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곽은 옛날 중요한 국가시설이 있는 한성부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도성(都城)으로, 흥인지문은 성곽 8개의 문 가운데 동쪽에 있는 문이다. 흔히 동대문이라고도 부르는데, 조선 태조 5년(1396) 도성 축조때 건립되었으나 단종 원년(1453)에 고쳐 지었고, 지금 있는 문은 고종 6년(1869)에 새로 지은 것이다.
흥인지문은 도성의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으며,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흥인지문 실측모델링 데이터는 3D 실측모델링 데이터로, 3D 뷰어 프로그램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유산청_흥인지문 실측모델링”은 서울 한양도성의 동쪽 문인 흥인지문(흥인문)을 정밀 실측하여 제작한 3D 디지털 모델링 자료입니다.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의 4대문 중 하나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성문이며 ‘동대문’이라는 이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자료는 흥인지문의 목조 구조, 성벽, 기둥, 처마, 지붕, 문루 등 건축적 요소를 실제 치수와 형태에 맞게 정밀하게 재현하였으며, 전통 한양도성 건축의 특징을 충실히 반영합니다.? 기본 정보대상 건축물: 흥인지문(동대문)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일대자료 형식: 3D 실측모델 (.OBJ, .MTL, 텍스처 포함)제공 기관: 국가유산청라이선스: 공공저작물 – 출처 표기 시 자유로운 이용 가능? 모델링 구성정밀 실측 기반 구현흥인지문의 목조 구조, 성벽, 지붕, 단청 문양 등을 세밀하게 3D 모델링전통 한양도성 건축 양식과 역사적 미적 요소 충실히 재현파일 구성 및 호환성.OBJ 파일, .MTL 재질 파일, 고해상도 텍스처 이미지 포함Blender, 3ds Max, Maya, AutoCAD 등 주요 3D 편집 소프트웨어 호환 가능건축적 특징조선 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주요 출입문으로서의 위엄과 역사성목조와 석축의 조화, 단청 장식의 전통미가 어우러진 건축물? 활용 분야문화재 보존 및 복원 설계 참고자료전통 성문 건축 연구 및 한양도성 역사 연구디지털 복제, VR/AR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