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은 북악산 왼쪽 봉우리인 응봉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조선의 궁궐이다.
1405년(태종5) 경복궁의 이궁으로 동쪽에 지어진 창덕궁은 이웃한 창경궁과 서로 다른 별개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하나의 궁역을 이루고 있어 조선 시대에는 이 두 궁궐을 형제궁궐이라 하여 ‘동궐’이라 불렀다.
창덕궁 인정전 실측모델링 데이터는 3D 실측모델링 데이터로, 3D 뷰어 프로그램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유산청_창덕궁 인정전 실측모델링”은 창덕궁의 중심 전각인 **인정전(仁政殿)**을 정밀하게 실측하여 제작한 3D 디지털 모델링 자료입니다. 인정전은 조선시대 국왕의 즉위식, 신하들의 하례, 외국 사신 접견 등 주요 국가 의식이 거행되던 공간으로, 창덕궁의 정치적·상징적 중심을 이루는 건축물입니다.
이 모델링은 실제 건축물의 치수와 구조를 기반으로 기둥, 처마, 지붕 곡선, 문살, 기단부, 단청 무늬 등 세부 요소까지 고해상도로 정밀 구현하였으며, .OBJ 및 .MTL 파일, 텍스처 이미지로 구성되어 Blender, 3ds Max, AutoCAD 등 다양한 3D 소프트웨어에서 호환 가능합니다.
이 자료는 문화재 보존 및 복원 설계, 궁궐 건축 연구, VR·AR 기반 디지털 콘텐츠 제작, 교육 및 전시 자료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디지털 자산이며, 조선 왕실의 건축 양식과 공간 위계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로 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