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빈산

작품/자료명
빈산
초연장소
문예진흥원 예술극장
안무가
윤덕경
장르구분
1981년 이후
출연 / 스태프
출연 강미리, 김선미, 이애현, 김효분, 김용복, 이명진, 이미아, 정혜란 스태프 안무·구성/윤덕경 음악·작곡/오용록 무대미술/오경숙 의상/선미수 조명/사와레이꼬
내용
무용창작 작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작품이 새로워지길 원한다. 그래서 기발한 착상을 가지려 하거나 발상을 달리 하려 하거나 새로운 시도에 관심을 갖는다. 새로워지기 위해 자기 것, 우리 것을 버리기도 한다. 새로워지기를 바라는 진정한 마음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있어왔던 자신을, 우리를 분석하고 의미를 찾아 오늘의 우리를, 미래의 모습을 예견, 표현하는 것이라 생각해본다. 이번 작품 <빈산>을 안무하게 된 배경은 개성있는 우리 춤을 만든다는 것이 세계문화에 기여하는 일이라고 생각한 데 있다. 음악과 춤이 구분되지 않았던 예전의 우리 춤이 갖고 있었던, 그리고 지금까지 심성으로, 표현으로 남아 있는 것을 해체하고 요소를 분석, 오늘로 확대 해석해보고 통합해 봄으로써 한국 춤이 마땅히 있어야 할 그곳에 자리잡는 ‘자리매김’을 해야 할 것으로 본다. ‘산’은 늘 항상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다. 영원불변의 진리처럼 거기에 그렇게 움직이지 않고 있다. 아무리 새로워지고 세상이 급변하는 변혁의 시기에도 진리처럼 그 자리에 있어야 할 ‘산’은 어디에 자리하는가? 오늘의 ‘산’은 어디에 있는가? <빈산>은 인간의 삶터 위에 언제나 마땅히 있어야하는 진리의 산을 비유하여 구상하였다. 새로워지기를 바라는 진정한 마음으로… (참고 : 공연 팸플릿, 윤덕경) 1. ‘흔들림이 없는 산’ (산의 고요와 적막) 2. ‘산의 또다른 모습’ (방황하는 영혼들) 3. ‘변치않는 빈산’
윤덕경
이대 대학원 졸업, 창무회 2대 회장역임, 서원대 교수, <태평무> 이수자, 윤덕경무용단 대표, 서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사)장애인문화예술진흥개발원 부이사장, (사)한국무용연구회 이사장 대표작품 <밤의 소리>(1991), <내일은 어디있지>(1991), <들숨과 날숨>(1992), <보이지 않는 문>(1992), <축제>(1993), <태평무>(1994), <화사목(火死木)>(1995), <신기본>(1995), <땅>(1995), <느낌표를 찾아서>(1996), <썸머힐(Summerhill)>(1996), <기차길옆 오막살이>(1996), <우리 함께 춤을 추어요>(1996), <어- 엄마 우으섯다>(1997), <창(窓)>(1998), <一面 TOP>(1998), <빈자리>(1998), <2000 탈>(2000), <영목>(2001), <고요한 시간, 그 깨달음>(2002) 윤덕경무용단 1989년 창단된 ‘윤덕경무용단’은 새로운 무용언어와 오늘의 우리 춤 작업을 표방하면서 지난 10년간 국내외에서 전통 춤의 현대화 작업에 앞장서온 예술단체이다. 무용학과를 졸업한 윤덕경 교수의 제자들로 춤 현장에서 이론과 실기를 꾸준히 배워나가는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뷰
산 이미지는 늘 큰 마음이고, 그 마음은 인간들의 삶 터 위에 자리잡는다. <무혼>으로 시작한 윤덕경 안무가 <빈산>에 머문 것도 산이 상징하는 자연의 힘 같은 것이다. 오용록의 소리는 여덟 지체들이 깨달음을 체득한 관성처럼 움직인다. 관성의 반대어는 타성인데 윤덕경 춤은 하나의 소리 그늘로 정신들이 모이다 흩어진다. 타성을 극복하려는 이러한 깨달음이 이명진, 이미아 춤에서 짙게 드러난다. (김영태 - 시인, 무용평론가)
이미지
제공 : 윤덕경 무용단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