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작품명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저자
백수광부의 아내 또는 여옥
장르
고대가요
작품소개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는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지만, 그 한역(漢譯)인 <공후인(箜篌引)>이 진(晋)나라 최표(崔豹)의 <고금주(古今注)>에 설화와 함께 채록되어 있다. 그래서 <공후인(箜篌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악곡(樂曲)의 명칭이고 작품명은 <공무도하가>다. 원작자(原作者)는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아내이고, 곽리자고(霍里子高)의 부인 여옥(麗玉)이 이를 노래로 정착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문
公無渡河 公竟渡河 墮河而死 當奈公何
현대어 풀이
임이여 그 물을 건너지 마오 임은 그예 건너시고 말았네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가신 임을 어이할꼬
어휘풀이
물[河] - 1구에서는 충만한 깊이로 ‘사랑’을 의미. - 2구에서는 경(竟: 그예, 끝내)과 결합하여 사랑의 종말을 뜻함과 동시에 임의 부재를 의미. - 3구에서는 임의 부재라는 소극적인 뜻이 아니라, 죽음의 의미로 확대. * 이본(異本)에 따라서는 제2구의 ‘竟‘이 ‘終’으로, 제3구의 ‘墮河’가 ‘公墮’ 또는 ‘公淹’으로, 제4구의 ‘當’이 ‘將’으로 기록되어 있음
배경설화
조선(朝鮮)의 진졸(津卒) 곽리자고(霍里子高)가 새벽에 일어나 배를 저어 가는데, 머리가 흰 미친 사람[白首狂夫]이 머리를 풀어헤치고 호리병을 들고 어지러이 물을 건너고 있었다. 그의 아내가 뒤쫓아 외치며 막았으나, 다다르기도 전에 그 사람은 결국 물에 빠져 죽었다. 그러자 그의 아내는 공후(箜篌)를 타며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었는데, 그 소리가 매우 구슬펐다. 그의 아내는 노래가 끝나자 스스로 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자고가 돌아와 아내 여옥(麗玉)에게 그 광경을 이야기하고 노래를 들려주었다. 여옥이 슬퍼하며 곧 공후로 그 소리를 본받아 타니, 듣는 자가 눈물을 흘리지 않는 이가 없었다. 여옥은 그 소리를 이웃 여자 여용(麗容)에게 전하니 일컬어 공후인(箜篌引)이라 한다. 해동역사(海東繹史), 악가(樂歌) 가무(歌舞)
해설
<공무도하가>는 배경 설화로 인해 그 작자가 여옥(麗玉)인가, 백수광부의 처인가 하는 문제가 많이 거론되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국 신가(神歌)의 일면으로 파악하기도 하였는데,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처가 원작자(原作者)이고, 여옥이 정착시킨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창작시기는 서기 2세기 후반 무렵으로 원래 민요이던 것이 후한(後漢) 때 한역(漢譯)되었다는 설도 있고, 공후인을 음악상의 곡조(操曲)인 동시에 문학상의 작품명으로 보고 조선에서 한문으로 정착되어 중국에 유입된 가요로 한사군 이후부터 전한말에 백수광부의 처가 짓고, 여옥이 정착시킨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리고 백수광부를 주신(酒神), 여옥을 악신(樂神)으로 이해함으로써 이 설화를 신화(神話)로 설명하여 작품을 상징적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한편 이 노래를 우리 노래가 아닌 중국 고대인의 노래로 보고, 여기에 나오는 조선(朝鮮)이란 6세기 전까지 존재했던 중국의 직례성(直隸省)의 조선현(朝鮮懸)을 지칭한 것이며 또 곽리자고의 성명은 ‘곽마을에 사는 사공(沙工)’의 뜻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창작지역인 중국의 직례성 조선현은 고조선 이래로 한인(韓人)들이 잔류하면서 독자적인 문화양식을 유지하던 곳이었다. 그러므로 <공무도하가>의 원작자가 반드시 중국 사람이라고 이야기할 수 없고, 이러한 점에서 <공무도하가>를 우리의 고대가요로 보는 데에는 별 문제가 없다. 오히려 중국 쪽에 이런 노래가 전해지고 기록된 것은 우리 노래가 그만큼 널리 전파되어 있었던 증거라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공무도하가>의 주제는 설화문맥에서 본 바와 같이 ‘임의 죽음에 대한 슬픔’이며, 중심소재는 ‘강’ 또는 ‘물’이다. 이 노래가 세계에 대한 근원적 물음으로서 중대한 의미를 갖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은 고대가요로서 이 노래가 지닌 의의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 노래는 죽음을 철저히 경험적 현실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아내의 비극적 의식을 극적 독백화법으로 표출하는 비극미를 보여준다.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