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의 얼굴을 무섭게 의장화한 기와 디자인이다. 부릅뜬 두 눈과 코, 크게 벌린 입과 이빨의 일부분이 보인다. 과장된 얼굴표현이 해학적이다. 귀면와의 둘레에 구슬이음문을 더하여 장식적인 면을 강조한 디자인이다.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려는 수호신, 벽사의 상징이다.
사나운 도깨비얼굴을 표현하였으나 과장된 큰 눈과, 찢어진 입 등의 요소로 해학적인 느낌을 강조하였다.
도깨비 문양은 신이 갖고 있는 힘으로 천재지변이나 전쟁·전염병·기근 등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는 토속신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도화녀(桃花女)와 비형랑(鼻荊郞) 설화나 처용랑(處容郞) 설화에서 묘사된 내용을 통해 우리 조상들이 생각한 도깨비의 모습을 알 수 있다. 고대인들은 고분‧궁궐‧사원 등의 건축물에 쓰인 기와나 문고리, 혹은 제사용 도구 등 여러 기물에 일상의 평안과 복을 기원하면서 사악한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의미를 담아 도깨비 문양을 사용했다.
원천유물은 <귀면와>로 귀면와는 도깨비 얼굴을 새겨서 사래 끝에 붙이는 기와이며, 흔히 도깨비기와라고도 한다. 옛날 사람들은 나쁜 귀신을 쫓는 것은 영악한 귀신이라야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귀면와를 사래 끝에 만들어 달았다. 기와 표면에 눈, 코, 입을 중점적으로 강조해서 무서운 표정을 나타냈고, 눈썹 사이에 구멍을 뚫어서 사래 끝에 못을 박게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