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작품소개
조선 초기, 맹사성(孟思誠)이 지은 4수로 된 연시조. 만년에 벼슬을 내놓고 강호에 묻힌 자신의 생활을 춘·하·추·동 사철의 자연의 변화와 결부시켜 각 한 수씩 4수로 읊은 것이다. ‘강호가(江湖歌)’ 또는 ‘사시한정가(四時閑情歌)’라고도 부른다. 연시조 형태로는 최초이며, ‘강호가’라는 일련의 자연애(自然愛) 시조의 원류가 되는 작품이다. <악학습령 樂學拾零>·<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 수록되어 있다.
맹사성(孟思誠, 1360~1438)
본관 신창(新昌). 자 자명(自明). 호 고불(古佛)·동포(東浦). 시호 문정(文貞). 온양(溫陽) 출생. 1386년(우왕 12)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춘추관 검열(檢閱)을 거쳐 전의승(典儀丞)·기거사인(起居舍人)·우헌납(右獻納)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수원판관(水原判官)·내사사인(內史舍人)·예조정랑(禮曹正郞)·시어사(侍御史)·간의(諫議)를 지냈고, 1400년(정종 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가 되었다. 1406년 이조참의·예문관제학을 거쳐 이듬해 진전사(進箋使) 시종관으로 명(明)나라에 다녀와 한성부윤이 되었다. 1408년 대사헌에 오르자 왕의 허락도 없이 부마 조대림(趙大臨)을 국문하여 태종의 노여움을 사 한주(韓州)로 유배되었으나, 영상 성석린(成石璘)의 변호로 풀려나 다시 기용되어 예조참판을 거쳐 1416년 판서(判書)로 승진, 호조(戶曹)·공조(工曹)를 거쳐 1419년(세종 1) 이조판서로 예문관 대제학을 겸하였다. 1425년 좌군도총제부판사(左軍都摠制府判事)로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서 문신으로는 최초로 삼군도진무(三軍都鎭撫)가 되고, 1427년 우의정에 올랐다. 1429년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이듬해 <태종실록(太宗實錄)>을 감수, 1431년 좌의정이 되고 다시 춘추관영사(春秋館領事)를 겸임,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를 찬진(撰進)하고 1435년 노령으로 사임하였다.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전기의 문화 창달에 크게 기여했고, 성품이 청백·검소하여 남루한 행색으로 수령(守令)의 야유를 받았는데, 도망하던 수령이 관인(官印)을 못에 빠뜨려 후에 그 못을 인침연(印沈淵)이라 불렀다는 일화도 있다. 시문(詩文)에 능하고 음률(音律)에도 밝아 향악(鄕樂)을 정리하고 악기도 만들었다. 또 청백리로 기록되었고,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현대어풀이
강호에 봄이 찾아오니 깊은 흥이 절로 일어난다. 막걸리를 마시며 노는 시냇가에 싱싱한 물고기가 안주로다. 이 몸이 이렇듯 한가하게 노니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여름이 찾아오니 초당에 있는 이 몸은 할 일이 없다. 신의가 있는 강 물결은 보내는 것이 시원한 바람이로다. 이 몸이 이렇듯 시원하게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가을이 찾아오니 물고기마다 살이 올라 있다. 작은 배에 그물을 싣고 가 물결 따라 흐르게 던져 놓고 이 몸이 이렇듯 소일하며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강호에 겨울이 찾아오니 쌓인 눈의 깊이가 한 자가 넘는다. 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도롱이를 둘러 덧옷을 삼으니 이 몸이 이렇듯 춥지 않게 지내는 것도 임금님의 은덕이시도다.
어휘풀이
- 강호 : 은사(隱士)가 숨어 사는 시골. 강과 호수. 자연의 대유법 - 초당 : 은사들이 즐겨 지내던 별채, 초가
해설
강호에 은거하면서 사시사철 변하는 자연 현상을 맞는 흥취를 담담한 필치로 읊은 연시조이다. 첫 수에서는 시냇가에서 낚시하는 모습을 소재로 취했고, 둘째 수에서는 초당(草堂)에서의 한거(閑居)를, 셋째 수는 가을에 배를 타고 고기잡이하는 것을, 넷째 수에서는 눈 내린 자연을 배경으로 소박한 강촌 생활을 즐기는 것으로 소재를 삼았다. 네 수의 각 초장을 살펴보면, 첫째 수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지은이의 정취를 노래하였고, 둘째 수는 자연 속에서의 한가함을 나타냈다. 이렇게 이 두 수는 주로 자연에서 느낀 감흥을 읊은 데 비해, 셋째와 넷째 수에서는 자연의 정황을 그대로 옮겨놓음으로써 마음의 여유를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노래하고 있다. 또 네 수 모두, 한가한 안빈낙도의 생활이 모두 임금의 은혜라고 마무리함으로써, 은둔하는 가운데에서도 변치 않는 임금에 대한 충절, 즉 연군지정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여유와 풍요에 대한 감사의 뜻을 임금에게 돌리며 관리로서의 책무를 다하는 일종의 목적 시조라 할 수 있다(정원표,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1992). 이러한 논리를 전개하기 위하여 강호와 군은을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인데, 강호가 문학을 대표하는 색깔이라면, 군은은 정치를 대표하는 그것으로, 서로 보색 관계라 할 수 있으며, 이 작품에서는 강호보다 군은의 색채가 강하다. 이것이 이 작품이 다른 강호가도의 시가와 다른 점이며, 서정성을 완성하지 못하는 한계가 되기도 한다. 이 작품의 주제는 안분자족(安分自足)하며 은둔하는 이의 한가로운 정취와 여유 있는 생활 자세를 표현하는 데 놓여 있다. 이 작품에서 자연은 조화와 균형 및 평화를 가져다주는 영원한 마음의 고향임을 나타내면서 한편으로는 그것에 가탁(假託)하여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적인 한가로움과 공적인 정치가 뒤섞여 균형을 유지하는 양반사대부계층의 내적 심정을 잘 표현한 시조라고 하겠다.
연계정보
-시조
-청구영언(靑丘永言)
-해동가요(海東歌謠)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