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문화포털

화면크기
10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우물단장

작품/자료명
우물단장
초연장소
호암아트홀
안무가
김은희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출연 김은희, 최진욱, 이규운, 심현주, 손예란, 오민정 외 스태프 안무/김은희 대본/이재환 작곡·편집/김태근 무대미술/김연재 조명/최형오 의상/김말희
내용
작품 <우물단장>은 끝 모를 깊이에서 소리없이 스며져 나와 영원히 메마르지 않는 불멸의 생명력과 함께 원초적 공포감을 불러일으키는 텅 빈 공간, 즉 생(生)의 우물에 관한 제의적 고찰이다. 작품 <우물단장>에서 <우물>에 대한 이미지는 땅을 경계로 ‘위’를 지향하는 수직적인 것에 대한 ‘아래’를 향한 통로의 출발점으로 지상과 지하를 연결하는 숨구멍으로서의 상징을 나타낸다. 그 경계에는 늘 신비한 물이 변화를 부리고 있어, 자신을 직시(直視)하지 않고서는 그 길로 들어설 수 없다. ‘단장’이란 의미는 그곳을 통과하기 위한 통과의례에 대한 ‘희생’의 방법이 될 것이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각자가 원하는 만큼의 절실함이 그 깊이에 상응(相應)하리란 생각이다. ‘깊이에 상응’한다 함은 수직적인 시간의 개념에 불연속적으로 끊어져 산재해 있는 기억의 표층이 다름을 나타낸다. 이에 작품 <우물단장>은 인간들 기억 속에 결코 지워지지 않고 화석으로 굳어버린 <불의 기억>에 대한 살풀이 형식을 띈 제의적 춤 작업이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무용수들 각 자에 대한 무의식세계에 대한 탐구작업과 스스로 끊임없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한 응시(凝視)의 과정 또한 중요한 춤 작업의 일부가 될 것이다. 1장 ‘우물소리’ 2장 ‘우물반사(反射)’ 3장 ‘기억의 비명’ 4장 ‘모래의 길’ 5장 ‘우물고사(告祀)’
김은희
이화여대 대학원 졸업, 초창기 창무회 단원 이후 김은희 무용단 대표, “김은희 춤은 불가사의한 어둠”(김영태)이란 평을 받음, 3회 무용예술사 무용가상 수상, 상명대·성균관대 무용과 강사 대표작품 <눈>(1994), <바람의 신기루> 연작(1996), <넘보라살>(1997), <환, 환>(1997), <달궁>(1998), <그늘검>(2000), <우물단장>(2001), <달에 묻은 섬>(2002)
리뷰
<달궁>은 캡슐이 나오고 의상은 우주복을 방불한다. 김은희가 오케스트라 피트 아래로 곤두박질치는, 온몸에 밀가루를 뒤집어쓰는 솔로와 군무, 북소리는 강렬하다. 비명소리, 쇠막대기가 무대 앞편에 내려꽂히는 살벌함이 그의 춤의 불가사의함이다. (김영태 - 무용평론가) 1990년대 이후에 무대 위에 올려왔던 김은희의 작품들은 부정보다는 긍정을, 센티멘탈리즘보다는 현실성을, 미련보다는 삶의 열정을 보여주었다. (<한국연극>, 김수미, 2000년 9월)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