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문화포털

화면크기
10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죽어도 좋아

작품명
죽어도 좋아
제작
메이필름
감독
박진표
장르구분
1991년 이후
출연
박치규, 이순애
스태프
제작/김홍백,임정향 감독/박진표 각본/이수미 촬영/정용우 조명/라이트라인,전병호 음악/박기헌 녹음/영화진흥위원회 편집/문인대,황호철
내용
박치규 할아버지는 어느 날 공원에 갔다가 우연히 자신의 이상형인 이순례 할머니를 만나게 된다. 그렇게 시작된 사랑에 연애기간은 불필요하다. 일분일초가 아까운 그들은 바로 동거에 들어가는데, 할머니는 장구 한 채, 작은 옷 보따리를 달랑 들고서 할아버지 집으로 들어간다. 냉수 한 그릇을 올리고 사진촬영을 하며 정식 부부로 거듭나는데…….
박진표(1966~)
서울 출생의 박진표 감독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영화과를 졸업하고, 1991년 SBS-TV 다큐멘터리 PD로 입사를 했다. 한국방송위원회 대상에서 기획상을 수상했고 미스터리 다큐멘터리 <그것이 알고싶다>, 생방송 추적 <사건과 사람들> 등을 연출했다. <죽어도 좋아>는 그의 장편영화 감독 데뷔작이다.
작품정보
죽어도 좋아 (2002) 여섯개의 시선 – 신비한 영어나라 (2003)
작품해설
<죽어도 좋아>는 70대 노인들의 사랑과 성을 솔직하게 카메라에 담은 영화이다. 실제 70대 두 노인이 자신들의 모습을 직접 연기했다. 국내 개봉을 위한 첫 심의에서 영상물등급위원회는 ‘7분간의 롱테이크 섹스신 중 구강 성교 대목과 성기 노출 장면 등이 국내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며 제한상영관 상영 판정을 내렸다. 3차 등급 심의 끝에 결국 18세 이상 상영가 관람등급을 받고 상영한 작품이다.
평론
젊은 세대의 문화로 간주되는 영화가 노인들의 육체와 성에 귀를 기울이는 예는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다. 노인들의 삶이 동시대의 문화에서 물러난 지금, <죽어도 좋아>는 노인들의 주름진 육체와 관능을 카메라의 눈으로 응시한다. 사실 인간의 육체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부분은 성적인 측면에서의 몸이다. 노인들이라고 하더라도 그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성적인 측면에서의 육체는 단순히 생식 능력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개념인 성적 존재로서의 자아 개념을 뜻하기 때문이다. <죽어도 좋아>의 주인공들은 성을 통해 늙어서도 자신의 인격을 상대방으로부터 공인받는다. 한국사회의 관행을 생각하면, 이것은 대단히 혁명적인 자기 주장이다. - <필름2.0>, 이상용, 2002년 11월 28일, ‘유쾌한 에로티시즘의 희극’ 영화는 노인의 생활을 ‘노인 문제’라는 시점에서 편협하게 바라보지 않고, 또 속 빈 ‘가족주의’ 속에 끼워 맞추려 하지도 않았다. 70대의 축축 늘어지고 색이 바랜 살들이 포개져 즐거움을 얻는 순간에도 성을 오도하거나, 혐오감을 자극하는 혐의는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나이듦과 사랑, 성에 대한 지독한 응시가 있었을 뿐이다. - <씨네서울>, 김지연, 2002년 8월 1일, ‘제한 상영이라구? 죽어도 안돼!’
수상내역
제7회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뉴커런츠상, PSB관객상
관련도서
'유쾌한 에로티시즘의 희극’, 이상용, <필름2.0>, 2002년 11월 28일
연계정보
-여섯 개의 시선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