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을 넘어 예술을 만나다, 도서관의 재발견. 책만 읽는 도서관은 이제 그만! 미술관, 공연장, 첨단 기술 체험관으로 변신한 이색 도서관에서 새로운 문화적 영감을 얻어보세요.
평범한 하루를 특별한 시간 여행으로 만드는 방법! 고운 한복부터 레트로 감성 개화기 의상까지, 아름다운 우리 옷 입고 인생 사진 남기러 떠나볼까요?
여러분에게 문화는 어떤 공간으로 기억되나요? 지난 9월, 여러분의 '추억이 담긴 나만의 문화공간'에 대한 소중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웃고, 울고, 위로받았던 우리들의 마음속 문화공간, 가장 많은 분들이 떠올린 추억의 장소들을 소개합니다.
가을밤을 황홀하게 물들이는 빛의 축제가 시작됩니다. 역사의 현장에서, 도심 한복판에서, 그리고 예술의 최전선에서 펼쳐지는 환상적인 예술 산책을 떠나보세요.
풍요로운 가을,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다가왔습니다. 맛있는 음식을 나누는 즐거움을 넘어, 우리를 설레게 했던 추석의 아름다움을 기억하시나요? 옷, 음식, 놀이, 그리고 풍경 속에 담긴 '추석의 미학'을 만나보세요.
10월 9일 한글날을 앞두고, 우리가 매일 쓰고 말하는 한글의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백성을 사랑한 마음에서 태어나, 이제는 예술과 디자인의 영감이 되기까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글자, 한글의 모든 것을 만나보세요.
때로는 주인공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음식’. 우리를 웃고 울게 했던 영화, 드라마, 그리고 책 속'맛있는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화면 너머 우리 마음까지 채워주었던 그 음식을 만나보세요.
당신의 출퇴근길은 어떤가요? 이동 시간을 채우는 문화생활 지난 8월, '지루한 이동 시간을 즐겁게 만드는 나만의 문화생활'을 주제로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꽉 막히는 도로, 만원 지하철 속에서도 알차게 문화를 즐기는 4가지 유형의 꿀팁을 소개합니다.
스스로의 삶을 개척하며 우리 문화사에 뚜렷한 이름을 새긴 여성들이 있습니다.편견과 한계에 맞서 붓과 펜으로, 목소리로, 그리고 카메라로 자신만의 역사를 써 내려간 네 명의 선구적인 예술가를 만나봅니다.
어릴 적 골목을 가득 채웠던 아이들의 정겨운 소리를 기억하시나요?스마트폰 너머, 함께 어울리는 즐거움을 되찾을 수 있는 '전통놀이' 명소 네 곳을 소개합니다. 이번 주말, 우리 놀이의 매력에 푹 빠져보세요!
긴장과 대립의 상징이었던 DMZ가 평화와 생명이 숨 쉬는 예술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문화예술을 통해 만나는 DMZ의 새로운 얼굴, 평화와 희망을 이야기하는 네 곳을 소개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민족의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특징과 민족문화의 정수를 찾기 위해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민족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간적ㆍ시간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온 문화 중 대표성을 가진 100가지 상징을 말합니다.
'한국문화 100' 이란?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민족의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특징과 민족문화의 정수를 찾기 위해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민족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간적ㆍ시간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온 문화 중 대표성을 가진 100가지 상징을 말합니다.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 상징아래 목록 중 밑줄이 있는 민족문화상징을 클릭하면 해당 소재로 제작한 동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백두대간, 백두산, 금강산, 동해, 대동여지도, 황토, 갯벌, 풍수, 소나무, 진돗개, 호랑이, 한우, 천상열차분야지도, 거북선, 측우기, 물시계와 해시계(자격루와 앙부일구), 수원화성, 정보통신(IT)
역사상징고인돌, 빗살무늬토기, 서울, 경주(서라벌), 평양(아사달), 단군, 광개토대왕, 원효, 세종대왕, 퇴계(이황), 이순신, 정약용, 안중근, 유관순, 석굴암, 비무장지대(DMZ), 길거리 응원
사회 및 생활상징오일장(장날), 잠녀(해녀), 강릉 단오제, 영산 줄다리기, 솟대와 장승, 두레, 정자나무, 돌하르방, 한복, 색동, 다듬이질, 김치, 떡, 전주비빔밥, 고추장, 된장과 청국장, 삼계탕, 옹기, 불고기, 소주와 막걸리, 냉면, 자장면, 한옥, 온돌, 제주도 돌담, 초가집, 동의보감, 인삼, 태권도, 씨름, 활, 윷놀이, 서당, 한석봉과 어머니
신앙 및 사고상징선(禪), 미륵, 효(孝), 선비, 종묘와 종묘대제, 굿, 서낭당, 도깨비, 금줄
언어 및 예술 상징한글(훈민정음), 한지, 조선왕조실록, 팔만대장경, 직지심체요절, 고구려 고분벽화, 반가사유상, 백제의 미소(서산마애삼존불), 고려청자, 백자, 분청사기, 막사발, 풍물굿(농악), 탈춤, 판소리, 아리랑, 거문고, 대금, 춘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