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로고

  •  > 건축물 완성형 > 수원화성행궁
  • 수원화성행궁-완성형-봉수당&장락당
  • 카테고리

    수원화성행궁

    설명

    수원화성행궁을 3D 스캔하여 디지털 에셋으로 제작하였습니다. 수원화성행궁의 봉수당&장락당 건축물 에셋입니다.

  • 다운로드  FBX MAYA

  • 이전 다음

봉수당
2023년 수원 화성행궁 봉수당을 광대역 3D 스캔장비로 실측하여 제작한 3D 디지털 에셋이다.
봉수당(奉壽堂)은 화성행궁에서 가장 위상이 높은 건물인 정당(正堂)이다. 본래 1789년(정조 13)에 완공된 뒤 1794년(정조 18)에 증축되었으며, 지금의 건물은 1997년에 복원되었다. 평상시에는 화성유수부의 최고 책임자인 유수가 집무실로 사용하였고, 정조가 화성에 행차하면 이곳에 머물렀다.
정조는 1795년(정조 19)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 진찬례를 이곳에서 거행하면서 “만년(萬年)의 수(壽)를 받들어 빈다”는 뜻의 봉수당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어머니의 장수를 기원하였다. 봉수당의 모습은 『원행을묘정리의궤』(1797)의 「화성행궁도」, 『화성성역의궤』(1801)의 「행궁전도」, 『뎡니의궤』(1797-1801 사이 추정)의 「행궁전도」와 「봉수당도」에 그려져 있으며, 봉수당에서 거행된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모습은  《화성능행도병》 중 〈봉수당진찬도〉에서 볼 수 있다.
봉수당은 행궁의 정당답게 정문으로부터 일직선으로 행궁 전체의 중심축을 이루는 위치에 자리 잡고 있다. 봉수당 앞마당 한가운데에는 왕이 지나는 길인 어도(御道)를 두었다. 봉수당의 처마는 1794년에 건립된 장락당 처마와 겹쳐져 있는 특이한 구조이다.

장락당
2023년 수원 화성행궁 장락당을 광대역 3D 스캔장비로 실측하여 제작한 3D 디지털 에셋이다.
장락당(長樂堂)은 화성행궁을 방문한 혜경궁 홍씨의 처소로 사용하기 위해 1794년(정조 18)에 지어졌다. 지금의 건물은 1997년에 복원되었다.
장락당은 화성행궁의 정당인 봉수당 뒤편 벽체에 잇대어 조성되었으며, 그 지붕이 봉수당의 서남쪽 지붕과 겹쳐져 있다. 정조는 1795년(정조 19)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 진찬례를 이곳에서 거행하였는데, 이때 혜경궁이 건물을 이동하는 불편을 줄이기 위해 두 건물을 서로 통하게 만들었다. “오랜 즐거움”이라는 의미가 담긴 장락당이라는 이름은 중국 한나라의 고조가 어머니를 위해 지었던 장락궁에서 비롯되었으며, 정조가 직접 편액을 써서 걸었다.
장락당의 모습은 『원행을묘정리의궤』(1797)의 「화성행궁도」, 『화성성역의궤』(1801)의 「행궁전도」, 『뎡니의궤』(1797-1801 사이 추정)의 「행궁전도」와 「장락당도」에 그려져 있다.

다운로드가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