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 디지털 영상

한국문화정보원과 문화PD가 전달하는 문화 디지털 현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문화유산
  • 광주

[문화PD] AI추천으로 만나보는 문화유산 - 윤상원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2:20
등록일
2025-01-06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에 조성되어 있는 고 윤상원 님의 아카이빙을 살펴봅시다!

#윤상원 #5.18민주화운동

 

------

 

여러분 ‘아카이빙’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아카이빙은 특정 기간 동안 필요한 기록을 파일로 저장 매체에 보관해 두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광주광역시에서 아카이빙이 필요한 어디일까요?

ai에게 직접 물어보겠습니다.

 

이때 제 눈에 들어온 것은 바로 광주 5,18 민주화 운동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5,18 민주화 운동의 발원지였던 전남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이었으니까요.

그러자 한 인물이 생각났습니다.

바로 제 학과 선배이자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유공자 이신 고 윤상원 님입니다.

사실 윤상원 님에 대한 아카이빙은 꾸준히 진행되어 왔습니다.

특히 전남대 사회과학대 안에는 윤상원 길, 윤상원 방, 윤상원 숲이 조성되어 있고 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 기회에 교내 있는 윤상원 님의 아카이빙 장소를 살펴보았습니다. 먼저 윤상원 숲은 교내 민주화 운동의 정신, 인물, 장소들의 기념공간을 정비하고, 이들을 하나로 잇는 둘레길인 민주길에 속해있습니다. 그리고 윤상원 방은 사회과학대 내부에 있으며 그의 일생과 업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윤상원 님은 5·18 당시 시민군 대변인으로 옛 전남도청을 지키다 계엄군 총탄에 맞아 숨졌습니다. 그는 1978년 광주 광천동 들불야학에서 노동권과 평등사회의 중요성 등을 가르치며 노동·빈민·학생·문화 운동의 선구·핵심적 역할을 했습니다.

 

바로 옆에 있는 윤상원 길에는 그의 일기 내용 중 일부가 적혀있어 학생들은 수업을 들으러 이동할 때마다 그의 정신을 직접 느껴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그의 일생은 비록 사라졌지만, 자신의 모교에 공원, 기념관 등으로 아카이빙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문화유산 하면 오래된 건축물이나 책 등을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공동체에 커다란 영향을 준 한 사람의 삶 역시 문화유산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때로는 이 삶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이 그 어떤 문화유산보다도 우리에게 커다란 울림을 주는 것 같습니다.

 

저는 벌써 약 3년째 이곳을 자주 지나가곤 합니다. 그때마다 그의 헌신과 희생 그리고 5.18민주화운동이 전남대학교 학생인 제게 주는 그 감정과 의미는 제 마음속에 아카이빙 되어 영원히 남아있을 것입니다.

이것이 아카이빙이 주는 힘인 것 같습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AI추천으로 만나보는 문화유산 - 윤상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