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출연/스태프
*출연 강수연, 진영미, 유인촌, 한지일 *스태프 제작,기획/이태원, 감독/임권택, 각본/한승원, 촬영/구중모, 조명/차정남, 음악/김정길, 녹음/김병수, 미술/도용우, 소품/김호길, 효과/양대호, 편집/박순덕
내용
고리대금업을 하는 어머니와 스님인 아버지를 둔 순녀는 덕암사에 찾아와 은선 스님을 모시고 비구니가 된다. 어느 날 박현우란 사람을 구출하다 파계를 저지른 순녀는 덕암사에서 쫓겨나 여러 절을 전전하다 결국 속세로 나간다. 무의촌의 간호사 생활을 시작하며 알게 된 남자와 살림을 차리지만, 남자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오래가지 못한다. 그 후 다시 덕암사를 찾은 순녀는 은선 스님으로부터 세상사의 진리를 깨치며 승려로서의 삶에 귀의한다.
예술가
*임권택(1936~ ) 전남 장성 출생. 정창화 감독 문하에서 연출부 생활을 하다, 1962년 <두만강아 잘 있거라>로 감독 데뷔한다. 1960년대에는 멜로드라마, 전쟁영화, 역사극, 액션물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다가 1973년 <잡초>를 계기로 연출 스타일에 변화를 준다. 그 이후 노련한 연출 노하우와 원숙한 작가의식을 바탕으로 심도 깊은 주제가 돋보이는 수작들이 쏟아져 나오는데, 1981년 <만다라>에 이르러 확고한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또한 1993년 한국영화사상 최고의 흥행기록을 갱신한 명작 <서편제>를 연출하여 한국영화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고, 그로부터 9년 후, 화가 장승업의 생애를 조명한 <취화선>으로 2002년 칸느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다. 명실공히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영화작가다.
작품정보
두만강아 잘 있거라 (1962) 잡초 (1973) 증언 (1973) 왕십리 (1976) 짝코 (1980) 만다라 (1981) 안개마을 (1982) 티켓 (1986) 씨받이 (1986) 아제아제 바라아제 (1989) 서편제 (1993) 춘향뎐 (2000) 취화선 (2002)
리뷰
*작품해설 한승원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자기 해탈을 위해 수행하는 어느 비구니의 삶과 불교, 인간사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해낸 작품이다. *평론 순녀는 한 사람의 특이한 삶의 역정을 보여주는 개인으로서 보다는 복합된 여러 요소들의 결정체처럼 보인다. 그녀를 둘러싼 모든 인간관계는 그야말로 우리 사회와 역사의 어느 굴곡된 지점이며 중생의 삶 자체이다. 고등학교시절의 짝사랑 대상이었던 현종 선생은 80년의 광주항쟁과 살육을 연결시키며, 절에서 그녀를 따라다니면서 결국 그녀가 절에서 쫓겨나는 원인을 제공했던 남자는 빨치산을 둘러싼 가슴아픈 분단 이데올로기의 상처를, 아버지의 친구이며 그녀를 불교로 인도했던 스님은 월남전과 연관된 아버지 세대의 아픔을 암시한다. 무의촌의 간호원 생활을 하면서 만나게 되어 살림을 차린 남자는 평범하고 힘없는 서민이며 소외된 우리 이웃을 상징한다. (영화평론가, 정재형)
수상내역
제9회 영평상 음악상,녹음상, 신인연기상(진영미), 여자연기상(강수연) 제25회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진영미) 제27회 최우수작품상, 여우주연상(강수연), 조연남우상(한지일) 제3회 싱가폴영화제 출품 제16회 모스크바영화제 여우주연상(강수연) 제20회 베오그라드 영화제 출품
관련도서
<한국영화연구1-임권택>, 정성일, 도서출판 오늘, 1987 <임권택 감독과의 만남>,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센터, 1991 <서편제-영화이야기>, 임권택, 하늘, 1993 <한국영화와 임권택>, 사토 다다오, 한국학술정보㈜, 2000
관련사이트
시네마클럽 영화교실 임권택 감독론(1)
관련사이트
시네마클럽 영화교실 임권택 감독론(2)
관련사이트
로드쇼 인터뷰
관련사이트
KBS 저널
관련사이트
Film 2.0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