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홍길동전

작품명
홍길동전
저자
허균(許筠)
장르
국문소설
작품소개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었다고 전하는 고전 국문소설. 1책. 필사본·목판본.
저자
허균(許筠, 1569~1618)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성수(惺). 그의 가문은 대대로 학문에 뛰어난 집안이어서 아버지 엽(曄), 두 형인 성(筬)과 봉(葑), 그리고 누이인 난설헌(蘭雪軒) 등이 모두 시문으로 이름을 날렸다. 21세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26세에 정시(庭試)에 합격하여 승문원 사관(史官)으로 벼슬길에 오른 후 삼척부사·공주목사 등 관직을 제수받았으나 반대자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거나 유배를 당했다. 그 후 중국 사신의 일행으로 뽑혀 중국에 가서 문명을 날리는 한편 새로운 문물을 접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한때 당대의 실력자였던 이이첨과 결탁하여 폐모론을 주장하면서 왕의 신임을 받아 예조참의·좌찬성 등을 역임했으나, 국가의 변란을 기도했다는 죄목으로 참수형을 당했다. 역적으로 형을 당한 까닭에 그의 저작들은 모두 불태워지고 <성수시화(惺詩話)>·<학산초담(鶴山樵談)>·<성소부부고(惺所覆藁)> 등 일부만이 남아 전한다. 그는 학론(學論)·정론(政論)·유재론(遺才論)·호민론(豪民論)의 논설을 통해 당시 정부와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개혁방안을 제시했다. 문인으로서 그는 소설작품·한시·문학비평 등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문집에 실려 있는 그의 한시는 많지는 않지만 국내외로부터 품격이 높고 시어가 정교하다는 평을 받는다. 시화(詩話)에 실려 있는 그의 문학비평은 당대에는 물론 현재에도 그 안목을 인정받고 있다. 그의 작품으로 전하는 <홍길동전>은 그의 비판정신과 개혁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적서차별로 인한 신분적 차별을 비판하면서 탐관오리에 대한 징벌, 가난한 서민들에 대한 구제, 새로운 세계의 건설 등을 제안했다.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기록은 이식(李植)의 <택당집(澤堂集)> 별집(別集) 권15 <산록(散錄)>에 전한다. 이를 근거로 하여 허균을 <홍길동전>의 작자로 여겨왔다. 그러나 <택당집>의 기록은 이식의 사후에 송시열(宋時烈)이 교정(校正)·편찬(編纂)한 것이어서 그 신빙성이 떨어지며, 허균이 처형될 때의 죄목에 이 작품을 지었다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홍길동전>의 작자가 허균이 아닐 것이라는 의문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허균은 <엄처사전(嚴處士傳)>·<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장산인전(張山人傳)>·<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장생전(蔣生傳)>과 같은 한문소설에서 실존한 방외인(方外人)들을 주인공으로 삼았다. 뛰어난 지략을 갖고 있는 인물이 등용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거나, 백성들을 수탈하는 지방 수령들을 응징하는 <홍길동전>의 주요한 내용은 허균의 생각이 압축되어 있는 <유재론(遺才論)>·<호민론(豪民論)> 등에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택당집>의 기록을 부정할 수 있는 실증 자료가 발견되지 않는 한 허균이 <홍길동전>을 지었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
내용
주인공 홍길동은 세종조 서울에 사는 홍정승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시비 춘섬의 소생이었다. 길동은 어릴 적부터 병서와 도술에 관한 책을 정독한 끝에 도술을 체득하게 되었으며, 훌륭한 인물이 되어 출세코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천비 소생이라 가족들의 구박과 학대를 무수히 받았으며 호부호형조차 못하였다. 가족들은 길동의 비범한 인물됨이 장래의 화근이 될까 근심하고 길동을 없애 버리려고 모의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모친으로부터 전해듣고 피신하라는 충고를 받은 길동은 비분을 금치 못하며 홀연히 방랑의 길을 떠난다. 그는 정처없이 가다가 도적의 소굴에 들어가서 힘을 시험하고 도적의 괴수가 된다. 먼저 해인사의 재물을 탈취하려 할 때, 길동이 먼저 가서 여러 중과 음식을 먹다가 일부러 돌을 입에 넣고 깨물었다. 돌 깨무는 소리를 듣고 중들이 놀라 사죄하거늘, 길동이 거짓으로 크게 화를 내고 질책하기를 “너희들이 어찌 음식을 이다지 부정히 하였는가? 이는 반드시 나를 능멸함이라.”하고 종자에게 명하여 모든 중을 다 결박하여 놓고는 모든 재물을 탈취하였다. 이후로 길동이 활빈당이라 자칭하고 계략과 도술로써 팔도 지방 수령의 부정한 재물을 탈취하여 빈민들에게 나누어주고 백성의 재물은 추호도 범하지 아니하였다. 하루는 함경도 감영의 부정한 재물을 가지고 도망하면서 “아무날 전곡을 도적질한 자는 활빈당 행수 홍길동이라”는 방을 붙여 두었다. 함경감사가 도적을 잡으려다가 잡지 못하고 조정에 장계를 올려 포청으로 홍길동이란 도적을 잡으라고 하였다. 잇달아 장계를 올렸는데 한결같이 도적의 이름이 홍길동이요, 도적을 당한 날짜가 한 날 한 시였다. 우포장 이흡이 자원하여 도적을 잡으러 나섰다. 각각 포졸들을 분산시켰다가 문경으로 집합할 것을 약속하고, 그는 포졸 여러 명을 데리고 변복하고 다니다가, 하루는 날이 저물어 쉬고 있었다. 한 소년이 나귀를 타고 와서 뵙거늘, 이흡은 그 소년과 같이 길동을 잡기로 하고 서로 용력을 시험해 보기로 하였다. 이흡은 그 소년을 따라 첩첩한 산골로 들어갔다. 그 소년이 이흡을 보고 말하기를 “이곳이 길동의 도적굴이라. 내 먼저 들어가 탐지할 것이니 그대는 여기 있어 기다리라.”하고 적굴로 들어갔다. 잠시 후 수십 명의 도적 부하들이 와서 이흡을 잡아 적굴로 들어갔다. 길동이 이흡을 보고 꾸짖어 말하기를 “나는 곧 활빈당 행수 홍길동이다. 그대 나를 잡으려 하매 이곳에 와 나의 위엄을 보게 함이라.”고 하여 술을 권하며, “나를 잡으려 생각지도 말고 나가서 말도 내지 말라.”하고는 내보내 주었다. 국왕은 길동의 체포명령을 전국에 내렸던 바, 전국에서 잡아온 길동이 백여 명이나 되었으니, 비바람을 부르고 둔갑을 하는 초인적인 도술을 부리는 길동이 잡힐 리 없었다. 조정에서 하는 수 없이 길동의 소원을 들어 병조판서를 제수하여 회유키로 하였다. 길동은 천은을 감수하고 병조판서가 되었다. 그러나 길동은 병조판서도 시원치 않아서 남경으로 향하여 가다가 산수가 수려한 율도국을 발견하였다. 그는 돌아와서 조정에 신청하여 쌀 일천 석을 얻어가지고 삼천 도당을 거느리고 가서 율도국을 점령하고 왕이 되었다. 마침 부친이 돌아가셨다는 부음을 듣고 고국으로 와서 부친의 삼년상을 마치고는,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서 이상적 왕국을 건설하였다고 한다.
해설
현재 전하는 <홍길동전>에는 17세기 말에 실재했던 인물인 장길산(張吉山)이 언급되는 등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 그대로의 모습이 아닐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홍길동전>의 원본은 아직 발견된 바 없고, 세부적인 내용과 표현에서 상호간에 차이가 있는 후대적 이본(異本)이 많이 전해온다. 판각본·필사본·활자본이 다 있다. 판각본에는 경판본과 안성판본, 완판본이 있는데. 경판으로는 야동본(30장)·한남서림본(24장)·어청교본(23장)·송동본(21장) 4종이 있으며, 안성판으로는 23장본·19장본 2종이 전한다. 이 외에 완판 36장본이 있다. 필사본으로는 89장본과 86장본, 52장본, 21장본이 있으며, 한문 필사본으로는 <위도왕전(韋島王傳)>이 유일하다. 활자본으로는 회동서관·덕흥서림 등에서 간행한 것이 다수 전한다. <홍길동전>이 형성된 배경으로 <수호전(水滸傳)>·<서유기(西遊記)> 등 중국소설과의 영향관계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부분적인 삽화나 인물유형의 공통성은 인정되지만, 두 작품 사이의 전반적이고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입증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연산군(燕山君)대의 홍길동(洪吉同), 명종(明宗)대의 임꺽정(林巨正), 선조(宣祖)대의 이몽학(李夢鶴), 광해군(光海君)대의 칠서(七庶) 등 국내의 역사 사실에서 <홍길동전>의 사건과 인물 형성의 배경을 추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허균이 지은 <홍길동전>의 국내적 형성배경으로 가장 가능성이 큰 것은 실재 인물 홍길동의 전(傳)이라고 할 수 있다. <홍길동전>은 16세기 이후 빈번해지던 농민봉기와 그것을 주도했던 인간상에 대한 구비전승을 근간으로 하고, 그 현실적 패배와 좌절을 승리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민중의 꿈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후반부가 허구적으로 첨가되었다고 추정된다. <홍길동전>은 문제의식이 아주 강한 작품이다. 사회문제를 다루면서 지배 이념과 지배 질서를 공격하고 비판하는 방향에서 다루었으므로 문제의식이 뚜렷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지배 이념에 맹종하고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면서 무수히 쏟아져 나온 흥미본위의 상업적 소설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보여준다. 당대 현실에 실재했던 사회적인 문제점을 왜곡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면에서 이 작품은 사실주의적이고 현실주의적인 경향을 지니며, 적서차별 등의 신분적 불평등을 내포한 중세사회는 마땅히 개혁되어야 한다는 주제의식을 지닌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역사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홍길동전>은 작품 경향, 사회의식, 역사의식에 있어서 <금오신화>에서 마련된 현실주의적 경향, 강렬한 사회비판적 성격, 진보적인 역사의식을 이어받아, 후대의 연암소설(燕巖小說)과 판소리계 소설 등의 작품으로 넘겨주는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소설사적 의의를 가진다.
연계정보
-홍길동전
관련사이트
허균·허난설헌선양사업회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