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한 C자 형태의 덩굴 줄기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큰 S자 형태로 좌우로 길게 뻗어나가고 있다. 덩굴의 끝은 둥글고 안쪽으로 말려 있는 모습이다. 덩굴 줄기의 끝에는 양 갈래로 갈라지는 꽃이 피어 있는데 작은 원을 삼각 형태로 붙여 수술대로 표현하였다. 둥글게 말려 있는 덩굴 사이에는 인동문이 자리한다.
덩굴 문에 표현된 꽃문양을 활용하여 만든 문양이다. C자 형태로 말려있는 줄기 끝에 매달린 꽃모양으로 줄기와 꽃은 면으로 처리하였으며 빈 공간에는 작은 구름모양의 덩굴 잎이 배치되어 있다.
인동문(忍冬文)은 꽃무늬와 덩굴무늬가 결합된 형태의 식물 문양 장식이다. 잎을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지게 표현하는 형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인동은 겨울을 견뎌내며 잘 시들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장수와 태평성대의 길상적 의미를 지닌다. 불교에서 인동문은 극락정토를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