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디지털 영상
한국문화정보원과 문화PD가 전달하는 문화 디지털 현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아카이빙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방법 중 하나는 직접 제작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만들어진것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후자인 방법을 알아볼텐데요.
‘해리버스 공존’ 앱을 통해 서울의 문화유산을 체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카이빙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방법 중 하나는 직접 제작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미 만들어진것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후자인 방법을 알아볼텐데요.
‘해리버스 공존’ 앱을 통해 서울의 문화유산을 체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지털 신기술은 문화재 복원과 보존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해리버스 공존 또한 디지털 신기술인
디지털 신기술인 '메타버스'와 'AR 기술'을 활용해
사라진 우리의 문화유산을 생생히 체험할 수 있도록 합니다.
’헤리버스 공존‘은 앱스토어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가 가능한 어플인데요!
어플을 통해 사라진 우리의 문화유산을
디지털 복원 및 재현하여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저는 오늘 이중에서 경복궁 ‘진하례’와 돈의문을 체험해봤습니다!
조선 왕실의 중요한 의례 중 하나인 진하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경사가 있을 때 신하와 관료들이 모여 이를 축하하는 의식을 뜻합니다.
헤리버스 공존 앱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 1887년 경복궁 진하례는,
신정왕후 조씨의 팔순을 맞아 나라의 태평과 안녕을 기원하는 행사였습니다.
100년이 훌쩍 넘은 과거의 전통적인 장면을
디지털 기술로 이렇게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니
정말 놀랍더라구요!
돈의문은 조선 한양도성의 서쪽 대문으로 '의로움을 두텁게 한다'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왕조의 이상을 상징하며 성곽 방어와 출입 통로의 역할을 했던 돈의문은
1915년 일제강점기 근대화 공사로 철거되었습니다.
지금은 헤리버스 앱을 통해 원래의 돈의문이 있었던 자리에서
디지털 기술인 AR로 생생하게 복원된 돈의문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화면 속 보이는 돈의문이
너무 생생해서 신기하더라구요!
오늘은 해리버스 공존 앱을 통해
서울의 문화유산, 경복궁과 돈의문을 디지털 신기술로 복원한 모습을 직접 체험해보았습니다.
단순히 역사적 장소를 방문하는 것을 넘어, 앱을 통해 과거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디지털 기술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더욱 가까이에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디지털 복원은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그 가치를 전하는 중요한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유산들이 디지털 복원을 통해 새로운 세대와 연결되기를 기대합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서울의 문화유산 체험: 경복궁 진하례와 돈의문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