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문화포털

화면크기
10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꽃신

작품/자료명
꽃신
초연장소
문예회관 대극장
안무가
김매자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김매자, 윤덕경, 이노연, 이혜순, 김영희, 강미리, 마복일, 이애현, 김효분, 정혜란, 이미아, 이해주, 남정읍, 이성호 외 14명 * 스태프 대본/김용익 음악/김철호 의상/이영희
내용
제1장은 꽃신(사라져가는 전통)에 대한 환상성 부각 제2장은 장인의 손에서 정성껏 다듬어진 꽃신이 청실 홍실의 꽃가마 타고 두둥실 구름인양 비상하는 환상과 먹구름이 일어 급전직하는 나락의 복합적 이미지 조성 제3장에는 잊혀져 가는 전통에의 환상은 마음에 남을 뿐 실상은 시간과 더불어 멀어져만 가는 회한의 울부짖음이 길게 여운으로 남는다. 참고 : <춤지> 1986년 1월호
예술가
김매자 강원 고성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과와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뉴욕대학교에서 무용교육으로 박사과정을 이수하였다.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1982년 (사)한국무용연구회를 설립하여 1991년까지 초대 이사장을 맡았다. 1976년 전문무용그룹 창무회를 창단하여 현재 총예술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 이수자이며, 무용예술지 <몸>의 발간인이다. 대표작품 <비단길>(1977) <꽃신>(1985) <춤본Ⅰ>(1987) <춤본Ⅱ>(1989)
재공연
- 1986년 2월 5일~9일 뉴욕 리버사이드처치 극장 - 1986년 2월 10일~13일 워싱톤 스미소니안 박물관 - 1987년 8월 18일~19일 호암아트홀
기사
2월 14일자 <워싱턴 포스트>지는 기사에서 ‘창무회의 정교한 광채’란 제목으로 ‘조용한 표면 밑에서 소요돌이치는 교묘한 긴장과 드라마를 주의 깊게 볼 때 이들의 춤사위에서는 최면상태의 믿기 어려운 고요를 발견할 수 있다’고 평했다. (“김매자씨의 <꽃신>뉴욕에서 호평”, 1986년 2월)
평론
<꽃신>을 통해 우리에게 전통무용의 정신적 복권을 보여준 안무자는 주제가 갖는 한국적 정수를 재현하기에 알맞은 경륜과 중량감을 독무로써 유감없이 발휘하였다. (<월간 춤> 1986년 1월, 이상일) 전반적으로 잔잔한 춤사위를 통하여 차분한 분위기를 형성해나감으로써 전체적인 인상은 은은하며 절제된 것이었다. 꽃신이라는 한국적인 산물이 내포하는 의미와 그에 대한 느낌을 주축으로 작품은 구성되었다. (<춤> 1986년 1월, 김채현) 전체적으로 꽃신의 아름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고향에 대한 시감을 원천으로 전통적 가치를 구현한다는 안무자의 노력이 돋보였다. (<월간 객석> 1986년 1월, 이병옥)
관련자료
<춤지> 1986년 1월호 <춤지> 1986년 4월호 <객석> 1986년 1월호
관련사이트
창무회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