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 디지털 영상

문화 디지털 영상

한국문화정보원과 문화PD가 전달하는 문화 디지털 현장을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예술인을 위한 맞춤형 플랫폼, 아트모아

아트모아를 아시나요? 예술분야 기업 및 채용 정보, 교육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플랫폼, 아트모아. 다양한 직업, 채용 정보 제공 사이트가 존재하지만, 예술분야는 일자리 수요가 발생해도 기간제, 계약직 형태가 많아 고용 불안정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제대로 된 예술 전문 종합 취업 정보 사이트는 부재했다. 이러한 예술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해 많은 문화예술인을 돕고,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만들어진 플랫폼, 아트모아를 소개하고자 한다. ------ 네, 문화PD 김찬중입니다. 저는 지금 이곳 혜화에 와있습니다. 홍대에 와있습니다. 이 곳은 다양한 예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거리입니다. 아트모아에 대해서 사람들이 얼마나 아는지 직접 제가 물어보겠습니다. 가시죠! 약 50명의 시민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해봤습니다. 예술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있었고, 공연을 관람하러 오신 관객분들도 계셨고, 일반 시민분들을 대상으로도 설문을 진행해봤습니다. 이 결과가 모든 것을 대변할수는 없지만, 많은 시민분들이 대부분 아트모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여러분들께 아트모아가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 인터뷰 진행 1. 자기소개 2.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무엇인가요? 3. 아트모아는 무슨 일을 하는 곳인가요? 4. 아트모아가 다른 채용 사이트와 다른점은? 5. 아트모아의 예술산업아카데미, 누구나 사용 가능한가요? 6. 아트모아 기자단 아티(ATI)는 무엇인가요? 7. 기업 탐방은 어떤 컨텐츠인가요? 8. 앞으로의 아트모아는? 9. 아트모아를 한문장으로 표현한다면? ----- 사실 문화예술인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일자리를 찾기에는 정보가 매우 한정적이었습니다.다른 채용 정보 사이트에는 예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를 알려주다보니정보를 찾는데 오랜시간이 걸렸는데, 이렇게 많은 정보들을 한 곳에 모아두니 매우 든든하고, 편리한 것 같습니다. 또한, 관련된 강의를 골라 수강신청을 하며 들을 수 있다는 것도 큰 차이점인 것 같습니다. 예술인들을 위한 전문 정보 사이트가 있다는 것. 여러분들도 편리하게 다양한 정보를 찾아보시는 것 아떨까요? 지금까지 문화PD 김찬중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3
  • 문화유산
  • 전체

[문화PD] 디지털로 우리 문화 지키기 #3 ‘어린왕자 충청’ 엮은이에게 직접 충청도식 화법을 여쭤보았습니다.

충청도 방언 아카이브 바로가기 : https://www.youtube.com/watch?v=RgHP241LIeI 최근 드라마 소년시대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충청도 방언이 노출되고 있으며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방언을 위한 아카이빙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은데요. 충청도 방언의 대가, 이명재 시인을 만나 취재하고 오디오북 디지털 아카이빙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 아카이빙이란 특정 기간 동안 필요한 기록을 파일로 저장 매체에 보관해 두는일을 말합니다. 고대 갑골문자와 벽화로부터 시작된 기록의 역사는 오늘날에도 꾸준히 지속되고 있는데요. 디지털 신기술이 발전한 오늘날, 어떻게 아카이빙이 이루어지고 있을까요? 앞선 두 PD님의 영상처럼 VR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아카이빙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가 보여드릴 아카이빙 방법은 조금 평범합니다. 아카이빙 방법을 소개하기 앞서 무엇을 아카이빙 할지 먼저 말씀드리자면 저는 충청도 방언을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 사투리는 표준어가 보편화됨에 따라 특별환 상황이 아니라면 현실에서 보기 쉽지 않은데요. 점차 희소해지고 있는 사투리를 보존하기 위해 아카이빙을 진행하고자 하며 오늘날 충청도 사투리 연구에 힘쓰고 계신 이명재 시인님을 만나 직접 충청도 사투리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우리가 사투리다 라고 얘기 하면은 서울말하고 다르다라고 하는 거죠. 예를 들어서 서울에서 밥먹었니? 그러면은 경상도 가면 밥뭇나? 그러잖아요. 말이 다르다는 것은 문화권, 생활권이 달라지면 말이 많이 달라지죠? 예를 들어서 태백산맥이 가로막고 있으면 원주하고 강릉말이 확 달라져요. 서로 소통이 안되니깐. 충청도도 똑같아요. 충청도는 차령산맥이 지나가요. 차령산맥은 높진 않아요. 태백산맥 같이 막 높아봐야 400~700m 평범한데, 차령산맥이 상당히 넓거든요. 거기 넘어 다니려면 되게 힘들겠죠? 산 너머와 산 근방이 말이 전혀 다르겠죠. 최근 유행하고 있는 충청도식 화법에 대해서도 간단히 물어보았습니다. 충청도식 화법은 표준어와 다른 표현의 차이가 핵심인데요. 이명재 시인님께 직접 차이를 여쭈어 보았습니다. 이 표현들은 충청도 사람들이 많이 쓰는 표현이죠 실제로 이런 말들이 흔하게 쓰이고 있고, 충청도 사람들에게 이런 얘기하면 왜 웃는데? 하나도 안웃긴데 (충청도 화법이)일상이니깐 이렇게 얘기하고 이런 말들은 바쁘고, 정신없을 때 이런 말 안써요. 여유가 필요하다고 생각될때는 이런 표현을 써서 부정적인 분위기를 긍정으로 바꿔놓죠, 그럴때 쓰는 말들이고 이후에도 충청도 사투리에 관한 인터뷰를 20여분간 채록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구술-채록 기반 영상 아카이빙 할 예정입니다. 일반 아카이빙과 다르게 구술-채록은 인터뷰어의 생각과 메세지를 꺼내는 것이 중요하였고 화자의 의견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원형을 최대한 유지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원형을 유지하되 시인님의 생각이 훼손되지 않는 선에서 조금의 수정을 거쳐 공개 할 예정이며 다양한 아카이빙 방법을 고민하고 찾아보았습니다. 소리를 아카이빙 하는 형태는 다양했습니다. 더불어 방언을 전문적으로 아카이빙 하는 사이트도 있는데요. 한국방언아카이브, 한국방언자료집은 향토민을 만나 직접 전문적으로 구술-채록 아카이빙을 디지털화 한 사례입니다. 저는 이것보다 조금 더 보편적인 아카이빙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바로 유튜브에 직접 영상 업로드 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영상을 업로드 하는 것 만으로 아카이빙 되는지 의아해 하실 수도 있지만 유튜브 그 중에서 채널을 운영하게 된다면 아카이빙의 정의, 필요한 기록을 파일로 저장 매체에 보관한다는 것에 부합하게 됩니다. 유튜브 디지털로 기록된다는 것을 포함해서 말이죠. 저는 녹음만 진행된 것이 아니라 녹화도 병행하였기에 유튜브 업로드를 진행하고자 하는데요. 우리가 즐겨 보고 있는 유튜브는 영상 콘텐츠 향유로서의 역할을 주로 하고 있지만 이렇게 업로드를 통해 아카이빙이 될 수 있습니다. 표준어의 보편화로 사라질 날이 머지않은 방언 아카이빙을 통해 후손들에게 귀중한 자료로 쓰이길 바라며 영상 마치겠습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3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찰나의 순간을 빠짐없이 기록하는 방법!

내가 보는 시선과 나를 보는 시선을 함께 담는 360도 촬영 ------ 여러분은 유튜브로 360도 콘텐츠를 본 적 있으신가요? 코로나로 랜선 여행이 유행할 때 많이 나왔었는데요 이러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조금 특수한 촬영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360도 카메라를 이용해서 영상을 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360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필요합니다 앞뒤 두 개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촬영이 되고 두 개가 이어진 영상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촬영할 때는 카메라의 위치가 내 시선이 되기 때문에 목적에 맞게 거리와 위치를 조정해 주면 됩니다 지금은 바로 가슴 앞쪽에 두어서 몸 뒤쪽이 가려지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촬영할 때 신경 써줘야 합니다 그리고 머리 위로 높게 든다면 조금 다른 시선으로 더 넓게 내려다보는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360도 촬영을 진행하면 두 가지 방법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영상을 보는 기계를 움직이거나 화면을 드래그해서 360도 전체를 둘러볼 수 있는 영상과 내가 원하는 부분들을 골라서 편집한 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편집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360도 카메라는 앱을 지원해 주는데요 저도 핸드폰을 이용해서 편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촬영한 영상들을 확인해 보면 평소에 보던 섬네일과는 조금 다를 겁니다 한 번 더 클릭해서 들어가 보면 조금 더 익숙한 섬네일이 나오고 다시 한번 더 클릭하면 360도로 회전할 수 있는 편집 화면이 나옵니다 터치를 이용해 축소나 확대, 회전 등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키 프레임입니다 간단히 설명해서 내가 시간과 구도를 지정하면 그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어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360도 촬영의 장점이 촬영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편집 과정에서 원하는 장면들을 보여줄 수 있고 내가 놓친 장면들을 볼 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여행을 가서 멋진 전경을 담아온다거나 나의 일하는 모습과 내가 보는 모습을 같이 담는 브이로그 등에 쓰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360도 영상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온전히 기억하고 싶은 순간이 있다면 이렇게 특별한 방법으로 남겨보는 건 어떨까요?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클릭 한번에 내 목소리가 복제된다고?

중요한 발표나 촬영을 할때, 자신의 목소리로 인해 고민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번에 소개드릴 디지털 신기술은 그런 고민, 걱정을 싹 다 날려줄 프로그램입니다. 바로 TTS AI인데요! TTS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의 목소리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 함께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볼까요? ------ 안녕하세요 여러분! 문화PD 박세훈입니다. 여러분 혹시 목소리 때문에 고민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는 부산에서 태어나고 자라 사투리가 굉장히 심한 편인데요. 그래서인지 이렇게 촬영을 하거나 발표를 할때, 매번 긴장이 되더라고요. 오늘은 저처럼 목소리나 억양에 고민이 있으신 분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함께 알아보실까요? 그 프로그램은 바로 Text to speech AI, 줄여서 TTS AI 프로그램 입니다. TTS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사람의 목소리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TS AI 프로그램의 기능은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텍스트 음성 변환 기능입니다. 단순히 프로그램에 텍스트만 입력하면 다양한 언어와 목소리로 내용을 표현할 수 있는데요. 이를 통해 마케팅, 홍보, 교욱 등 여러 분야에서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음성복제기능 입니다. 프로그램에 자신의 목소리를 학습시킨 뒤, 텍스트를 입력하면 마치 자신이 직접 말하는 것처럼 음성을 출력하죠. 저처럼 말투나 발음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에겐 정말 유용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TTS AI 프로그램에 들어가게 되면 이렇게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다양한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원하는 목소리를 선택해 텍스트 입력만 하면 곧바로 음성으로 전환해주죠. 음성복제기능도 간단한데요. 복제할 음성 파일과 어떤 언어를 사용할지 그리고 악센트와 목소리에 대한 설명만 적으면 이를 분석해 음성을 복제시켜줍니다. 이처럼 텍스트를 입력하고 클릭만 하면 제 목소리를 자유자재로 복제해서 사용할 수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이 목소리가 제 실제 목소리와 얼마나 유사한지 비교도 해봐야겠죠? 지금부터 두 가지의 목소리를 들려드릴텐데요. 뭐가 저고 뭐가 AI인지 여러분도 한번 맞춰보세요! (TTS AI / 실제 목소리 제시) 과연 둘 중 어떤게 진짜 저였을까요? 그 정체를 지금 바로 공개하겠습니다! 정답은 B가 제 진짜 목소리였습니다. 여러분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 저는 소름이 돋을 정도 였는데요. 이렇게 클릭 몇 번만으로도 수준급의 표준어를 구사할 수 있고, 심지어 현지인 수준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이처럼 TTS AI는 유용한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뉴스 분야에서는 AI로 기자들의 음성을 복제해 유튜브 콘텐츠로 제공하는 경우를 볼 수 있고, 교육 분야에서도 여러 언어로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 제작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죠. 하지만 기술의 발전이 항상 긍정적인 면만은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목소리를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고, 음성 데이터가 유출되거나 악용될 위험성도 존재하죠. 다만 이러한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보호나 윤리적 사용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며, 안전하게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TTS AI는 우리가 새로운 방식으로 소통하고, 더 나은 기회를 창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여러분도 이 기술을 활용해 보다 효율적이고 창의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해보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문화PD 박세훈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3
  • 문화산업
  • 제주

[문화PD] AI에게 제주도를 그려달라고 해보았다.

생성형 AI를 통해 제주도를 그려보았습니다. 점점 더 발전하는 AI세계, 여러분들도 도전해보세요! #생성형AI #캔바 #AI이미지 #제주도 ------ PD : 안녕하세요! 문화PD 손혜진입니다. 여러분들은 평소에 쇼츠 많이 보시나요? 저는 하루에 한 번씩은 꼭 보는 거 같은데요, 쇼츠를 보다보면 정말 많이 보이는 영상들이 있습니다! 바로 어떤 이야기를 하며 AI가 만들어준 사진 또는 영상을 함께 사용한 쇼츠들인데요! 흥미로운 이야기에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함께 사용하여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거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AI 이미지는 과연 어떻게 만드는 것일까요? 오늘 제가 직접 만드는 모습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생성형 AI를 만들 수 있는 사이트는 canva, 챗gpt, 망고보드, 어도비 등이 있는데요, 저는 여기서 canva를 통해 AI 이미지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D : 캔바는 현재 회원가입만 하면 무료로 AI 이미지 생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그래픽, 동영상을 만들 수 있는데 이미지 내에서도 일본 애니메이션, 몽환적 등 5가지의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로 세로 비율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먼저 비행기를 타기 위해 공항으로 들어가는 여자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스타일은 포토, 비율은 가로로 해볼게요! 이렇게 4개의 이미지가 생성 되었는데요, 정말 빠르고 신기하지 않나요? 여기서 더 원하는 이미지에 가깝게 하고 싶다면 프롬프트를 더 정확하게 작성해주면 됩니다. 비행기 시간에 늦어 캐리어를 끌고 공항에 뛰어 들어가는 단발머리의 한국인 여자를 한 번 만들어 달라고 해보겠습니다! 설정은 똑같이 포토, 가로로 해볼게요. 제가 입력한대로 잘 나온 거 같네요! 그럼 이제 사람이 아닌 풍경을 한번 만들어볼까요? 제가 사전에 촬영해 온 제주 지역을 텍스트로 바꾸어 이미지 생성을 해 볼 예정인데요, 만들고 난 뒤에는 게스트를 모셔서 어디를 구현한 것인지 맞추는 시간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과연 제가 잘 만들 수 있을지 끝까지 지켜봐 주세요. PD : 제가 찍어온 곳은 금능해수욕장과 오설록 티 뮤지엄인데요, 금능해수욕장에 있는 커다란 야자수와 바다에서 보이는 풍력발전기를 한번에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금능해수욕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바다 위에서 돌아가는 5개의 풍력발전기와 바닷가에 있는 3그루의 야자수를 그려줘 이번에는 필름스타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마음에 드는 사진이 없다면 다시 생성하기를 눌러 더 만들어 볼 수도 있는데요, 저는 지금 나온 4가지 이미지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이 없기 때문에 한 번 더 생성을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총 8가지의 이미지를 생성해 보았는데요, 제주도의 푸른 바다와 비슷한 이 이미지를 최종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으로는 오설록 티 뮤지엄을 한번 만들어 볼까요? 나무한그루가 오른쪽에 서 있는 거대한 녹차밭을 그려줘, 오설록이라고 적힌 팻말도 같이 그려줘 이렇게 4가지 이미지를 생성해줬는데요, 아무래도 한글 구현은 아직까지 어려운듯합니다. 이 중에서도 사진과 가장 유사한 이 이미지를 선택해 주겠습니다. PD : 이렇게 AI이미지로 제주도를 묘사해봤습니다. 여러분들이 보기에는 실제 모습과 비슷한 것 같나요? 이게 실제 오설록이고, 이게 제가 canva로 만들어 본 오설록입니다! 그럼 이제 게스트를 모셔서 제가 제작한 AI 이미지를 보여줘볼까요? PD : 오늘의 게스트는 바로, 제주도에 살고 계시는 저희 부모님이십니다! 인사 한번씩 부탁드려요 부모님 : 안녕하세요~ PD : 지금부터 제가 노트북으로 보여주는 걸 보고 두분이서 장소를 맞춰주면 되고요, 맞추게 되면 제가 상품도 드리겠습니다! 첫번째 장소 한 번 보고 맞춰주세요. 아빠 : 맞출까요? 지금 엄마 : 신창 해안도로? 아빠 : 저기 뭐고 판포리! PD : 땡! 아빠 : 한담해변 PD : 땡! 엄마 : 애월 PD : 땡! 아빠 : 협재 해수욕장 PD : 오! 가까워요 부모님 : 금능 해수욕장! PD : 정답~ 아빠 : 누가 맞췄죠 아빠가 맞췄죠? PD : 아빠가 더 빨랐습니다. 다음 두번째 장소는 조금 쉬울거예요 아빠 : 아 여기는 어딘지 감이 안 오네요 엄마 : 오설록이라고 적혀 있어요. 오설록! PD : 정답~ 아빠 : 아니 적혀 있는거 말하면 안된다 했잖아 엄마 : 오설록이라고 적혀 있어요. PD : 정답 ㅋㅋㅋ 엄마가 먼저 오설록 간판을 발견했네요 첫번째는 아빠가 맞췄고 두번째는 엄마가 맞췄으니까 동점! 이제 상품 드릴게요 이제 상품을 드릴건데요. 제가 동점이 될건 예상을 못해서 하나밖에 준비를 못했어요 그래서 두분이서 나눠서 드시면 될 거 같습니다. 상품은 바로 요새 핫한 두바이 초콜릿! 아빠 뭔지 모른다. 아빠 : 두바이 초콜릿 와~ 엄마 : 우와 처음봐요 두바이 초콜릿 아빠 : 왜 두바이 초콜릿인데? 엄마 : 두바이에서 유명해서 아빠 : 그럼 그거 안 상했나 두바이에서 여기까지 왔는데 PD : 이렇게 지금까지 AI 이미지를 직접 만들어 보았는데요, AI이미지 생성 툴은 수많은 AI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와 제작 과정을 함께하신 여러분들은 어떠셨나요? 여러분들도 직접 AI 이미지를 한 번 만들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지금까지 여러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는 문화PD, 손혜진이었습니다. 안녕~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 문화예술
  • 서울

[문화PD] 공연예술작품과 신기술의 융합!! 다양한 실감형콘텐츠를 선보인 국립중앙극장

(영상설명) 국립중앙극장에서 공연예술작품을 신기술과 융합해 다양한 실감형콘텐츠로 선보였다고 합니다. 실감형콘텐츠로는 메인 전시실인 별별실감극장, 별별체험존, VR체험존, 백스테이지 체험 총 4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025년 하반기에 파주에서 다시 공연예술박물관을 연다고 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대본) 1 00:00:07,100 -- 00:00:10,710 저희 국립중앙극장은 1950년에 건립되어 2 00:00:10,710 -- 00:00:13,440 지금까지 다양한 공연을 많이 해오고 있고요 3 00:00:13,440 -- 00:00:16,130 한국 유일의 제작극장입니다 4 00:00:16,130 -- 00:00:17,090 저희 극장에는 5 00:00:17,090 -- 00:00:20,050 총 3개의 극장이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6 00:00:20,050 -- 00:00:22,470 대극장인 해오름극장과 7 00:00:22,470 -- 00:00:24,080 중극장인 달오름극장 8 00:00:24,080 -- 00:00:26,620 그리고 원형극장인 하늘극장입니다 9 00:00:29,300 -- 00:00:31,480 저희 국립극장에는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10 00:00:31,480 -- 00:00:33,290 3개의 극장이 있는데요 11 00:00:33,290 -- 00:00:36,850 그 외에도 가장 안쪽에 별관 건물이 따로 있습니다 12 00:00:36,850 -- 00:00:38,340 그 공간을 개조를 해서 13 00:00:38,340 -- 00:00:40,860 공연예술박물관으로 사용을 했었고요 14 00:00:40,860 -- 00:00:41,810 그 건물 안에 15 00:00:41,810 -- 00:00:45,110 저희가 신기술융합콘텐츠 전시실을 조성을 했었습니다 16 00:00:45,110 -- 00:00:48,510 저희 공연예술박물관이 올해 중반까지 17 00:00:48,510 -- 00:00:50,200 운영이 되고 있었고요 18 00:00:50,200 -- 00:00:52,560 그리고 신기술융합콘텐츠로 19 00:00:52,560 -- 00:00:55,310 저희도 전시실을 새롭게 만들었었습니다 20 00:00:55,310 -- 00:00:57,420 저희가 만들었던 취지 자체는 21 00:00:57,420 -- 00:01:01,760 공연예술을 융합한 신기술융합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었는데요 22 00:01:01,760 -- 00:01:04,620 저희가 이 두 가지는 사실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을 해요 23 00:01:04,620 -- 00:01:05,530 예를 들면 24 00:01:05,530 -- 00:01:07,070 신기술이라는 것도 그렇고 25 00:01:07,070 -- 00:01:08,820 예술이라는 것도 그렇고 26 00:01:08,820 -- 00:01:11,510 어떤 지금까지의 한계를 뛰어넘는다는 점에서는 27 00:01:11,510 -- 00:01:14,300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착안을 해서 28 00:01:14,300 -- 00:01:15,520 이 두 가지를 성공적으로 29 00:01:15,520 -- 00:01:18,750 한번 융합을 해보자는 시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30 00:01:19,810 -- 00:01:21,300 저희 신기술융합콘텐츠는 31 00:01:21,300 -- 00:01:25,060 총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2 00:01:25,060 -- 00:01:28,080 먼저 메인 전시실인 별별 실감극장에서는 33 00:01:28,080 -- 00:01:30,050 인터랙션으로 움직이는 34 00:01:30,050 -- 00:01:33,290 신기술 융합 콘텐츠가 영상이 돌아가고 있고요 35 00:01:33,290 -- 00:01:37,400 그리고 자신이 직접 무대 의상이나 분장을 체험해 볼 수 있는 36 00:01:37,400 -- 00:01:39,620 디지털 콘텐츠가 또 마련되어 있습니다 37 00:01:39,620 -- 00:01:41,690 별별 체험존이라고 하고요 38 00:01:41,690 -- 00:01:42,880 그리고 다음으로는 39 00:01:42,880 -- 00:01:46,140 백스테이지 투어를 또 VR로 체험해 볼 수 있는 40 00:01:46,140 -- 00:01:47,940 VR 체험존이 있습니다 41 00:01:47,940 -- 00:01:50,700 마지막으로는 작은 무대 위에 올라가서 42 00:01:50,700 -- 00:01:52,370 무대 디자인의 배경으로 43 00:01:52,370 -- 00:01:55,240 자신이 실제 무대 위에 선 것처럼 느껴볼 수 있는 44 00:01:55,240 -- 00:01:57,280 체험 무대가 있습니다 45 00:01:59,520 -- 00:02:03,180 저희 메인 전시실은 별별 실감 극장인데요 46 00:02:03,180 -- 00:02:04,860 이 명칭에서도 보시다시피 47 00:02:04,860 -- 00:02:07,130 저희가 전시실이라고 부르지 않고 48 00:02:07,130 -- 00:02:10,270 일부러 별별실감극장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49 00:02:11,480 -- 00:02:14,620 저희가 아무래도 별별실감극장을 조성을 할 때 50 00:02:14,620 -- 00:02:16,600 가장 중요하게 느꼈던 점 중 하나가 51 00:02:16,600 -- 00:02:18,880 역시 이름이 실감이니까 52 00:02:18,880 -- 00:02:22,360 실감나게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를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53 00:02:22,360 -- 00:02:26,370 그래서 프로젝터가 14대가 지금 설치가 되어 있는 상황이고요 54 00:02:26,370 -- 00:02:27,920 바닥까지 전부 커버를 해서 55 00:02:27,920 -- 00:02:31,390 총 5면에 투사가 된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고요 56 00:02:31,390 -- 00:02:32,750 스피커 같은 경우에도 57 00:02:32,750 -- 00:02:35,380 좀 더 입체적인 음향을 조성하기 위해서 58 00:02:35,380 -- 00:02:37,410 7.1 채널로 구성을 했습니다 59 00:02:38,680 -- 00:02:39,540 그리고 마지막으로 60 00:02:39,540 -- 00:02:42,330 올해 새롭게 추가된 게 바로 인터랙션 기능인데요 61 00:02:42,330 -- 00:02:44,930 가운데 두 개의 인터랙션 장치가 있어서 62 00:02:44,930 -- 00:02:48,410 사람들이 움직임을 하게 되면 그걸 감지를 해서 63 00:02:48,410 -- 00:02:52,160 콘텐츠가 반응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조성을 했습니다 64 00:02:56,770 -- 00:02:59,790 그 외에는 또 저희 공연예술 박물관이다 보니까 65 00:02:59,790 -- 00:03:02,880 자기가 포스터 안에 주인공 배우가 되어볼 수 있는 66 00:03:02,880 -- 00:03:05,860 그런 신기한 콘텐츠를 제작해보기도 했었고요 67 00:03:05,860 -- 00:03:07,160 그리고 저희가 또 가지고 있는 68 00:03:07,160 -- 00:03:09,320 재미있는 콘텐츠가 뭐 분장이라든가 69 00:03:09,320 -- 00:03:11,020 의상 같은 거기 때문에 70 00:03:11,020 -- 00:03:13,250 일반적인 한복이나 이런 게 아니라 71 00:03:13,250 -- 00:03:14,870 실제로는 입어볼 수 없는 무대 72 00:03:14,870 -- 00:03:16,010 의상 같은 또 73 00:03:16,010 -- 00:03:16,820 무대 분장 같은 74 00:03:16,820 -- 00:03:20,320 것을 체험해볼 수 있는 콘텐츠들을 준비를 했었고요 75 00:03:20,320 -- 00:03:22,880 그 외에도 저희가 백스테이지 투어가 있습니다 76 00:03:22,880 -- 00:03:24,220 그런데 요즘에는 77 00:03:24,220 -- 00:03:27,690 워낙 안전상의 문제들이 중요시 되다 보니까 78 00:03:27,690 -- 00:03:30,400 사실 백스테이지 투어를 쉽게 할 수는 없거든요 79 00:03:30,400 -- 00:03:31,470 그렇기 때문에 80 00:03:31,470 -- 00:03:33,210 백스테이지를 다 촬영을 해서 81 00:03:33,210 -- 00:03:36,510 VR로 누구나 관람할 수 있도록 진행을 했었습니다 82 00:03:38,180 -- 00:03:39,730 많은 난관들이 있기는 했지만 83 00:03:39,730 -- 00:03:41,590 가장 흥미로웠던 것 중 하나가 84 00:03:41,590 -- 00:03:44,870 공연예술가 분들도 굉장히 좋아하셨다는 점입니다 85 00:03:44,870 -- 00:03:47,740 예술이라는 건 결국 어떤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기 때문에 86 00:03:47,740 -- 00:03:49,940 신기술과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해서 87 00:03:49,940 -- 00:03:51,920 많은 흥미를 가지고 접근을 해주셨고요 88 00:03:51,920 -- 00:03:54,080 하루 종일 촬영을 해도 89 00:03:54,080 -- 00:03:56,270 개선점을 계속 제안을 한다거나 90 00:03:56,270 -- 00:04:00,270 그리고 저희가 공연예술이랑 신기술 유형 콘텐츠를 같이 만들다 보니까 91 00:04:00,270 -- 00:04:02,890 지방에서도 제안이 많이 들어오고 있어요 92 00:04:02,890 -- 00:04:04,610 전시를 하고 싶다고 제한이 들어와서 93 00:04:04,610 -- 00:04:06,400 지금 협조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94 00:04:07,870 -- 00:04:10,830 저희가 가장 애로사항이 컸던 것 중 하나가 95 00:04:10,830 -- 00:04:13,820 자연스럽지 않다는 느낌이 많이 들기는 했었어요 96 00:04:13,820 -- 00:04:17,980 아무래도 뒤에 CG 배경 앞에서 무용수들이 춤을 출 때 97 00:04:17,980 -- 00:04:21,540 그게 완벽하게 들어맞는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고 98 00:04:21,540 -- 00:04:23,090 또 너무 들어맞게 되면 99 00:04:23,090 -- 00:04:25,610 이게 영화랑 어떤 차이가 있을까 100 00:04:25,610 -- 00:04:27,110 이런 의문이 좀 들더라고요 101 00:04:27,110 -- 00:04:30,220 그래서 공연예술이라는 성격을 잘 살리면서도 102 00:04:30,220 -- 00:04:32,580 어떻게 하면 신기술 융합 콘텐츠를 103 00:04:32,580 -- 00:04:34,810 너무 이질감 없이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인지 104 00:04:34,810 -- 00:04:38,380 그게 좀 저희의 숙제라고 생각이 됩니다 105 00:04:38,380 -- 00:04:40,060 그리고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106 00:04:40,060 -- 00:04:43,760 공연예술이랑 결합하는 데에서의 성과가 좀 컸기 때문에 107 00:04:43,760 -- 00:04:47,870 앞으로도 어떻게 하면 좀 더 공연예술과 신기술이 잘 융합해서 108 00:04:47,870 -- 00:04:49,930 새로운 것을 창출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109 00:04:49,930 -- 00:04:51,590 연구를 많이 하고 110 00:04:51,590 -- 00:04:56,520 또 그 결과를 국민들과 함께 많이 나누고 싶다는 욕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111 00:04:56,520 -- 00:04:59,350 저희가 파주에서 25년 하반기에 112 00:04:59,350 -- 00:05:02,050 공연예술 박물관이 새롭게 문을 엽니다 113 00:05:02,050 -- 00:05:06,240 문을 여는 장소가 무대예술지원센터라고 하는 곳이에요 114 00:05:06,240 -- 00:05:07,660 저희가 그쪽에 115 00:05:07,660 -- 00:05:10,960 아주 많은 무대용품들을 보관을 하고 있는 장소인데요 116 00:05:10,960 -- 00:05:14,370 그런 장소적인 특정도 결합을 해가지고 117 00:05:14,370 -- 00:05:18,340 신기술 융합 콘텐츠를 조금 더 공연예술의 특징을 잘 살려서 118 00:05:18,340 -- 00:05:20,610 제작을 하고자 생각하고 있습니다 119 00:05:20,610 -- 00:05:23,700 많은 분들이 오셔서 이런 콘텐츠를 접하시고 120 00:05:23,700 -- 00:05:26,590 아 예술과 기술이 이렇게도 융합될 수가 있구나 라는 것을 121 00:05:26,590 -- 00:05:28,700 느끼신다면 매우 기쁘겠습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24
  • 문화산업
  • 서울

[문화PD] 지금 뉴스를 진행하는 앵커가 심상치 않다...?! 방송국에도 진출한 AI 신기술!

2023년 국제방송교류재단은 AI앵커 및 프롬프터를 개발하여 11월 AI 헤드라인 뉴스를 런칭하였는데요. 1년이 지난 현재에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1년동안 어떤 발자취를 걸어왔는지 알아보고 AI 앵커와 프롬프터를 활용한 뉴스 제작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방송팀 그런데, 프롬프터를 내리는 사람이 없다?! AI 프롬프터는 기상 캐스터의 발화 속도와 템포에 맞춰 대본을 자동으로 스크롤 하는 응용기술인데요. 상용 구글 STT 엔진을 기반으로 설계된 이 시스템은 STT : Speech-To-Text, 음성 언어를 컴퓨터가 해석 문자 데이터로 전환 아리랑 뉴스 시스템과 연동되며 진행자의 말에 실시간으로 반응하며 자연스러운 방송 진행을 지원합니다. With sunnier skies in store from fryday 금요일부터 화창한 하늘을 만나보실 수 있으실 예정입니다. 일단 AI 프롬프터를 활용했을 때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프롬프터를 올리기 위해서 제작 과정에 (추가 인력이) 참여해서 프롬프터를 운영을 했었는데 (AI프롬프터는) 오디오 음성을 인식해서 자동으로 프롬프터를 올려주기 때문에 저희가 인력을 투여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요. AI 기술 중에 방송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다가 AI 휴먼, AI 보이스... 그리고 뉴스 시스템과 프롬프터 스크롤 작업을 AI에게 맡기고 효율적으로 방송을 제작할 수 있겠다 싶어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Ari는 세계 최초로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유창하게 구사하는 AI 앵커입니다. 2023년 11월 23일, AI 헤드라인 뉴스에서 주요 글로벌 뉴스를 전달하며 데뷔했습니다. 영어와 한국어를 자연스럽게 혼합한 독창적인 진행 방식으로 주목을 받았는데요. 영어로 뉴스를 읽으면서도 한국 지명이나 고유명사는 정확한 한국어 발음으로 전달해 시청자들에게 높은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The festival aims to revitalize the park into a cultural and tourist hotspot. 이 축제는 공원을 문화 및 관광 명소로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ovel 400m of wlking paths are aorned with stunning light sculptures 400m에 달하는 산책로에는 멋진 빛 조각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AI 앵커, Ari가 뉴스를 진행하는 과정은 담당 작가가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완성된 스크립트를 삽입하고 Ari가 프로그램에서 1차 리허설을 진행합니다. 이후 CG와 녹화 작업을 진행하는데요. 한 번 더 스크립트를 보고 검토를 거치면 우리가 시청하게 될 Kulture Wave가 완성됩니다. 완성된 Kulture Wave는 귀에 쏙쏙 박히는 전달력으로 시청자들에게 공신력을 제공해 주고 있었습니다. 저희가 예전에도 AI 뉴스를 운영했었는데, 거기에서도 이제 AI로 생성된 목소리, AI로 생성하는 동작들을 가지고 뉴스에 활용해서 AI 앵커 뉴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Kulture Wave라는 프로그램에서 그날 그날, 나오는 문화 관련 소식을 짧은 뉴스 형식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선, AI 남자 앵커를 도입해 기존 Ari와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더 생동감 있는 진행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또한, 뉴스룸으로 사용하는 가상 스튜디오에 데이터 시각화 기능을 추가해 시청자들에게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려 합니다. 동시에 다국어 실시간 통번역 서비스를 개발해 라이브 스트리밍과 글로벌 소통 역량을 한층 확대할 예정입니다. AI 남성 앵커 도입과 통번역 서비스로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확대까지 국제방송교류재단은 디지털 신기술의 도입기에 넘어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는데요 디지털 신기술, AI 앵커와 프롬프터는 방송계 도입의 선례로 남을 거 같습니다. 저희는 AI 기술을 통해 방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고자 합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혼자서 뮤직비디오 제작이 가능하다고?!

불가능한 영역이라 믿었던 예술 분야까지 AI의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미디어영상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이라면 과연 AI를 이용하여 어떤 창작 활동을 할 수 있을까? ------ PD : 네 안녕하세요 정세영 PD입니다. 출연자 : 네 안녕하세요 미디어영상학과에 재학 중인 000입니다. PD :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서 뮤직비디오를 만드는 게 가능할까요? 출연자의 부정적인 대답 PD : 근데 그걸 오늘 혼자 헤내셔야 합니다. 출연자의 리액션 PD :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AI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죠? 출연자의 대답 PD : 오늘은 방금 말씀해주신 AI툴 말고 다른 프로그램을 활용해볼거예요. PD : 자 인터넷에 Suno를 검색해볼까요? (검색하는 동안 Suno에 대한 설명) PD : 여기에 create를 클릭해볼게요. Custom모드를 켜볼게요. 그리고 이제 수현씨가 원하는 가사를 쓰면 돼요. 가사를 쓰는 출연자와 PD의 리액션 PD : 이번에는 곡의 장르를 정해볼게요. 그리고 제목도 정해주세요. 정하는 출연자 PD : 네 그럼 아래에 create 버튼을 눌러주세요 만들어진 노래를 듣는 둘 PD : 네 이제는 음악 감독님에서 영상 감독님으로 바뀔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Haiper를 검색해볼게요. (검색하는 동안 Haiper에 대한 설명) PD : 위에 text to video를 눌러볼게요. 그리고 뮤직비디오에 들어갔으면 하는 내용을 적어볼게요. 영상을 만드는 출연자 PD : 그리고 아래에 보시면 여러 메뉴들이 있는데 차례로, 영상 길이, 비율, 카메라 무빙등을 정할 수 있어요. 정하는 출연자 PD : 그리고 create를 누르면 영상이 만들어집니다. 영상을 보고 리액션을 하는 둘 PD : 네 이제 계속해서 혼자서 만들어볼까요?? 다 만들어진 뮤직비디오를 감상하는 둘 PD : 이렇게 혼자서 뮤직비디오를 만들어봤는데 어떠셨나요? 대답하는 출연자 PD : 네 오늘 이렇게 AI 툴을 이용해서 처음부터 끝가지 뮤직비디오를 만들어보았는데요. 여러분들도 여러분들의 창작활동에 AI를 활용해서 조금 더 크리에이티브한 작업물을 만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3
  • 문화유산
  • 제주

[문화PD] 에셋으로 만드는 나만의 공간

나도 3D 공간을 만들 수 있다고? 한국문화정보원의 에셋들로 손쉽게 나만의 공간을 만들어 봐요. #언리얼엔진 #전통문화에셋 #에셋 ------ [PD가 관덕정 앞에서 찍은 사진이 나온다.] 여러분 제가 얼마 전에 관덕정 앞에서 셀카를 한 장 찍었는데요. 지금 보고 계신 사진이 바로 그 사진입니다. [PD의 모습이 스르륵 사라진다.] 그런데 사실 이 사진은요 관덕정에서 찍은 사진이 아닌데요.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모르시겠다고요? 그러면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따라오시면 됩니다. [문화PD 인트로가 재생된다.] [언리얼 엔진으로 제작한 관덕정의 모습이 나타난다.] 안녕하세요. 문화PD 홍준서입니다. 좀 전에 관덕정이지만 관덕정이 아니라는 이야기 도대체 무슨 소리인가 하셨을 텐데요. 사실 조금 전 모습은 리얼타임 3D 그래픽 솔루션 창작 툴을 활용해서 제가 만든 3D 공간입니다.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하시다고요? 여러분도 충분히 만드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저와 함께 어떻게 만드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엔진의 로고가 떠오른다.] 대표적인 실시간 3D 개발 플랫폼으로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엔진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오늘은 언리얼 엔진을 활용해 진행해 보겠습니다. 언리얼 엔진은 미국의 에0게임즈에서 제작한 리얼타임 3D 그래픽 솔루션 창작 툴로 현재 실시간 3D 그래픽 제작 분야의 산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영화의 포스터들이 나타난다.] 게임 엔진으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영화와 드라마 등 콘텐츠 제작에도 활용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기생충 승리호 고유의 바다 등에도 이 기술이 활용되었다고 합니다.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를 보여주며 설명한다.] 에0게임즈에서 제공하는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서 KCISA를 검색하시면 다양한 에셋이 나오는데요. 지금 보이시는 이 에셋들은 모두 무료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저는 모두 보유한 상태지만 아직 보유하지 않으신 분들은 장바구니에 담아서 구매를 해주시면 됩니다. 여기서 에셋이란 3차원 디지털 모델로 표현한 객체인데요. 3D로 작업을 하는 경우 이러한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전부 직접 만드는 것이고요. 두 번째는 다른 사람이 만든 것을 가져와 사용하는 것입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제공하는 에셋들의 예시를 보여준다.] 이러한 에셋은 직접 만든다면 정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드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런 고퀄리티의 에셋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한옥과 전통 문양 궁궐 처마 전통 가옥의 재질과 기화 형상 등 수천여 건의 디지털화 작업을 진행하여 각종 배경이나 캐릭터 디자인 등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로 데이터를 개방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자산이 세계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PD가 언리얼 엔진에서 에셋을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면 지금부터 저와 함께 에셋을 활용해 공간을 만들어 볼까요? 저는 제주의 관덕정을 한번 꾸며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에셋을 드래그만 하면 손쉽게 객체를 가져올 수 있고요. 보시면 이렇게 작동하는 에셋들도 있습니다. 관덕정은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로 조선 세종 30년 안무사 신숙청이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세웠다고 합니다. 오늘은 병사들이 훈련하는 모습으로 한번 꾸며보도록 하겠습니다. [완성된 모습을 둘러본다.] 드디어 완성되었습니다. 관덕정에서 병사들이 훈련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느껴지지 않으시나요? 오늘은 이렇게 언리얼 엔진을 활용하여 3D 공간을 만들어 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한국문화정보원에서 이렇게 무료로 제공하는 에셋을 활용하니 쉽고 간편하게 우리의 문화가 담긴 공간을 만들어 볼 수 있었습니다. 나만의 공간을 만들고 싶으시다면 여러분도 한번 도전해 보시면 어떨까요? 지금까지 문화PD 홍준서였습니다. (문화PD 아웃트로)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생성형 AI로 썸네일 뚝딱!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썸네일을 만들어보세요! ------ 여러분은 영상을 보려고 고르실 때 어떤 걸 보세요? 제목? 썸네일? 저는 썸네일을 가장 많이 보는 것 같은데요! 어떤 내용이 들어있을지 한눈에 보이는 것도 중요하고 예쁜 썸네일을 보면 그 내용에 관심 없어도 괜히 한번씩 눌러보게 되는 거 저만 그런가요? ㅎㅎ 오늘은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간단하지만 예쁜 썸네일을 만들어 볼 거예요 물론 하나하나 섬세하게 디자인 하면 좋겠지만 저같은 1인 영상 제작자들은 그럴 시간이 없잖아요? 그래서 최고의 도구 AI를 이용해 볼 겁니다! 먼저 썸네일에 사용할 사진을 불러와 줍니다 저는 이 사진을 사용할 건데요 요트의 난간이 신경쓰이는 사진이에요 바다는 너무 예쁜데 난간때문에 사진이 안 예쁘더라구요 개체 제거 기능을 이용해서 난간을 지워줄 거예요! 브러쉬를 이용해 난간을 모두 선택해 줄게요 그리고 제거를 누르면 선택했던 난간은 모두 사라지고 AI가 빈공간을 채워줍니다. 어? 괜찮은데요? 프사도 바꿔야 겠당 이 사진이 제일 자연스러운 것 같아서 이걸로 할게요 그다음은 개체 삽입 기능을 이용해 볼 건데요 앞에 하늘과 바다가 허전한 것 같아서 좀 채워줄게요 영역을 선택해주고 그 영역에 채우고 싶은 개체에 대한 설명을 적어줍니다 이게 제일 낫네요 좀 부족한 것 같아서 하나 더 생성해 주고요 앞쪽 바다에는 요트도 하나 만들어 줄게요 오~ 꽤 자연스럽지 않아요? 이정도일줄은 몰랐는데 이제 글씨를 만들어 줄 건데요 저는 이 기능이 제일 맘에 들었어요 AI가 입력한 설명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디자인해 주는 기능이에요 먼저 텍스트를 입력해 주고, 원하는 디자인을 입력해주면 AI가 몇가지 시안을 만들어 줍니다 저는 바다라서 물 느낌으로 만들고 싶었는데 좀 깔끔한게 나을 것 같아서 하늘색 유리로 바꿔줬습니다 쨘 어떤가요? 오~~~~ 제가 만든 것 치고 괜찮은데요??? 오늘 제가 사용한 기능 외에도 아예 이미지를 새로 생성하는 기능도 있는데요 원하는 이미지를 자세히 설명할 수록 더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생성형 ai를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은 크게 차이가 없으나 원하는 부분만 선택해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개체 제거가 가능하다는 점 훨씬 많은 스타일 선택 가능한 점이 좋았어요 하지만 영상을 만드는 기능은 없다는 점.. 이건 좀 아쉬웠어요 아무튼 이렇게 오늘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썸네일을 만들어 봤는데요! 저처럼 디자인 감각 없는 사람도 이렇게 그럴듯한 썸네일을 만들 수 있다니! 만약 이걸 하나하나 했다면.. 저는 이제 AI 없이는 작업 못 할 것 같아요 너무 편해요 사용 방법도 정말 하나도 어렵지 않으니 여러분들도 꼭 한번 사용해 보세요!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 문화예술
  • 전북

[문화PD] 이 곳에서 카메라 감독과 우정을 다졌습니다

(영상 설명) 익산에 생소한 스포츠를 쉽게 즐길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익산시 공공 승마장 인데요. 이 곳에서는 직접 말을 타는 승마를 할 수도 있고 옆에 XR 말산업체험관에서 XR 승마를 즐길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가족과 함께 익산 공공승마장에 놀러 가본는 것 어떨까요? (대본) - 하이라이트 재밌었어요~ 처음에는 무서웠다가 점점 재밌었구 저희 XXX은 올해 2월부터 개관해서 체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도입 여러분 안녕하세요 재웅피디입니다 제가 저번에 목포 메타버스 센터를 소개해드렸잖아요? 어떠셨나요? 제가 이번엔 익산에 찾아왔습니다! 익산에 디지털 신기술과 우리가 흔히 접하지 못하는 스포츠와 결합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곳이 있다는데요. 예상이 가시나요? 제가 온 곳은 바로 이 곳입니다 이곳에서 Xr을 활용한 승마를 즐길 수 있는데요! 어때요 흥미롭지 않으신가요? 그럼 저랑 같이 알아보러 가봅시다 - 전개 안녕하세요 익산시 공공승마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혜지입니다 XR 말산업 체험관은 시민을 위한 다양한 체험 공간으로 승마의 대중화를 위해 설립 되었습니다 어린이나 노인분들 실제말을타기어려운분들이 말체험을 통해 두령무과 거리감을 해소할 수 있고승마지식을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저희 XR 체험관을 보시면 MR승마체험, VR마차체험 VR말 관리사 체험이 있고요 미륵사지 석탑, 웅포 벚꽃 길 바람개비 마을 등 익산의 대표 관광지에서 가상으로 승마 경험을 해볼 수 있습니다 자 여러분 저희가 스포츠인데 체험을 안할 수 없겠죠 토실토실한 흑마를 한 번 타보도록 할 건데요 제 승마 실력을 한 번 지켜봐주시죠 왼쪽으로 당기시면 말이 왼쪽으로 가고요 오른쪽 당기면이 말이 오른쪽으로 가고 양쪽으로 다 당기면 말이 멈춥니다 그래서 주의하셔야 되구요 여기 시작버튼 누르시면 빨라져요 이게 꽤 크네요 반동이 이거 재미있네요 이거는 조금 느린 속도입니다 히히 엄청 빠른데? 말이 완전히 신나버렸는데 와 뭐야 아니 80키로야 저 80KM로 달리고 있습니다 지금 (아님)화살표 따라가면 된데요 아니 힘든데 이거 @$% 숨이 겁나 차네요 소모 칼로리 봐주실래요? 지금 1분 밖에 안했는데 벌써 10칼로리를 아니 지금 떨려요 지금 실제로 이거 타시고 3KG를 빼신 분도 계세요 아니 이게 엄청 힘드네요 이번에는 경주입니다 경주 꼴등인데;; 이게 벽에 부딪히면 속도가 느려지네요 와 이거 아까 애기들이 하는거 아닌것 같은데 아니 이게 겁나 재밌어 몇 등이세요? 저 꼴등이요... 왜 이렇게 못타세요? 아니 이거 PD님도 한 번 해보세요 저랑 한 번 이따가 대결 한 번 해 봅시다 이거 경쟁도 있거든요 저랑 경쟁하면서 누가 더 잘하는지 한 번 봅시다 이거 진짜 힘들거든요 여러분 제가 방금 이 XR승마 체험을 해봤거든요 와 근데 이게 애들이 주로 이용하는 거라서 엄청 힘들 것 같지는 않았는데 이 녀석 정말 장난이 아닙니다 이 검정색 말이 거의 여포가 타는 말 수준으로 엄청 힘들구요 진짜 다리가 후들후들 거릴 정도로 반동이 세가지고 얘가 점프도 하거든요 막 이렇게 튄단 말이에요 그래서 진짜 승마 를 하는 기분이었어요 그래서 진짜 승마를 하는 기분이었어요 예상보다 너무 재미있었고 애들이라면 훨씬 더 좋아할 것 같은 애들이라면 훨씬 더 좋아할 것 같은 그런 체험인 것 같아요 자 이제 다음 체험인 VR마차를 타러 한번 가보겠습니다 - 마차 뭐 잡을 건 없나요? 네 출발하겠습니다 이런 거 없나 이런 거 해주고 싶은데.. 너무 빠르다야 아니 무슨 진짜(?)같네 와 근데 말 엉덩이 근육이 장난 아니네(?) 마퀴 바차(?)가 빠졌습니다 여러분 제가 방금 이 VR기기를 쓰고 마차달리기 체험을 해봤는데요 생생하다고 해야하나? 암튼 이 예가 같이 움직이니까 진짜 무슨 진짜 무슨 롤러코스터 탄 느낌도 나고 마차여서 뭔가 좀 더 힘든 거 같기도 합니다 승마를 VR쓰고 하려니까 조금 어지럽고 근데 좀 재미있었습니다 한 번 체험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마무리 자 여러분 제가 이렇게 익산 공공승마장 XR 말 산업 체험체험관에서 XR승마 체험도 해보고 VR마차 승마 체험도 해보았는데요 좀 뭐랄까 깔끔하고 재밌고 흥미로운 공간이 익산의 있을 줄 몰랐고요 익산에 한 번 놀러 오시면 이 승마장을 다 같이 오셔서 애들도 저기 애들 전용 승마 체험도 할 수 있고 어른들도 이렇게 아까 제가 탔던 것처럼 좀 강도 높은 체험을 할 수 있으니까요 가족 단위로든 친구 단위로든 한 번 익산의 오셔서 (이곳에) 눌러 오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너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다들 한번씩 와서 체험해보시길 추천드리구요 오늘 영상은 여기까지구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24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AI를 활용해 나만의 노래를 만들고 싶다면?

SUNO AI를 활용하여 노래를 제작 해보는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봤습니다 엄청 쉬우니 다들 보고 노래를 제작해보세요 ------- 오늘의 콘텐츠 소개** - 안녕하세요 재웅PD입니다 제가 오늘은 무엇을 해볼 건지 궁금하시죠? - 여러분 최근 밈으로 유행이 된 AI노래들 들어보셨나요? (예시 사진 제시) 노래를 들어보면 중독성이 강해서 한 번만 듣기 어려운 곡들이 많은데요 - 이 노래들이 전부 다 AI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노래라는 게 믿겨지시나요? AI기술이 엄청 빠르게 성장하는 게 체감이 되는 것 같습니다 - 저도 이 AI를 사용해 노래를 만들어볼건데요? 어떻게 만들어질지 저도 상상이 안가네요. - 저와 함께 음악 한 번 만들어 봅시다 레쓰고~ **#2 음악 만드는 사이트 소개** - 자 여러분. 음악을 만들어주는 AI는 여러가지 있는데요 저는 그 중에 SUNO AI를 사용해보려고 합니다. 왜 굳이 SUNO AI를 쓰냐. 죄송합니다 SUNO AI만 접해봤습니다 .. - 포털에서 SUNO AI를 검색해서 들어오면 이렇게 영어로 결계가 쳐져있거든요. 그래서 영어를 모른다면 어리버리하게 될 수 있습니다. - 자 여기서 웅PD의 꿀팁 우클릭으로 번역을 누르면 결계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쉽죠? 그리고 나서 여기 만들다 (영어로 CREATE)를 클릭 하시면 저만의 작업공간이 눈 앞에 펼쳐지게 됩니다. 여기선 제가 프로듀서인거죠 - 여기서 관습(COSTOME)을 설정해주면 가사를 직접 쓸 수 있습니다 우리 이제 ARTIST 인데 가사는 직접 써야겠조? - 이제 우리는 머리 속으로 어떤 스타일의 어떤 주제로 음악을 만들지 생각해야 합니다 저는 우리가 어릴 적 자주 들었던 동요의 내용을 가지고 노래를 만들어 보고자합니다 동요의 가사도 가져오고, 재미있게 개사도 하여 동요같은 동요아닌 동요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스타일은 가사를 쓰면서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자 일단 유명한 동요들을 생각해 봐야겠져? #3가사 쓰기 음 .. 제가 지금 생각나는 건 일단 곰 세마리, 곰이니까 예쁜 아기곰 다들 아시겠죠? 그리구 .. 곰이 동물이잖아요? 동물 관련된 동요가 또 악어떼가 있네요 악어떼가 나온다 ~ 또 뭐가 있을까.., 그대로 멈춰라 !~ 오케이, 우리집에 왜 왔니 왜왔니 왜왔니~ 오케이 어느정도 나온 것 같으니까 시작해봅시다 휙 음.. 곰세마리가 한집에 있으면 무섭겠죠 큰일이죠 바로 도망가야겠죠? 도망가만 하면 심심하니까 의성어로 뚜다닥 뚜다닥 살금살금 도망가 듀다닥 듀다닥 그대로 멈춰라 그대로 멈춰라 좋구요 악어가 우리를 멈추게 했으니까 악어가 말합니다 우리집에 왜 왔니~ 답장을 해줘야 겠죠? 곰 피하러 왔어요.. 어느 정도 나왔고 한 번 더 반복을 해봅시다 그대로 멈춰라를 한번 이어 볼까요? 악어가 말한다 고옴이 말한다로 가겠습니다 곰도 똑같이 말합니다 왜 왔니~ 이제 여기서예쁜 곰의 가사를 한번 써 봅시다 한국 곰하면반달가슴곰 검정색 털로 바꿔주고 바꿔주고 곰을 보면서 소망을 얘기하잖아요 그런데 이제 지금 우리가 도망가는 상황이었잖아요? 오케이 이렇게 가사를 한번 써봤는데요 가사를 쓴 걸 바탕으로SUNO AI에서 만들어봅시다 가사를 복붙으로 해줘요 이렇게 가사를 다 쓰고 나면 이제 음악 스타일장르라던지분위기를 골라줘야 되거든요 동료랑 약간 정반대되는여기 보시면 여기갱스터랩 갱스터 랩으로 한 번 만들어보겠습니다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지금 두 개가 다 만들어졌는데 한 번 들어봅시다 4개를 뽑았는데 마음에 드는 게 없어서 한 번 더 해보겠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게 팝 펑크거든요 이 정도로 한번 만들어 볼께요 좀 신나는 노래를 제가 만들고 싶거든요 지금? 지금 뭔가 이렇게 오고 있는데 아직까지 끌어오르지 않는 것 같아요 가슴을 울리는 드디어 제가 원하는펑키하면서 그런 신나는 노래 가슴을 울리는 노래가나왔습니다 - 자 여러분 오늘은 이렇게 AI를 활용해서 노래를 만들어 보았는데요 - 어떠신가요? 정말 흥미롭고 재밌지않나요? 이렇게 쉽게 노래가 만들어지는게 사실 말이 안되잖아요.. 퀄리티도 괜찮고 정말 세계가 저의 생각보다 훨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게 체감되네요 - 시청자 여러분들도 색다른 경험을 하고 싶을 때, AI로 나만의 노래를 제작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작
문화포털
등록일
2025-01-02

문화 디지털 유망직업문화 디지털 분야 전문가 인터뷰와 생생한 현장을 영상으로 전달합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