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김세형(金世炯)

예술가명
김세형(金世炯)
분야
작곡가
생애
김세형은 1904년 2월 18일 평양에서 태어났다. 그는 숭실중학교 3학년 때 취주악대에 가입해서 나팔을 불기 시작했으며 한편 교회의 오르간을 독학으로 공부해서 오르간 반주를 맡기도 했다. 이처럼 중학 시절부터 시작된 음악에의 열정은 숭실전문에 입학하면서 열도를 더해 숭실전문 4년 동안 룻쓰 부인과 쏠토 부인으로부터 음악이론 등 음악 전반에 걸쳐 깊이 있는 가르침을 받았다. 이때 현제명도 함께 쏠토 부인으로부터 음악을 배웠는데, 이때의 음악 공부란 작곡법이 아니라 성악을 비롯한 음악 일반에 대한 것이어서 김세형은 따로 일본에서 나온 화성학 교본을 구해 독학으로 작곡 공부를 계속했다. 1927년 본격적인 음악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유학의 길에 올랐고, 1935년 귀국하기까지 7년 동안 학부와 대학원 과정에서 이론과 작곡을 전공했다. 미국에 있는 동안 그는 먼저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챕먼대학에서 음악이론을 전공했고, 이어서 웨스턴대학원에서는 작곡을 전공했는데 미국 체류 중에 이미 교향곡과 가곡을 비롯한 많은 작품들을 작곡했다. 1935년에 귀국한 그는 국내활동을 하려고 했으나 독립운동단체에 가담했다는 사실과 흥사단가의 작곡자인 것이 일본경찰에 알려짐으로써 요시찰 인물이 되었고, 결국 어떤 일도 할 수 없게 되자 그는 우선 집에서 작품을 쓰면서 1936년, 첫 번째 가곡집인 <먼길>을 출판했다. 1937년에는 이화여전에서 임용하려고 했으나, 사상이 불온하다는 일본 총독부의 간섭으로 보류되었고 1938년, 감리교 초대 총리사였던 양주삼의 도움으로 이화여전 교수가 될 수 있었다. 그동안 김세형의 교향곡 작품에 대해서는 특별한 논의가 없었지만 미국에 있는 자녀들이 교향곡의 원본을 찾아냄으로써 한국 최초의 교향곡 작곡가로서 김세형에 대한 재평가 작업이 일어나고 있다.
약력
1932년 미국 챕먼대학교 음악이론과 졸업 1934년 미국 웨스턴대학교 대학원 작곡과 졸업 1947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60년 숙명여자대학교 및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학장 1962년 한국음악협회 회장 겸 고문 1966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1969년 경희대학교 명예문학박사 1978년 한국작곡가협회 명예회장
상훈
1962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1970년 국민훈장 동백상 1974년 음악협회 음악공로표창 1982년 숭실대학교 공로표창 1983년 MBC가곡 공로상 1989년 음악공로상
공연
1932년~1934년 미국 LA 등 작곡발표회 1937년 일본 동경 작곡발표회 1955년 동남아 지역 음악회의 참가 1957년 한국작곡가협회 작곡발표회 1963년 UNESCO 국제음악회의 참석 1965년 UNESCO 국제음악회의 참석 1973년 UNESCO 국제음악회의 참석 1975년 UNESCO 국제음악회의 참석
주요작품
* 기악곡 <교향곡> <교향시곡> <바이올린 합주곡> <환상곡 작품 32>(1939) 등 * 교성곡 <오텔로> * 성악곡 <야상>(1925, 1964년 박화목 시로 개작) <추억>(1929) <밤> <물긷는 처녀> <찢어진 피리> <염주> <먼길>(1932) <이별> <뱃노래>(1934) <옥저>(1948) <그대에게 매인 나의 마음> <모든 행복이 내 것이라도> <잘 자오> <오 복된 잠이여>
작품집
연가곡집 <먼길>, 출판미상, 1936 예술가요곡집 <옥저>, 세광출판사, 1974
저서
<음악사>, 김세형, 출판미상 <화성학>, 김세형, 정음사, 1975
리뷰
(……) 사람들은 말하기를 김세형이야말로 ‘최고의 신사이며 사심이 없는 작곡가’라고 한다. 아닌 게 아니라 그는 음악계에 문제가 생길 때마다 어려움을 풀어나가는 역할을 기꺼이 감당했고 어떤 좌석에서도 언제나 조용히 남의 말을 경청하는 겸손함을 보여줌으로써 후배 음악인들의 귀감이 되었다. 작곡가로서 그의 작품세계는 품격있는 낭만성에 기본을 둔 토속적 내음의 표출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가곡들이 쉽게 불려지지 못한 것은 일찍이 창가 조에서 탈피, 예술가곡으로 전조를 비롯한 기법상의 난해함이 원인 중의 하나가 아닌가 한다. (……) - ‘품격있는 낭만성과 토속적 내음의 작품세계’, 한상우, <한국예술총집 음악편>, 대한민국예술원, 1998
관련도서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 한상우, 지식산업사, 2003
연계정보
-옥저-김세형
관련사이트
대한민국예술원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