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로고

  •  > 전통문양3D도움 > 모델용 브러시
  • 78506_반닫이 백동장석(399)
  • 카테고리

    모델용 브러시

    설명

    문화포털 https://www.culture.go.kr/tradition/traditionalDesignPatternView.do?seq=399&did=78506&reffer=shape&sType=00&sWord=399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 디자인 문양 반닫이 백동장석 문양을 자유롭게 활용하실 수 있는 일러스트 파일입니다.

  • 다운로드  Ai

  • 이전 다음

날개를 활짝 핀 박쥐를 디자인하였다. 박쥐 날개가 고사리형태로 끝부분은 둥글게 말렸다. 박쥐의 몸통에는 커다란 한 송이의 연꽃을 배치하였다. 박쥐는 한자표기 편복이 복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연꽃은 생명의 창조와 번영의 상징이다. 이 두 문양이 같이 사용되어 가정의 큰 행복을 염원한다.
박쥐의 외곽선은 그대로 두고 몸통에 장식된 연꽃을 가다듬어 한층 정돈된 느낌을 더했다. 연꽃의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여 명암의 대비를 주어 디자인이 간결하고 선명하게 표현하였다. 좌우비율을 일정하게 배치하여 안정감을 추구하였다.
박쥐는 일찍부터 ‘복(福)’의 상징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박쥐의 한자표기인 ‘편복(蝙蝠)’의 ‘복(蝠)’이 ‘복(福)’과 음이 같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雙蝠)을 의미하고, 복(福)과 수(壽)자를 가운데 두고 박쥐 네 마리가 둘러싼 모양은 오복(五福)을 뜻한다. 또, 여성의 의복이나 장신구에 박쥐 문양의 장식을 넣거나 베갯모에 박쥐를 수놓기도 하였는데, 이는 박쥐의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에 의미를 부여하여 다산(多産)과 복을 기원했기 때문이다.  덩굴문이나 卍자문과 곁들인 문양은 만대에 이르도록 장수하며 복을 받으라는 의미이며, 기와나 굴뚝, 난간 등에 박쥐 문양을 새기는 것이 ‘福’ 자를 써넣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여겼다. 박쥐 문양은 도자기나 나무로 만든 식기, 떡살, 능화판 등 다양한 종류의 기물에 장식문양의 주제로 활용되었으며, 다른 문양과 합성하여 100여종의 문양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다운로드가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