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

문헌명
삼국유사(三國遺事)
저자
일연(一然)
개요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一然)이 신라·고구려·백제 삼국의 유사(遺事)를 모아서 지은 역사서. 활자본이며, 5권 2책으로 구성되었다.
저자
일연(一然, 1206∼1289) 고려 후기의 승려. 속성은 김(金). 처음의 법명은 견명(見明). 자는 회연(晦然)·일연(一然), 호는 목암(睦庵). 경상도 경주의 속현이었던 장산군(章山郡: 지금의 경산) 출신. 시호 보각(普覺). 탑호 정조(靜照). 1214년(고종 1) 9세에 전라도 해양(海陽: 현 광주) 무량사(無量寺)에 들어가 대웅(大雄) 밑에서 학문을 닦다가 1219년 승려가 되었다. 1227년 승과(僧科)에 급제, 1237년 삼중대사(三重大師), 1246년 선사(禪師), 1259년 대선사(大禪師)가 되었다. 몽고의 침입이 계속되는 동안 남쪽의 포산·남해·윤산 등지에서 전란을 피하면서 수행에 전념하다가, 1261년(원종 2) 원종의 부름을 받고 강화도의 선월사(禪月社)에 머물면서 설법,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였다. 1268년 운해사(雲海寺)에서 대덕(大德) 100여 명을 모아 대장경 낙성회(大藏經落成會)를 조직, 그 맹주가 되었다. 1277년 충렬왕의 명에 따라 청도 운문사(雲門寺)에서 1281년까지 살면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켰다. 이때 <삼국유사>를 집필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듬해 3월 국존(國尊)으로 책봉되어 원경충조(圓經沖照)라는 호를 받았다. 1284년 경상북도 군위(軍威)의 인각사(麟角寺)를 중건하고 궁궐에서 구산문도회(九山門都會)를 열었다. 탑과 비는 인각사에, 행적비는 운문사에 있다. 대표적인 제자로는 혼구(混丘)와 죽허(竹虛)가 있다. 저서 <삼국유사(三國遺事)>는 한국 고대 신화와 설화 및 향가를 집대성한 책으로, 고대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이 밖에 저서로는 <화록(話錄)> 2권, <게송잡저(偈頌雜著)> 3권, <중편조동오위(重編曹洞五位)> 2권, <조파도(祖派圖)> 2권, <대장수지록(大藏須知錄)> 3권, <제승법수(諸乘法數)> 7권, <조정사원(祖庭事苑)> 30권,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등이 있다.
내용과 특징
편찬 연대는 미상이나, 1281년∼1283년(충렬왕 7∼9) 사이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현재까지 고려시대의 각본(刻本)은 발견되지 않았고, 조선 초기 고판본의 인본(印本)인 석남본(石南本)과 송은본(松隱本)이 현존하는 것으로 봐서 조선 초기에도 간행이 이루어진 듯하다. 완본으로는 1512년(중종 7) 경주부사(慶州府使) 이계복(李繼福)에 의하여 중간(重刊)된 정덕본(正德本)이 최고본(最古本)이다. 현재 간행, 유포되고 있는 <삼국유사(三國遺事)>는 여러 종류로 영인본·활판본·번역본(국역본·일역본·영역본) 등이 있다. <삼국유사>는 전체 5권 2책으로 되어 있고, 권과는 별도로 왕력(王歷)·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의해(義解)·신주(神呪)·감통(感通)·피은(避隱)·효선(孝善) 등 9편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력>은 중국과 신라·고구려·백제 및 가락(駕洛)의 연표(年表)로서, <삼국사기> 연표의 경우와는 달리 역대 왕의 출생·즉위·치세(治世)를 비롯하여 기타 주요한 역사적 사실 등을 간단히 기록하고, 저자의 의견도 간간이 덧붙여 놓았다. <기이>편에는 고조선으로부터 후삼국까지의 단편적인 역사를, <흥법>편에는 삼국의 불교수용과 고승(高僧)들에 관한 행적을, <탑상>편에는 탑과 불상에 관한 사실을, <의해>편은 원광서학조(圓光西學條)를 비롯한 신라 때 고승들의 행적을, <신주>편에는 밀교(密敎)의 이적(異蹟)과 이승(異僧)들의 전기를, <감통>편에는 신앙의 영이감응(靈異感應)에 관한 설화를, <피은>편에는 높은 경지에 도달하여 은둔(隱遁)한 일승(逸僧)들의 이적을, 마지막 <효선>편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불교적인 선행에 대한 미담을 각각 수록하였다. 이처럼 5권 9편으로 구성된 <삼국유사>의 체재는 <삼국사기>나 <해동고승전>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중국의 세 가지 고승전(高僧傳)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것과도 다른 체재이다. <삼국사기>가 여러 사관(史官)에 의하여 이루어진 정사(正史)이므로 그 체재나 문장이 정제(整齊)된 데 비하여, <삼국유사>는 일연 혼자의 손으로 쓴 이른바 야사(野史)이므로 체재나 문사(文辭)가 <삼국사기>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삼국사기>에서 볼 수 없는 많은 고대 사료(史料)들을 수록하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조선(古朝鮮)에 관한 서술은 한국의 반만년 역사를 내세울 수 있게 하고, 단군신화(檀君神話)는 단군을 국조(國祖)로 받드는 근거를 제시하여 주는 기록이다. 그 밖에도 많은 전설·신화가 수록된 설화문학서(說話文學書)라고도 일컬을 만하다. 특히 향찰(鄕札)로 표기된 <혜성가(彗星歌)> 등 14수의 신라 향가(鄕歌)가 실려 있어 <균여전(均如傳)>에 수록된 11수와 함께 현재까지 전하는 향가의 전부를 이루고 있어 한국 고대 문학사(文學史)의 실증(實證)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다. 물론 <삼국유사>의 저술은 저자가 사관(史官)이 아닌 일개 승려의 신분이었고, 그의 활동 범위가 주로 영남지방 일원이었다는 제약 때문에 불교 중심 또는 신라 중심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북방계통의 기사가 소홀해졌다. 또 간혹 인용 전적(典籍)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 전해지는 사적을 그대로 모아서 수록한 부분도 있으나, 그것은 <삼국유사>라는 책명(冊名)이 말해 주듯이 일사유문적(逸事遺聞的) 기록인 탓에 불가피한 일이라 하겠다. <삼국유사>는 당시의 민속·고어휘(古語彙)·성씨록(姓氏錄)·지명기원(地名起源)·사상·신앙 및 일화(逸話) 등을 대부분 금석(金石) 및 고적(古籍)으로부터의 인용과 견문(見聞)에 의하여 집대성해 놓은 한국 고대 정치·사회·문화생활의 유영(遺影)으로서 한민족(韓民族)의 역사를 기록한 일대 서사시(敍事詩)라 할 수 있다.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에 있어 유교의 합리주의적 사고 또는 사대주의 사상으로 말미암아 누락시켰거나, 혹은 누락되었다고도 보이는 고기(古記)의 기록들을 원형대로 온전히 수록한 데에 오히려 특색과 가치를 지닌다. 어떤 의미에서는 정사(正史)인 <삼국사기> 이상의 가치를 지닌 민족사의 보전(寶典)이라 일컬을 만하다.
연계정보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서동요(薯童謠)
-제망매가(祭亡妹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처용가(處容歌)
-헌화가(獻花歌)
-단군(檀君)
-주몽(朱蒙)
-연오랑 세오녀(延烏郞 細烏女)
-김현감호(金現感虎)
-조신(調信)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