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당악정재

개요
당악정재는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궁중무용으로 통일신라 이후 고려에 걸쳐 당나라 음악이 수입됨으로써 우리 고유의 음악과 당나라 음악이 양립하게 됨에 따라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우리의 음악을 향악, 당나라의 음악을 당악이라고 하였다. 이후 음악 뿐 아니라 악기 역시 향악기와 당악기 구분하였고 춤은 고려 이후로 중국에서 들어온 궁중무용을 당악정재, 우리 나라 춤으로 중국계 궁중무용의 양식을 도입하여 창작한 궁중무용을 향악정재라 하였다. <고려사>에는 포구락(抛毬樂), 구장기별기(九張機別伎),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연화대(蓮花臺) 등의 당악정재가 전해지며, 조선시대 <악학궤범>에는 금척(金尺), 수보록(受寶錄), 근천정(覲天庭), 수명명(受明命), 하황은(賀皇恩), 하성명(賀聖明), 성택(聖澤), 육화대(六花隊), 곡파(曲破) 등의 당악정재가 수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등 많은 작품들이 당악정재의 형식을 빌려 창작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당악정재는 향악정재와 구분되는 여러 특징들이 서로 혼용되어 많은 변화가 생겼다. 당악정재는 궁중을 중심으로 발전∙계승된 춤이라는 점,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를 억제하고 조종의 공덕을 추앙하거나 왕업의 선정∙선치를 과시∙선양하며 왕실의 번영을 송축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는 점, 춤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무원들이 바로 나오고 퇴장하는 향악정재에 비하여 죽간자를 든 2명이 무원을 인도하여 무대에 들어오고 나가며, 순한문으로 된 구호(口號)나 치어(致語)가 춤의 앞뒤에 있고 춤 도중에도 한문으로 된 노래(唱詞)를 부르며, 춤의 흐름이 유유하고 담담하여 선이 우아하고 신비롭다는 것 등의 특징이 있는데 조선 후기에 이르면 죽간자와 봉위의(奉威儀)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많이 변모되어 그 시작과 끝에 엎드려 절하는 것으로 대치하기도 하고 반주음악도 향악화된 당악 또는 향악으로 바꾸어 쓰게 되었다.
내용
많은 당악정재 가운데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오양선(五羊仙), 포구락(抛毬樂), 연화대무(蓮花臺舞),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등의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헌선도
헌선도의 수입 연대는 정확하지 않지만 고려 예종 9년에 처음으로 공연된 정재무이며, 임금의 불로장수와 자손들의 태평과 번영을 송축하는 춤이다. 헌선도는 정월 보름날 가회(嘉會)에 군왕을 기리기 위하여 왕모(王母)가 선계(仙界)에 내려와 선도(仙桃)를 올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서왕모가 목왕(穆王)에게 선도를 드렸다는 중국의 고사를 고려 최충헌이 그 내용을 빌려 만들었다고 한다. 춤의 구성 인원은 18명으로 되어 있지만 죽간자 2명, 협무 2명, 왕모(선모) 1명 등 5명이 기본 무원으로 되어 있다. 춤의 동작은 전진 과정에 절화무(折花舞)와 협수무(狹手舞)를 하고 물러갈 때에는 사수무(四手舞)와 양수무(楊手舞) 등이 행해졌다. 헌선도의 반주음악은 각 문헌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은 같지만 조선시대 후기의 <궁중정재무도홀기>의 기록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앞의 두 문헌에서는 도입 때 회팔선인자(會八仙引子)를 연주하자 홀기에서는 만춘지곡(萬春之曲)과 보허자령, 여민락 등이 연주되었다. 또 진행에 있어서도 헌천수만(獻天壽慢), 금잔자만(金盞子慢) 등 다양하게 여러 종류의 반주가 있는데 비해 홀기에서는 보허자령과 향당교주(鄕唐交奏)로만 연주되었다. 종결에서도 악지에는 천년만세인자와 회팔선인자가 연주된데 비해 악학궤범에서는 천년만세인자로만 연주되었고 홀기에서는 보허자령만 연주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헌선도가 고려시대에서 조선조 전기까지는 원형 그대로 전승되었으나 후기에 들어와 어느 정도 반주 음악이 춤의 성격에 따라 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헌선도에 사용되는 도구로는 죽간자를 비롯하여 인인장(引人仗), 용선(龍扇), 봉선(鳳扇), 정절(旌節), 작선(雀扇), 미선(尾扇), 개(蓋), 선도반(仙桃盤), 탁자 등이 준비되었다. 이 가운데 선도반과 탁자는 헌선도에서만 필요로 하는 특징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수연장(壽延長)
수연장은 고려 초기 성종 때의 중신인 최승로의 상소에 의해 춤으로 엮어진 것이라 하는데, 그 내용은 장수의 뜻을 가지고 있다. 이 춤은 4대로 나누어 순환(쉬지 않고 연이어 도는 것을 말함)하며 추는 춤으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연례(宴禮) 때 그대로 사용되었다. 이 춤의 무원은 죽간자를 든 봉죽간자와 실제로 춤을 추는 원무로 구성되어 있다. 무원의 수를 보면 고려사 악지에는 원무가 16명, 죽간자 2명 등 모두 18명으로 되어 있으나 조선시대 전기의 악학궤범과 후기의 정재무도홀기에는 원무가 8명과 죽간자 2명 등 모두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부에서 종결부까지 고려사 악지에서는 원무가 각 열마다 4명씩 4조 즉, 16명으로 구성되었으나 악학궤범과 정재무도홀기에서는 원무는 2열 횡대로 각 열마다 2명씩 4조 즉, 8명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이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을 연주하면, 죽간자(竹竿子)를 든 두 사람이 족도(足蹈 : 살며시 땅을 밟으며 무릎을 폈다 굽혔다 하는 유연한 동작)를 하며 나아가 ‘수성요채영팔창(壽星耀彩暎八) 복욱운하근보당(馥郁雲霞近寶幢)’의 구호를 부른다. 구호가 끝나면 죽간자는 물러나고 좌우협무(左右挾舞) 8사람이 4대(隊)로 나뉘어 앞으로 나아가 한쪽 팔을 들고 미전사(尾前詞)와 미후사(尾後詞)를 노래한다. 이어 음악이 ‘함녕지곡(咸寧之曲)’으로 바뀌며 무원(舞員)들은 여러 대열의 모양을 만들며 춤춘다. 도중에 전, 후대가 함께 ‘청춘옥전화풍세(靑春玉殿和風細) 주소소절역(奏簫韶絶繹)’이라는 청춘사(靑春詞)를 노래하기도 한다. 음악이 '중강'으로 바뀌면 죽간자 두 사람이 앞으로 나아가 ‘태평시절호풍광(太平時節好風光) 전우심심일정장(殿宇深深日正長)’의 구호를 끝으로 춤을 끝낸다. 수연장에 사용되는 도구는 인인장(引人仗), 용선(龍扇), 봉선(鳳扇), 정절(旌節), 작선(雀扇), 미선(尾扇), 개(蓋) 등이 있다.
오양선(五羊仙)
오양선은 고려시대 송나라에서 전래된 당악정재로 중국 오양선 전설에서 구성되었다. 중국 고고(高固)라는 사람이 중국 초나라의 재상으로 있을 때 다섯 명의 신선이 다섯 빛깔의 양을 타고 한 줄에 여섯 이삭이 달린 수수를 가지고 나타나서 대순에게 전해주었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는데, 왕조의 앞날의 상서로운 기운을 노래하며 추는 정재무로서 그 목적이 있다. 죽간자 2명과 선모 1명, 협누 4명, 봉개(奉蓋) 5명, 봉선(奉扇) 2명, 작선(雀扇) 2명, 미선(尾扇) 2명, 봉정절(奉旌節) 8명으로 구성된다. 음악이 청평악지곡을 연주하면 죽간자가 나가 구호를 하고 물러난다. 선무와 좌우 협무가 줄지어 나가 서고 선모는 좀 더 나가 치어(致語, 당악정재에서 때 무원(舞員)들이 춤의 처음과 끝에 부르던 노래를 말함) 하고 조금 물러난 다음 선모는 오른손을 들고 좌우협무는 모두 외수(外袖)를 들어 수악절창사(髓樂節唱詞)를 하며 다시 선모는 왼손을, 좌우 협무는 내수(內袖)를 들어 수악절창사를 한다. 다시 선모는 오른손을 들고 협무는 외수를 들어 창사한 다음 죽간자가 나가 구호하고 물러서면 선모가 염수족도(두 손을 두 어깨 높이로 펼쳐 든 상태에서, 두 손을 뒤로 제쳤다 다시 들어 합장하듯이 앞에 여미는 동작)로 나가 치어를 한다. 선모가 염수족도로 조금 물러나와 협무와 함께 나갔다가 물러나면 춤이 끝난다.
포구락(抛毬樂)
포구락은 중국 송나라에서 전해 온 여자군무로 현재까지 추어지고 있는 춤이다. <고려사> 악지에는 “문종 27년(1073년) 11월에 팔관회를 차리고 왕이 신봉루에 나가 악무를 보았는데, 교방의 여제자 초용이 새로 전래한 포구락과 구장기별기를 연주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포구락은 연희석상에서 주흥을 돕기 위한 가무희의 일종으로 포구희(抛毬戱)에 들어가기 전 절화령(折花令)에 의한 삼대사(三臺詞)를 창하도록 엮어져 있다. 형식은 두 조로 갈라 서서 공을 던져 승패를 겨루는 춤으로, 인원은 반드시 짝수로 한다. 무희들이 편을 갈라 공을 던져 구멍 속에 넣으며 즐기는 일종의 놀이춤으로 즉 포구문의 구문을 한 장소에 세워놓고 기녀 12인이 좌우 2대로 편을 갈라 노래하고 춤추며 차례로 공을 던지는데, 구멍에 넣으면 상으로 꽃을 주고 넣지 못하면 벌로 얼굴에 먹점을 찍어 준다. 포구락은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행하였으며, 특히 고려의 팔관회와 같은 국중대행사 때에는 공연 종목으로 들어갔다.
연화대무(蓮花臺舞)
연화대무는 서역의 석국(石國) 탁지무(拓枝舞)의 일종으로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를 거쳐 고려에 전해졌다고 한다. 이 무용의 창작연대는 알 수가 없지만 고려 문종 연간에 공연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미 고려 전기 이후에 궁중에서 연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은 두 어린 기녀가 고운 의모(衣帽)에 금방울을 흔들며 추는 춤으로 처음에는 무동(舞童) 두 사람이 연꽃 속에 숨어 있다가 춤이 시작되면 꽃잎을 열고 나와서 춤을 추는 춤이다. 연화대 춤의 단락은 도입, 고조, 결속의 세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옮기는 과정ㅁ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동작의 우아미와 구성에 있어서 세련미와 동작의 다양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전해진다.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이 춤은 순조 29년(1829년)에 효명세자가 송나라 때의 장생보연지악(長生寶宴之樂)을 참고하여 만든 춤으로 헌종 14년(1848년)에 장춘보연지무(長春寶宴之舞)라고 고쳤다가 고종 14년(1877년)에 다시 장생보연지무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춤은 죽자간 (竹竿子) 2명과 원무 (元舞) 5명으로 구성되는데, 50여종의 궁중무용 (宮中舞踊) 중 대형의 변화가 가장 많고 화려한 춤으로 꼽힌다. 여기(女妓) 2명이 죽간자를 들고 좌우로 나뉘어 서면 1명이 앞에 서고 또 1명이 중앙에 서고 뒤쪽에 1명이 서며, 뒤쪽의 좌측에 1명, 우측에 1명이 선 다음 상변(相變)하면서 춤을 추었다. 먼저 죽간자가 선구호를 부르고 이어 원무 5명이 나가고 중무 혼자 약간 앞으로 나가 치어를 부른다. 중무가 원렬로 돌아가 다같이 “바다에 뜨는 해가 먼저 붉다(天門海日先紅)”로 시작되는 미전사(尾前詞)와 “구중궁궐 봄빛은 짙은데 반도의 잔치던가(九重春色蟠桃宴)”로 시작되는 미후사(尾後詞)를 부른다. 이것이 끝나면 상대무(相對舞)로부터 수수무(垂手舞), 산작화무(散作花舞), 삼전무(三轉舞), 오방무(五方舞), 대전무(大轉舞), 사선무(四仙舞), 회선무(回旋舞), 복렬무(復列舞)의 순으로 번 춤의 형태가 변화되어 진행된다. 이어 죽간자를 든 두 사람의 구호가 끝나고 장생보연지악이 연주되면 죽간자 두 사람이 족도하고 물러가고 선모와 무용수들도 따라서 물러간다.
전승자 정보
김천흥(金千興, 1909~) 처용무의 예능보유자이자 종묘제례악의 해금과 일무 기능보유자이기도 한 김천흥은 유일한 정재 계승자로 정재의 재현과 후진양성에 힘쓰고 있다. 1909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천흥은 13살이던 1922년부터 아악서(雅樂署)에서 기예를 익히기 시작하였다. 처음 익히기 시작한 것은 해금이었으나 그 후 양금 연주를 더 많이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처용무와 춘행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4살 때인 1923년에는 조선의 마지막 왕이었던 순종의 50세 생일축하공연에 참가하였다.1926년 이왕직 아악부원양성소(李王職雅樂部員養成所)를 마치고, 이왕직 아악부에 들어가 1932년 아악수장(雅樂手長)이 되었다. 1940년까지 아악부에서 궁중음악과 궁중무용 연구에 힘을 쏟았다. 1970년대 후반부터 궁중무용 40여종을 문헌 및 기록을 토대로 내용을 풀이하여 10여 차례의 공연을 갖는 등 궁중무용의 전승에 큰 공헌을 하였다.
관련도서
한국무용사, 김매자, 삼신각, 1995. 조선궁중무용, 이흥구/손경순 역, 열화당, 2000. 고종황제 50세 경축연향 여령정재홀기, 인남순/김종수 공역, 민속원, 2001. 한국예술사전 4권(연극/무용/영화 편), 대한민국예술원, 1985.
연계정보
-향악정재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
-악학궤범(樂學軌範)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뿌리패_한국의 무용
관련사이트
한국의 춤_당악정재
관련멀티미디어(전체9건)
이미지 9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