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하녀들(Les Bonnes)

작가소개
장 주네(Jean Genet, 1910~1986) 프랑스 소설가, 극작가, 시인. 파리 공립산원에서 출생. 가브리엘 주네라는 이름을 가진 어머니는 갓난아이 주네를 파리의 공립산원에 내버려 둔 채 도망갔고, 아버지는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채 고아로 빈민구제시설에서 성장하였다. 7살 때부터 프랑스 중부 모르방 산악지대의 농가에서 양육되었으나 16살 때 도둑질과 상해사건으로 감화원에 들어갔다. 3년 뒤 탈주하여 에스파냐, 이탈리아, 폴란드, 독일 등을 방랑하면서 걸식, 도둑질, 남창(男娼), 밀수 심부름 등으로 그날그날을 살다가 프랑스로 다시 돌아왔다. 절도 현행범으로 자주 체포되어 프랑스 각지의 형무소에서 복역하면서 시집 <사형수>(1942), 소설 <꽃의 노트르담>(1944)의 일부분을 써서 비밀리에 출판하였다. 이것을 읽은 콕토와 사르트르가 대통령에게 청원운동을 한 결과, 1948년 출옥을 허가받아 그 뒤 작가생활을 시작하였다. 소설 <장미의 기적>(1946), <브레스트의 난폭자>(1947), <장례>(1947)와 희곡 <사형수 감시>(1947), <하녀들>(1948), 발레 대본 <아담 미루아르>(1948), 그의 자전적 소설인 <도둑일기>(1949)를 잇달아 발표하여 오욕과 영광, 생(生)과 사(死), 악(惡)과 성성(聖性)의 화려한 가치전환을 다채로운 언어표현으로 전개하였다. 사르트르의 평론 <성(聖) 주네>(1952)가 간행되자 주네의 명성은 높아졌으나 사르트르의 세밀한 분석에 의해 “산 채로 매장된 듯한” 타격을 받아 소설 집필을 그만두고, <자코메티의 아틀리에>(1957), <줄타기 곡예사>(1958) 등의 예술론을 계속 쓰면서 극작에 몰두하여 <발코니>(1957), <검둥이들>(1959), <병풍>(1961) 등을 발표하였다. 많은 등장인물, 빈번한 장면전환에 색채, 몸짓, 노래, 무용, 가면을 배합하여 색다른 박진감이 있는 부조리연극을 창조하였다. <연출자 블랑에게 보내는 편지>(1966)는 독자적인 연극론이고, 시나리오 <마드무아젤>(영화화, 1966), <전시집(全詩集)>(1948)이 있다. 만년에는 미국 흑인운동과 팔레스타인 문제에 관한 의견 등 정치·사회적 발언을 많이 하였다.
내용
마담이 외출한 빈집에서 두 하녀가 은밀한 연극놀이를 시작한다. 항상 받들어 모셔야 했던 마담의 역할을 해보면서 평소 불만들을 연극 속에서 풀어보기도 하고, 마담의 거만한 행동들을 흉내내기도 한다. 그러나 연극놀이가 진행되면서 마담의 횡포에 견디다 못한 동생역할의 언니 쏠랑쥬가 마담을 살해하려 하고 그 순간, 전화가 울린다. 두 하녀가 거짓 밀고하여 감옥으로 보낸 마담의 애인 무슈가 가석방되었다는 내용이다. 자신들의 음모가 실패했고, 밀고자의 정체가 밝혀질 위기에 처한 두 하녀는 진짜로 마담을 살해하기로 결심한다. 외출했던 마담이 돌아오고, 약을 탄 차를 끌레르가 억지로 권하지만, 애인의 무죄석방사실을 알게 된 마담은 차를 마시지 않고 하녀를 비웃으며 유유히 나가버린다. 마담을 놓친 두 하녀는 절망 속에서 다시 연극놀이를 시작한다. 끌레르는 언니 쏠랑쥬가 오열 속에 권하는 독차를 호탕하게 마시며, 현실에서는 이루지 못한 꿈을 완성하며 죽어간다.
국내공연연보
1973년 6월 극단 여인극장 / 한국일보소극장 / 강유정 연출 1976년 극단 예맥 / 남궁연 역 1981년 극단 거론 / 김유진 연출 1989년 극단 태백 / 공동연출 1992년 2월 13일~3월 8일 극단 산울림 / 산울림소극장 / 이성열 연출 1993년 가마골소극장 / 김유출 연출 1995년 4월 1일~11일 우리극연구소 / 혜화동1번지 / 이성열 연출 1996년 극단 춘추 1997년 1월 31일 극단 춘추 / 미리내소극장 / 류근혜 연출 2000년 6월 극단 동 / 소극장 동 / 강량원 연출 2000년 12월 극단 풍경 / 풍경스튜디오 / 박정희 연출 2001년 6월 극단 풍경 / 활인소극장 / 박정희 연출 2001년 6월 13일~28일 부산연극제작소 동녘 / 바다소극장 / 심문섭 연출 2002년 5월 극단 풍경 / 바탕골소극장 / 박정희 연출 2002년 10월 극단 풍경 / 국립극장별오름극장 / 박정희 연출 2002년 4월 12일~5월 19일 극단 연희단거리패 / 산울림소극장 / 이윤택 연출 2002년 7월 3일~12일 극단 연희단거리패 / 가마골소극장 / 이윤택 연출 2003년 2월 7일~23일 극단 연희단거리패 / 가마골소극장 / 이윤택 연출 2004년 7월 극단 시공 / 상명대문화공간극장 / 백순원 연출 2005년 6월 11일~8월 21일 극단Yellow Room / 대안극장 Yellow Room / 장도영 연출
예술가
박정희(1958~ ) 1958년 서울 출생.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독문학을 공부한 뒤, 독일 Frankfurt a/M Goethe 대학에서 영화연극미디어학과에서 수학(1988-1994)했다. 연출과 배우로 다양한 경험을 쌓아 올린 박정희는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극단 사다리의 상임 연출을 지냈다. 국내 귀국 후 아동극을 선택한 것은 서정성과 이미지, 신체적 상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는 무대가 아동극임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 후 2001년 극단 풍경을 창단하고 <하녀들>과 <평심>을 선보이며 독자적인 행로를 선택하였다. 특히 극단 풍경의 창단공연 <하녀들>은 기존의 모방적이며 재현적 표현을 넘어선 도발적이며 전복적인 몸짓, 혹은 자기 학대적이며 자기 배신적인 연기와 연출로 많은 주목을 받으며 극단 풍경과 박정희를 대표하는 작품이 되었다.
리뷰
무대, 뒤쪽 한가운데 물이 담긴 욕조가 놓여 있다. 욕조에 뚜껑을 덮으면 마치 유럽의 박물관에 전시된 그리스나 로마시대의 석관, 또는 중세 교회 지하에 놓인 석관같아 보인다. 뒷벽과 무대 전체는 몇 개의 사각형 창 모양을 제외하면 짙푸른 색의 닫혀 있는 공간이다. 커다란 욕실같기도 하고, 지하의 무덤같기도 하다. 하녀들을 연기하는 두 여자배우는 수시로 물 속에 몸을 담그고, 머리를 적시고, 손으로 물을 떠서 다시 쏟아 내린다. 그래서 무대는 내내 미끄러울 만치 젖어있다. 무슨 이유인지 알 수 없지만 젖은 배우는 어쩐지 처참해보인다. 머리와 옷과 온 몸이 젖은 배우들은 마치 무슨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는 느낌을 줄 정도로 집중해서 연기를 한다. 서로에게 주는 행위의 가학과 피학이 격렬하다. 의외인 것은 남자배우의 출연이다. 그는 극에 대한 언급을 하기도 하고, 두 하녀들에게 소품을 건네기도 하고, 극의 순서를 타이프를 치면서 말로 알려주기도 한다. 그러다가 마담 역을 한다. 마담의 원피스를 입고 여성적인 몸짓을 하는 그 배우의 존재는 매우 유미주의적이다. 마치 극중에 언급만 될 뿐 출연하지 않는 마담의 애인인 무슈의 존재까지도 연기하는 듯하다. 하녀들에게 무슈는 마담과 마찬가지로 동경의 대상이자 배척의 대상이다. 하녀들과는 구분되는 다른 계층의 사람들을 남자배우는 자신의 한 몸으로 표상하는 듯하다. 주네는 마담 역할을 남자배우가 할 수도 있다고 시사한 바 있다. 사르트르의 설명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남자배우가 연기하는 여성의 역할은 연극성 그 자체이다. 남자배우와 그가 연기하는 여자의 역할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것, 본래의 성적 차이를 극복하고 여성을 닮고자 하는 모든 몸짓과 목소리는 연기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여자배우가 하는 여성의 역할에서는 대부분 연기가 아닌, 있는 그대로 그 자신의 몸만으로도 연기자가 등장인물을 연기하는 그 대체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원전에서 극의 전체적 구조는 두 하녀의 극중극-마담이 출현하는 극중 현실- 다시 두 하녀의 극중극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렇게 단순하지도 않다. 극중극으로 시작하는 이 연극 속에서도 극중 현실은 그 극중극이 진행되는 사이로 언뜻언뜻 모습을 드러낸다. 그들이 수행해야 할 연극 속 연극이 연기자의 역할 착각이나 순서의 오류 등으로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을 때, 여지없이 한 하녀는 다른 하녀에게 그 사실을 상기시킨다. 말하자면 일련의 역할놀이 속에서 연극과 현실은 매우 교묘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극 속에는 중심을 잡아주는 시선이 없다. 유일하게 믿을 만한 고정된 시선은 관객의 그것일 것이다. 두 하녀의 시선은 왜곡되어 있으며 서로는 서로의 역할을 거울처럼 반영하고 반복한다. 극이 시작하면 클레르는 마담의 역할을, 솔랑주는 클레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박정희의 연출에서 이 중첩된 연극의 구조는 형사의 기억 회상이라는 전체 틀 속에 다시 한번 하나의 극중극으로 놓여진다. 기억이란 교묘해서 그 기억의 내용은 하나의 엄중한 사실이 될 수도 있고, 모호하고 불확실한 착각이나 환상이 될 수도 있다. 그것이 어느 편이든 형사의 시선으로 바라본 하녀들의 이야기는 주네의 연극을 3면 기사에 실린 하나의 단순 살인극으로만 오인하게 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형사의 이런 시선이 없었다고 해도 <하녀들>의 해석에는 “소외된 하녀들의 반란 내지 혁명”이라는 소재가 주는 내용적 측면이 필연적으로 개입된다. 그러나 하녀를 하나의 주체로 보고 그들의 삶의 이면들을 돌아보는 사회학적인 해석보다는 그녀들이 하나의 점 또는 반사 상이 되어서 화폭에 이루어내는 그 연극적 움직임들이 더욱 주네의 극을 흥미 있는 것으로 만든다고 생각된다. (……) ‘박정희 연출의 <하녀들>을 보고’, 송민숙, 2002년 공연 팸플릿
관련도서
<하녀들>, 장 주네 저, 오세곤 역, 예니, 2000
연계정보
-극단 산울림
-여인극장
-연희단거리패
-발코니(Le Balcon)
관련사이트
극단 풍경
관련사이트
밀양연극촌
관련사이트
한국불어불문학회
관련멀티미디어(전체26건)
이미지 2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