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100대 민족문화상징 선정 사유]
-한국 그릇문화의 상징물로 가장 보편적인 용기
자연으로부터 흙, 물, 불을 가져와 장인의 손길로 빚은 그릇.
거칠고 투박하지만 우리의 옹기에는 자연의 신비와 넘치지 않는 소박함이 그대로 담겨 있다.
담백하고 수수한 자연의 모습으로 사시사철 우리의 삶을 건강하게 담아온 옹기...
옹기종기 모여 있는 장독대에는 간장독, 된장독, 물동이 등 여러 옹기들이 햇빛과 비바람을 맞으며 견디어 왔다.
이처럼 거센 풍파를 묵묵히 견디는 모습은 마치 세상의 희노애락을 떠안은 우리네 서민의 삶과 닮아있다.
우리나라 전체 옹기의 50% 이상을 제작하는 외고산옹기마을.
한국전쟁 직후 전국에서 모여든 옹기 장인들에 의해 이뤄진 마을로 현재 128가구 중 40여 가구의 옹기 장인들이 조상들의 지혜와 전통을 지키기 위해 혼신을 노력을 다하고 있다.
외고산옹기마을 2세대인 허진규 옹기장은 점차 잊혀져 가고 있는 옹기를 알리기 위해 옹기의 제작과정과 그 쓰임새를 일반이 보다 쉽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옹기마을 2세대로서 1970년대 이후 쇠퇴하던 전통 옹기의 맥을 있고자 했던 결심했을 때 단 한 번의 망설임도 없었다던 허진규 옹기장.
3대째 가업을 이어온 허진규 옹기장은 옹기의 전통을 지켜가는 남다른 철학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옹기를 한데 모아 옹기의 역사를 한 눈에 보여 주는 옹기문화관.
옹기는 점토로 만든 그릇에 잿물을 입히지 않고 구워 겉면이 거친 질그릇과 잿물을 입혀 구워 흑갈색의 윤이 나는 오지그릇의 독이나 항아리를 말한다.
우리 옹기는 흙으로 빚은 다른 여러 나라의 그릇들처럼 문양이나 색조가 화려하지 않지만 서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넉넉한 인심을 담아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생활 용품이다.
우리나라 옹기의 기원은 선사시대 빗살무늬 토기나 민무늬 토기에서 시작되었다.
오래 전부터 다양하게 쓰여 온 옹기는 저장용기로 발효용기로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그렇게 늘 가까이 두는 그릇이기에 수복강녕과 부기다남의 문양과 글씨를 새겨 넣어 옹기장이와 서민의 소박한 바람을 담기도 했다.
모든 집에서 오랫동안 사용한 우리나라 옹기는 참으로 신통한 그릇이다.
자연의 흙과 물, 불로부터 나와 자연의 속성을 그대로 간직하여 사람에 해롭지 않으며 살아 숨 쉬는 그릇으로 불리는 옹기.
옹기 표면에는 공기는 통하게 하고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담긴 음식을 잘 익게 하고 오랫동안 보존해 주며 외부의 해로움을 막는 역할을 한다. 김치뿐 아니라 된장·간장·젓갈 등 발효음식의 저장용기로 안성맞춤인 이유다.
또한 옹기의 둥근 형태는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하여 곡식을 옹기에 넣어두면 다음해까지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충남 홍성군 갈산옹기마을,
이곳에서 56년째 한자리를 지키며 전통 방식으로 그대로 옹기를 만드는 방춘웅 옹기장이 있다.
옹기를 만드는 게 업이었던 할아버지·아버지를 따라 어려서부터 흙을 만지는 것이 좋아 시작했던 옹기 빚는 일....
이제 일흔이 훌쩍 넘은 늙은 옹기장은 이제 4대를 이어 아들에게 옹기장의 사명을 전수하고 있다.
해마다 김장철이면 딱히 대목이라 할 수도 없건만 설레는 마음에 손과 맘이 바빠진다.
반세기 넘게 옹기를 빚어온 방춘웅 옹기장은 천한 직업이었던 옹기장이가 이젠 예술가 대접을 받는다며 옛 시간을 회상해본다.
이제 뭇 사람들을 달라진 시선만큼이나 전통 방식의 옹기를 지켜가는 사명감이 더욱 크게 다가온다는 방춘웅 옹기장.
늙은 옹기장은 여전히 고된 과정 하나하나를 손수 챙기며 옹기장의 혼과 지난 삶의 희노애락을 옹기 하나하나에 그려 넣는다.
할아버지·아버지를 따라 흙을 만지며 살았고 배운 게 옹기뿐이라는 방춘웅 옹기장, 칠순을 훌쩍 넘긴 세월 끝에 장인의 자부심이 배어 나온다.
늙은 옹기장의 거친 손을 따라 생명을 얻고, 오랜 세월 우리의 삶과 동거동락 해온 옹기.
살아 숨 쉬는 그릇 옹기는 우리 곁에 영원히 함께 할 것이다.
-한국 그릇문화의 상징물로 가장 보편적인 용기
자연으로부터 흙, 물, 불을 가져와 장인의 손길로 빚은 그릇.
거칠고 투박하지만 우리의 옹기에는 자연의 신비와 넘치지 않는 소박함이 그대로 담겨 있다.
담백하고 수수한 자연의 모습으로 사시사철 우리의 삶을 건강하게 담아온 옹기...
옹기종기 모여 있는 장독대에는 간장독, 된장독, 물동이 등 여러 옹기들이 햇빛과 비바람을 맞으며 견디어 왔다.
이처럼 거센 풍파를 묵묵히 견디는 모습은 마치 세상의 희노애락을 떠안은 우리네 서민의 삶과 닮아있다.
우리나라 전체 옹기의 50% 이상을 제작하는 외고산옹기마을.
한국전쟁 직후 전국에서 모여든 옹기 장인들에 의해 이뤄진 마을로 현재 128가구 중 40여 가구의 옹기 장인들이 조상들의 지혜와 전통을 지키기 위해 혼신을 노력을 다하고 있다.
외고산옹기마을 2세대인 허진규 옹기장은 점차 잊혀져 가고 있는 옹기를 알리기 위해 옹기의 제작과정과 그 쓰임새를 일반이 보다 쉽게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옹기마을 2세대로서 1970년대 이후 쇠퇴하던 전통 옹기의 맥을 있고자 했던 결심했을 때 단 한 번의 망설임도 없었다던 허진규 옹기장.
3대째 가업을 이어온 허진규 옹기장은 옹기의 전통을 지켜가는 남다른 철학이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옹기를 한데 모아 옹기의 역사를 한 눈에 보여 주는 옹기문화관.
옹기는 점토로 만든 그릇에 잿물을 입히지 않고 구워 겉면이 거친 질그릇과 잿물을 입혀 구워 흑갈색의 윤이 나는 오지그릇의 독이나 항아리를 말한다.
우리 옹기는 흙으로 빚은 다른 여러 나라의 그릇들처럼 문양이나 색조가 화려하지 않지만 서민들의 소박한 생활과 넉넉한 인심을 담아내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생활 용품이다.
우리나라 옹기의 기원은 선사시대 빗살무늬 토기나 민무늬 토기에서 시작되었다.
오래 전부터 다양하게 쓰여 온 옹기는 저장용기로 발효용기로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그렇게 늘 가까이 두는 그릇이기에 수복강녕과 부기다남의 문양과 글씨를 새겨 넣어 옹기장이와 서민의 소박한 바람을 담기도 했다.
모든 집에서 오랫동안 사용한 우리나라 옹기는 참으로 신통한 그릇이다.
자연의 흙과 물, 불로부터 나와 자연의 속성을 그대로 간직하여 사람에 해롭지 않으며 살아 숨 쉬는 그릇으로 불리는 옹기.
옹기 표면에는 공기는 통하게 하고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한 구멍이 있어, 담긴 음식을 잘 익게 하고 오랫동안 보존해 주며 외부의 해로움을 막는 역할을 한다. 김치뿐 아니라 된장·간장·젓갈 등 발효음식의 저장용기로 안성맞춤인 이유다.
또한 옹기의 둥근 형태는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하여 곡식을 옹기에 넣어두면 다음해까지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충남 홍성군 갈산옹기마을,
이곳에서 56년째 한자리를 지키며 전통 방식으로 그대로 옹기를 만드는 방춘웅 옹기장이 있다.
옹기를 만드는 게 업이었던 할아버지·아버지를 따라 어려서부터 흙을 만지는 것이 좋아 시작했던 옹기 빚는 일....
이제 일흔이 훌쩍 넘은 늙은 옹기장은 이제 4대를 이어 아들에게 옹기장의 사명을 전수하고 있다.
해마다 김장철이면 딱히 대목이라 할 수도 없건만 설레는 마음에 손과 맘이 바빠진다.
반세기 넘게 옹기를 빚어온 방춘웅 옹기장은 천한 직업이었던 옹기장이가 이젠 예술가 대접을 받는다며 옛 시간을 회상해본다.
이제 뭇 사람들을 달라진 시선만큼이나 전통 방식의 옹기를 지켜가는 사명감이 더욱 크게 다가온다는 방춘웅 옹기장.
늙은 옹기장은 여전히 고된 과정 하나하나를 손수 챙기며 옹기장의 혼과 지난 삶의 희노애락을 옹기 하나하나에 그려 넣는다.
할아버지·아버지를 따라 흙을 만지며 살았고 배운 게 옹기뿐이라는 방춘웅 옹기장, 칠순을 훌쩍 넘긴 세월 끝에 장인의 자부심이 배어 나온다.
늙은 옹기장의 거친 손을 따라 생명을 얻고, 오랜 세월 우리의 삶과 동거동락 해온 옹기.
살아 숨 쉬는 그릇 옹기는 우리 곁에 영원히 함께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