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문화포털

화면크기
10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데자뷔

작품/자료명
데자뷔
초연장소
프랑스 리옹비엔날레
안무가
홍승엽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 출연 댄스씨어터 단원 · 스태프 제작총감독/장승헌 기술감독/황두진 음악/김태근 무대미술/엄진선 의상/홍인수 조명/천세기 사진/최영모 영상기록/지화충,서양범
내용
가끔, 똑같은 상황을 이전에 미리 경험을 해 본듯한 느낌, 이러한 느낌은 누구나 경험했을 것이다. 과연 두뇌의 착각인지 아니면 과거의 잠재의식 속에서 예측한 현재일지 모를 일이다. 하지만 그 순간 알게 모르게 머리를 갸우뚱 거리면서 스치는 것이 있다. 어항 속의 물고기처럼 시간의 흐름 위에 얹혀 있는 전제 즉 시간과 존재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다. 어쩔 수 없는 무지로 말미암아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없다는 느낌은 의문과 동시에 직감한다. 과연, 존재란 현상에 불과한 것일까? * 연상단어 : 강, 시간, 물고기, 순간, 불꽃, 지느러미, 작살, 물고기, 물고기, 물고기
홍승엽 (1962~ )
1962년 대구에서 출생한 홍습엽은 1981년 경희대학교 섬유공학과 2학년 시절에 무용가로서의 꿈을 갖게 되어 1986년 대학교를 졸업한 후 곧바로 동대학원 무용학과에 입학하여 1988년 무용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1984년 현대무용을 전공한 지 2년 만에 우리나라 무용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무용경연대회인 제14회 동아무용콩쿠르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1986년에는 제8회 대한민국무용제에서 연기상을 수상하였으며 1992년부터 3년간은 유니버셜발레단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1996년에는 '가장 문학적인 현대무용가상'(한국문인협회 주최)과 제18회 서울국제무용제에서 안무가상을 수상하였다. 1999년에는 제10회 일본 사이타마 국제 콩쿠르에서 특별상과 제21회 서울무용제 안무상을 그리고 2001년 <한불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홍승엽은 93년 <댄스씨어터 온>을 창단하여 예술감독과 안무가, 무용수로서 주목받는 여러 작품들을 발표해오고 있다.
댄스씨어터 온
현재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현대무용단체 ‘댄스 씨어터 온’은 클래식 발레와 현대무용기법을 두루 익히고 다양한 안무작업과 무용수 생활을 거친 안무자 홍승엽에 의해 지난 1993년 창단되었다. 예술성과 대중성을 조화시켜 무용예술을 문화상품으로 만들겠다는 이 단체의 진지한 노력은 그 동안 발표해온 다양한 작품들이 평론가 및 일반 관객들의 호평을 받는 가운데 프로페셔널 무용단체로서의 활동영역을 조심스럽게 넓혀나가고 있다. 특히, 우리 인간 내면의 다중적인 갈등구조를 다룬 진지하고도 예술성 넘치는 일면의 작품들은 “추상화된 현대적 감각의 세련미”, “비논리적인 논리, 안무의 시적, 율동언어”, “아이디어의 귀재”, “무대공간의 복합적 구성”, “서양춤 특유의 형식미와 분석적인 틀을 지니면서도 동작과 동작 혹은 동작군 사이의 연결거점에서 정형을 빗겨감으로써 흐름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은 이 무용단의 큰 매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단체대표인 안무자 홍승엽을 비롯, 남·여 무용수 14명과 함께 각 분야의 전문적인 프리랜서 스탭들이 합세하여 세계무대 진출을 위한 발걸음을 더욱 재촉하고 있다. 대표작품 1994년 <김노인의 꿈>, <말하지 않는 말의 세 번째 질문> 1995년 <13아해의 질주>, <파우누스의 추> 1996년 <뒤로가는 산>, <파란옷을 입은 원숭이> 1997년 <백설공주>, <절취된 기억>, <그가 또 수를 세고 있다> 1998년 <다섯 번째 배역>, <경로다방>, <가고파> 1999년 <말들의 눈에는 피가>, <달보는 개> 2000년 <데자뷔>, <다섯번째 배역> 2001년~2002년 <빨간부처> 2003년 <두 개보다 많은 그림자>
재공연
2000년 10월, 예술의전당 토월극장, SIDance Festival 초청공연
평론
<데자뷔>에서는 어둠 속에서 몸을 마찰하며 생겨나는 불티, 철사줄에 매달린 물고기가 등장하는 재미난 4인무, 그리고 독창적으로 만들어진 칸막이가 관객들 눈에 물고기로 장식된 투명의 극장 막으로 전환되는 등 여러 번의 경이로운 시퀸스를 보여주었다. (<르 피가로>, 르네 시르맹, 2000년 9월) 무용수들은 최선을 다해 춤추면서도 동시에 완벽하게 어우러지는 음악과 함께 충분히 즐긴다. 그리고 빠른 부분만큼 느린 부분에서도 인상적이다. 댄스씨어터 온의 지리적 거리감이 미국 무용사의 정확한 ‘적응-거리화’를 가능하게 했는가? (<리옹 피가로>, 아녜스 브누와, 2000년 9월) 이날 무대는 인체를 매개로 하는 예술장르인 무용 공연에서 새로운 움직임의 개발과 조합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번 무대는 홍승엽의 안무자로서의 재능과 감각이 세계무대에 내놓아도 손색없을 정도로 성장했음을 확인시켜준 한국 무용계의 쾌거였다. (<객석>, 장광렬, 2000년 7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잠재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기억을 안무가의 예민한 촉수로 집어내는 탁월한 감각에 찬사를 보낸다. (<몸>, 박성혜, 2000년 7월) 언젠가 경험해 본 적이 있는 느낌, 또는 가상의 현재 체험을 일컬어 ‘데자뷔’라고 한다. 남성무용수들은 날개 의상, 여성 출연자들은 흰색 슈미즈 차림, 이진우는 2인무에서 김선이를 탐하는 야수였다. 강, 시간, 물고기, 지느러미 작살 등이 춤 행간의 비중을 차지한다. 물고기 아가미에서 작살을 빼는 거칠음 등 대칭과 비대칭 속 어둡고 공포스러운 광기가 홍승엽 안무의 음습함, 또는 발랄함이다. (김영태 - 무용평론가)
관련도서
<댄스포럼>, 2000년 12월호 <춤과사람들>, 2000년 7월호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