 수 있었고

한지를 하나씩 떼어내며 건조하는 과정을 직접 보았던 게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몸에 밴 움직임으로 너무도 자연스럽게 건조를 하시는 모습에서 장인 정신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장고에서 다양한 종류의 한지를 소개해 주셨습니다

끝으로 챗 GPT에게 질문해서는 나오지 않는 초지장 선생님의 인터뷰로 영상 마치겠습니다

 

<인터뷰>

<전주천년한지관>에 근무하는 한지장 오성근입니다

한지 업에 종사한지는 10대 후반부터 했죠

현재는 76세니까 많이 했죠

 

한지를 잘 모르는 사람이 있어요

그래서 여기에 한지관을 세워서 우리가 옛날 한지를 복원하고

체험을 시켜주는 것이 참 잘했다고 보람을 느끼고 있죠

우리 한지는 역사적으로나 기록을 보나 고문서를 보더라도

우리 한지가 천년이 간다고 하거든요

바램이 있다면 후계자!

많은 젊은이들이 관심을 가지고 여기 와서 배우고 물어보고

그런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열심히 가르치죠 그렇게 된다면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전주 천년 한지 만들어 보기!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