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문화포털

화면크기
100%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한글춤 연작 (초연제목: 홀소리 닿소리)

작품/자료명
한글춤 연작 (초연제목: 홀소리 닿소리)
초연장소
문예회관 대극장
안무가
이숙재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스태프
* 출연 이향자, 유정재, 이진경, 김은희, 남경이, 허문선, 조성애, 이보영, 이해준, 유미소, 이경은, 배정아, 김남선, 박성민, 송주원, 권은주, 정헌재, 정석환, 김준규, 이연희 * 스태프 안무보/박현옥 대본/임항아 의상/윤관 음악/임춘우 무대장치/송관우
내용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시각적인 모습을 육체로 형상화한 작품.
예술가
이숙재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대학원 무용과를 졸업하고 뉴욕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후 건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9년 한국현대무용협회 주최 제6회 코파나스상, 1991년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최우수 예술가상, 1993년 제15회 서울무용제 대상과 안무상, 1997년 이사도라 무용예술가상, 2000년 제1회 PAF 예술상을 수상하였다. 한국현대무용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생활무용예술학과 교수 겸 학장으로 재직 중이며, (사)밀물현대무용단 대표를 맡고 있다. 대표작품 <뿌리 깊은 나무> <얼굴 바꾸기> <홀소리닿소리> <한솔이어라> <한글 그 가상공간 속으로> <한글 새천년의 꿈> 등
재공연
- 1992년 6월 14일 <한솔이어라>, 대구문예회관, 제2회 대구무용제 참가, 연출/김동중, 안무보/박현옥, 음악/임춘우, 사진/김찬복, 의상/윤관 - 1992년 10월 8일 <홀소리 닿소리>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546돌 한글날경축기념공연 - 1992년 10월 24일 <한솔이어라> 호암아트홀, 대구무용제 수상작품 서울공연 - 1993년 5월 19일~20일 <홀소리 닿소리> 문예회관 대극장 - 1993년 10월 28일~30일 <신용비어천가>, 문예회관 대극장, 제15회 서울무용제, 연출/김동중, 대본/박현옥, 음악/임춘우, 무대미술/최연호, 조명/이인연, 의상/김윤관 - 1994년 10월 22일 <신용비어천가> 문예회관 대극장, 제16회 서울무용제 개막공연 연출/김동중, 대본/박현옥, 음악/임춘우, 무대미술/최연호, 조명/이인연, 의상/김윤관 - 1995년 10월 8일 <한글기행>, 국립극장 대극장, 549돌 한글날 기념공연, 대본/최진용, 음악/임춘우, 무대미술/최연호 - 1996년 10월 9일 <550-한글누리>, 세종문화회관 대강당, 550돌 한글날 기념공연, 연출/김동중, 대본/윤조병, 작곡/임춘우, 조명/이상봉, 무대미술/이태섭, 그래픽영상/김종기 - 1996년 10월 17일 <550-한글누리> 예술의 전당 야외무대, 문제의 세계전, 연출/김동중, 대본/윤조병, 작곡/임춘우, 조명/이상봉, 무대미술/이태섭, 그래픽영상/김종기 - 1997년 10월 23일~24일 <세종은 오늘도 잠들지 않는다>, 국립극장 대극장, 세종탄신 600돌 기념공연, 연출/김동중, 대본/최진, 조명/이상봉, 무대미술 및 소품/전경화, 의상/김윤관, 작곡/임춘우, 사진/김찬복 최영모 - 1998년 10월 9일 <한글, 그 가상공간 속으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대본/최진, 음악/심진섭 임춘우, 비디오아트/최은영 김윤, 조명/이상봉, 의상/배경술 - 1999년 10월 9일 <한글 새 천년의 꿈>,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작곡/임춘우, 미술/채민정, 영상슬라이드제작/최은영 김윤, 조명/이상봉 신호, 의상/배경술, 김윤관, 비디오/지화충 - 2000년 10월 10일~11일 <한글춤 2000>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대본/김영청 - 2001년 10월 9일 <한글춤 2001 새천년-꿈의 날개>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대본/이해준, 안무보/유정재 이경은, 작곡/임춘우, 조명/이상봉, 무대미술/이하정, 무대의상/김윤관 배경술 강수연, 사진/김찬복 최영모, 비디오/지화충 - 2001년 10월 26일 <신용비어천가> 문예회관 대극장, 2001 서울공연예술제 개막공연-역대수상작 공연 - 2002년 10월 9일~10일 <움직이는 한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안무보/유정재 이경은, 대본/이해준, 작곡/임춘우, 조명/이상봉, 무대미술/이하정, 무대의상/김윤관 배경술 강수연, 사진/김찬복, 비디오/지화충
평론
한글이 갖는 기하학적 조형성과 우리의 신체가 그릴 수 있는 형상력이 놀랍도록 하나의 만남의 접점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은 내게 믿기지 않는 놀라움을 주기도 한다. (<월간 춤> 1996년 11월, 김태원) 이숙재의 경우 높이 평가하고 싶은 것은 무용 관객층이 도식적이고 편협한 오늘의 상황에서 이것을 극복해 전혀 무용 특히 현대춤을 접할 수 없는 계층을 찾아 이를 설득해 무용으로 끌어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월간 춤> 1997년 12월, 김경애) 2차원을 3차원으로 의도적으로 잘 살린 철탑 구조물이 돋보였다. 더구나 그 360도 회전과 3차원 구조 속에서 적절히 꾸민 한글 자모의 인체적 표징은 과연 일품이었다. 양팔, 양다리, 몸통이 홀소리 닿소리 한글의 획이 되고 문자가 되고 하여 한글이 되는 것을 여실히 보여 주는 데 일단 성공했다. (<월간 춤> 1999년 11월, 정순영)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의 넓은 무대를 가득 채운 무용수들이 펼치는 다이내믹한 움직임과 춤 대형은 스케일이 크고 앙상블이 주는 흥분됨이 있어 일반 관객들에게 어필할 만하였다. (<월간 춤> 1999년 11월, 장광렬) 이숙재는 한글춤을 통해 12월의 <호두까기 인형>이나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 스타>에 못 지 않게 10월의 춤 이벤트로서 예사롭지 않은 전통을 쌓아 왔다. 한글춤을 매년 지켜 보는 전문가 입장에서 보면 식상한 측면도 없지 않지만 한글의 우수성을 인체 미학으로 옮기는 데 있어 그녀를 능가할 무용가는 아마 없을 듯싶다. (<월간 춤> 2000년 12월, 성기숙)
관련자료
<댄스포럼> 2000년 11월
관련사이트
(사)밀물현대무용단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13건)
이미지 1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