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영상

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문화유산
  • 전체

[유네스코 등재유산] 기적의 역사를 일군 첫걸음, 새마을운동 기록물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03:30
등록일
2021-11-17
유네스코 새마을운동
 
대한민국은요 식민지 지배와 전쟁을 경험한 나라 중에서 유일하게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한 국가입니다.
이런 점에서 대한민국은 많은 개발도상국가들한테 교훈적인 그런 국가 모델로 알려져있죠.
이걸 어디서 알 수 있을까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새마을 운동 기록물을 통해 그 저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알아보시죠.
 
공동의 번영을 위한 꿈 세계기록유산 [새마을운동 기록물]
1970년부터 1979년까지 대한민국 농가 평균 소득은 825달러에서 4,602달러로 급속한 성장을 이뤄냈습니다.
그 원동력 중 하나가 바로 이 새마을 운동입니다.
새마을 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 정신을 토대로 해서 농민들의 열정적 참여 그리고 이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서 빈곤 퇴치 그리고 지역사회 개발을 위해 전개되었던 운동입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새마을 운동 기록물은 대통령 연설문, 정부 문서, 마을 단위의 기록물, 편지, 새마을운동 교재 관련 사진과 영상 아주 다양한 그런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새마을 운동 기록물들이 생생하게 증명하는 농촌 발전의 과정들은 세계 많은 나라에서 겪고 있는 빈곤 퇴치의 방안이자 대외 원조 방안으로 인정받으면서 국제 교류 및 교류 사업에서 유용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실제로 1970년부터 2011년까지 129개 국가에서 53천여 명의 공직자와 마을 지도자들이 대한민국을 방문해가지고 궁금했던 거예요.
도대체 이거 비결이 뭐야, 새마을 운동 이거 좀 배워보자라고 해서 열심히 배웠고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새마을 운동 기록물에 포함된 자료들은 18개 국가, 157개 마을에서 성공 모델로 삼아 실천한 프로그램에 활용되어 왔습니다.
새마을 운동의 기록물 속에 이 농촌 문제를 해결한 노하우 그리고 이 국가 발전을 촉진시킨 사례들이 고스란히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이죠.
 
더불어서 이 새마을 운동 기록물은 기아 극복과 빈곤 퇴치, 농촌 지역의 현대화, 여성의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국제개발기구라든지 개발도상국의 정부 또는 국민들에게 현재까지도 아주 소중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이런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서 2013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던 것이죠.
아시아의 작은 국가에서 전개된 농촌 운동을 넘어서 세계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한 그 경험과 성공의 축적된 자산
그렇기 때문에 새마을 운동 기록물은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충분합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유네스코 등재유산] 기적의 역사를 일군 첫걸음, 새마을운동 기록물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