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영상

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문화유산
  • 전체

[유네스코 등재유산] 조화의 미학, 창덕궁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03:35
등록일
2021-11-17
유네스코 창덕궁
 
정말 신기한 일입니다. 아니 이게 비행기도 드론도 없던 시대잖아요.
근데 어떻게 궁궐 안의 그 건물들과 주변 풍경을 하늘에서 바라본 것처럼 정밀하게 그려냈습니다.
국보 제 249호로 지정된 동궐도는 경복궁 동쪽에 두 군과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으로 특히, 이 창덕궁의 건물 구성과 위엄을 진짜 아름답고도 사실적으로 묘사했습니다.
자 그럼 이제 세계유산 창덕궁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죠.
 
조화의 미학 세계유산 [창덕궁]
 
1997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창덕궁.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296호 수선전도를 통해 보도록 하죠.
여기가 조선시대의 정궁 경복궁이고요 경복궁 동쪽에 위치한 이곳 바로 창덕궁입니다.
 
창덕궁은요 15세기에 정궁인 경복궁 동쪽에 이궁으로 조성해서 동궐이라고 불렸습니다.
그런데 다른 궁궐과 조금 달라 보입니다.
청덕궁의 입지는 전통적인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서 선정되었고요.
건축물은 조선 왕조의 유교 이념에 따라 상징적이면서도 기능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 창덕궁이 위치한 곳은요 언덕 지형입니다.
다른 궁궐들은 이 평지가 아닌 언덕에 지어진 경우를 사실 좀 찾아보기 쉽지 않죠.
그런데 이 창덕궁은요,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이 불규칙한 지형과 지세를 그대로 이용했습니다.
 
정궁이었던 경복궁 보면요. 평탄한 지역 위에 남북 방향의 일직선 중심축을 쭉 따르는 설계로 조성되어 있었는데 창덕궁은 궁궐 정문 돈화문이 서남쪽 모퉁이에 위치해 있고요 정문 진입로에서 직각으로 두 차례 방향을 틀어야만 정전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다르죠.
 
풍수지리의 원리와 유교 이념의 조화를 통해 정말 이 동아시아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궁궐 건축을 선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또 창덕궁은요 자연 지형과 기존의 나무를 존중하면서 이 궁궐 건축의 배치와 구성을 창조적으로 변형해 건축물과 정원을 조화롭게 구성한 탁월한 사례입니다.
경내 남쪽에 궁궐 건물을 배치했고 북쪽 넓은 구릉에는 후원을 조성해서 자연 지형을 이용한 이 건물을 세웠기 때문에 기존 궁궐 건축의 전형성에서 벗어난 정말 이 주변 환경과 뛰어난 조화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로 밀어내지 않고 한데 어우러져 은은하게 발하는 아름다움 그 고고한 조화의 미가 극단적 갈등으로 얼룩진 현대인의 오늘날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합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유네스코 등재유산] 조화의 미학, 창덕궁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